목차
창세기
서론의 원역사 ~ 족장사
서론의 원역사 ~ 족장사
본문내용
문화적 배경을 재발견한다면 아주 일반적인 서술과 어울러 그들의 종교를 문화적 배경 속에 위치시켜 보기에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성경은 아브라함이 그의 직접적인 조상들로부터 숭배 의식을 물려받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해 주고 있다. 하나님께서 관계를 세우시고 정상화하시는 데에 쓰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언약이다.
족장들의 종교 생활과 예배에 대해서는 본문은 단지 아주 작은 정보밖에 제공하지 않는다.
예배는 정밀한 형식과 의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단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교는 외형으로 동시대의 사람들의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그러나 하나님에 대한 관념, 그리고 하나님과 그 하나님 부르신 밀접한 인격적 관계로 맺어져 있었다는 점이 달랐다.
족장들의 이야기의 신학
족장들의 이야기의 본령은 12:1~3에서 아브라함이 부르심을 받고 선택을 입은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에 대한 부르심은 마치 의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인 양 잡작스럽고 간결하다.
족장사 전체를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절이 바로 이것임을 보여 준다.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본토,.
친척 아비집을 떠나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게 하리니,
너는 복의 근원이 될지라.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 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라. “
하신지라.(12:1~3)
이 포괄적인 약속은 원역사의 마지막 부분이 결여하고 있는 은혜라는 단어를 대신하고 있다.
☞하나님의 선택하심과 약속들. 아브라함을 부른 것의 중요성을 일단 깨닫고 나면 이야기의 핵심은 자명해진다. 아브라함은 자손이 없었다 이에 대해 하나님이 약속을 하신다. “아브라함의 자손들이 땅의 티끌같이 하늘의 별들 같이 많으리라...“ 그런데 아브라함과 애를 배지 못하는 사라는 인간적인 수단으로 자녀를 취했으나 이에 대한 갈등으로 하나님은 사라를 취해 이삭을 주신다.
이와 동일한 약속은 이후 세대의 족장들에게도 각각 재천명되었다. 그러므로 구속사에서 족장들의 시대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들을 선택하고 그들에게 약속을 준 시대 였다.
☞믿음과 의. 아브라함의 이야기에서 무수한 후손들에 대한 약속은 아들 하나가 주어질 것이냐 하는 하나의 흥미진진한 문제로 축소된다. 그리고 정도를 벗어날 정도로 지연된다. 아브라함의 소명에 대한 이야기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이 이야기들의 핵심은 아브라함의 신앙심이 분명하다. 아브라함의 신앙에 대한 기록의 정점은 이삭을 소위 희생제물로 드리는 22장의 이야기 이다. 이것은 아브라함이 받은 시험 이었다. 시험을 이긴 아브라함에게 하나님은 더한 축복을 더하시고 약속을 하신다.
☞언약. 창세기 12~50장에서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또 한 가지 요소는 15.17장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이다. 15장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약속의 확실성을 아브라함에게 확증시켜 주시기 위해서 사징적으로 자신을 저주 아래 두심으로써 자신을 낮추신다. 맹세를 하는 쪽은 하나님 이었으며, 아브라함에게서는 아무 것도 요구되지 않았다.
이점에서 아브라함의 언약은 모세의 언약과 다르다. 아브라함 언약에서는 하나님이 의무를 짊어지시시지만 모세 언약에서는 언약의 수령자인 이스라엘이 멩세를 요구 하도록 요구 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이스라엘은 엄격한 규정들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두언약은 그 결과들에서도 완전히 달랐다.
창세기는 구속사의 드라마에서 그 다음 막, 즉 애굽의 노예 상태로부터의 구원이라는 막을 시작 하기 위한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족장들의 종교 생활과 예배에 대해서는 본문은 단지 아주 작은 정보밖에 제공하지 않는다.
예배는 정밀한 형식과 의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단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교는 외형으로 동시대의 사람들의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그러나 하나님에 대한 관념, 그리고 하나님과 그 하나님 부르신 밀접한 인격적 관계로 맺어져 있었다는 점이 달랐다.
족장들의 이야기의 신학
족장들의 이야기의 본령은 12:1~3에서 아브라함이 부르심을 받고 선택을 입은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에 대한 부르심은 마치 의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인 양 잡작스럽고 간결하다.
족장사 전체를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절이 바로 이것임을 보여 준다.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본토,.
친척 아비집을 떠나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게 하리니,
너는 복의 근원이 될지라.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 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라. “
하신지라.(12:1~3)
이 포괄적인 약속은 원역사의 마지막 부분이 결여하고 있는 은혜라는 단어를 대신하고 있다.
☞하나님의 선택하심과 약속들. 아브라함을 부른 것의 중요성을 일단 깨닫고 나면 이야기의 핵심은 자명해진다. 아브라함은 자손이 없었다 이에 대해 하나님이 약속을 하신다. “아브라함의 자손들이 땅의 티끌같이 하늘의 별들 같이 많으리라...“ 그런데 아브라함과 애를 배지 못하는 사라는 인간적인 수단으로 자녀를 취했으나 이에 대한 갈등으로 하나님은 사라를 취해 이삭을 주신다.
이와 동일한 약속은 이후 세대의 족장들에게도 각각 재천명되었다. 그러므로 구속사에서 족장들의 시대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들을 선택하고 그들에게 약속을 준 시대 였다.
☞믿음과 의. 아브라함의 이야기에서 무수한 후손들에 대한 약속은 아들 하나가 주어질 것이냐 하는 하나의 흥미진진한 문제로 축소된다. 그리고 정도를 벗어날 정도로 지연된다. 아브라함의 소명에 대한 이야기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이 이야기들의 핵심은 아브라함의 신앙심이 분명하다. 아브라함의 신앙에 대한 기록의 정점은 이삭을 소위 희생제물로 드리는 22장의 이야기 이다. 이것은 아브라함이 받은 시험 이었다. 시험을 이긴 아브라함에게 하나님은 더한 축복을 더하시고 약속을 하신다.
☞언약. 창세기 12~50장에서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또 한 가지 요소는 15.17장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이다. 15장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약속의 확실성을 아브라함에게 확증시켜 주시기 위해서 사징적으로 자신을 저주 아래 두심으로써 자신을 낮추신다. 맹세를 하는 쪽은 하나님 이었으며, 아브라함에게서는 아무 것도 요구되지 않았다.
이점에서 아브라함의 언약은 모세의 언약과 다르다. 아브라함 언약에서는 하나님이 의무를 짊어지시시지만 모세 언약에서는 언약의 수령자인 이스라엘이 멩세를 요구 하도록 요구 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이스라엘은 엄격한 규정들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두언약은 그 결과들에서도 완전히 달랐다.
창세기는 구속사의 드라마에서 그 다음 막, 즉 애굽의 노예 상태로부터의 구원이라는 막을 시작 하기 위한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추천자료
전도의 실재
모세의 야웨 종교, 그 첫 번째 영향
기독교와 문화의 실예
팔레스타인 문제와 중동의 미래 ( 이스라엘과의 관계, 중동 전쟁 자료 포함 )
구약 세미나 레포트
사탄의 기원과 반역
애플(APPLE)의 성공요인
요한웨슬리와 영국기독교
애플,애플MP3,MP3시장,MP3,애플엠피쓰리,애플전략,애플마케팅
과학이 종교를 만날 때
신천지
성경적 인간 이해(Image of God and the Fall) - 존재론적 이해(육체적 의미, 이상적 의미, ...
아동복지4공통) UN의 아동권리협약의 개념을 기술하고, 이 협약이 세계 아동권리 향상에 미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