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의 언어정책
Ⅱ. 북한의 이질화된 언어
1. 한자어 변형
2. 외래어
3. 일상 용어
4. 스포츠 용어
5. 문학예술 용어
6. 의학 용어
7. 의류 용어
8. 수학 용어
Ⅲ. 북한의 호칭어
1. 부모와 자녀사이
1) 아버지
2) 어머니
3) 아들
4) 딸
2.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
1) 아버지
2) 시어머니
3) 며느리
3. 처부모와 사위사이
1) 장인
2) 장모
3) 사위
4. 남편과 아내에 대하여
1) 남편
2) 아내
3)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5.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Ⅳ. 북한의 외래어
Ⅴ. 북한의 은어
참고문헌
Ⅱ. 북한의 이질화된 언어
1. 한자어 변형
2. 외래어
3. 일상 용어
4. 스포츠 용어
5. 문학예술 용어
6. 의학 용어
7. 의류 용어
8. 수학 용어
Ⅲ. 북한의 호칭어
1. 부모와 자녀사이
1) 아버지
2) 어머니
3) 아들
4) 딸
2.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
1) 아버지
2) 시어머니
3) 며느리
3. 처부모와 사위사이
1) 장인
2) 장모
3) 사위
4. 남편과 아내에 대하여
1) 남편
2) 아내
3)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5.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하여
Ⅳ. 북한의 외래어
Ⅴ. 북한의 은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에 쓰임.
- 기쁨 : 뇌물. 뇌물이라는 것은 어렵거나 되지 않을 일을 성사시켜 주어서 기쁘고, 상대방은 받아서 기쁘다는 의미에서 나옴.
- 김대지주 : 김일성. 1946년 토지개혁 및 1958년 농민의 협동화 등을 구실로 토지를 집단화함으로써 농민은 농업 노동자로 전락한 반면, 김일성은 북한의 많은 토지를 점유하게 되었다는 데서 나온 말.
- 김마두 동무 : 김일성은 마적단 두목이라는 말.
- 김인백 동무 : 김일성은 인간 백정이라는 말. 1960년초에 원산농업대학 화장실에서 발견되어 현재에 이름.
- 김피내동무 : 김일성은 피비린내나는 살육을 하는 인간이라는 뜻.
- 까달쟁이 : 멋을 내는 여성.
- 까마귀가 울어 : 인민재판이나 군중재판이 있는 날이면 그것이 열림을 알리는 말. 전래에 까마귀를 불길한 징조를 알리는 새로 인식한데서 옴. 50년대 중반부터 쓰임.
- 까치는 까치끼리 산다 : 처지가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산다는 뜻으로 북한에서는 월남자 가족, 지주, 자본가 자녀 등 핵시몌층에서 제외된 자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직장배치아 생활영역이 한정 되어 있다는 뜻.
- 까투리 새끼들 : 북한의 정치선전을 하는 당원들이 주둥이만 까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지금은 김정일과 3혁소조원(三革小組員)들을 지칭하는 말.
- 깍깍 : 마귀가 울어 참조.
- 깔 : 애인.
- 깔개 : 적(性的)인 상대역까지 하는 당 간부의 여비서.
- 깜빡이는 촛불 : 당증 없이 사는 비당원의 신세를 한탄하는 말. 폭풍 앞에 깜박이는 촛불처럼 언제 강제 이주, 강제 노동을 당할지 모르는 자신들의 신세를 한탄.
- 깡잽이 : 큰 도둑은 못되고 깡으로만 사는 사람들.
- 꽃제비 : 소매치기.
- 꿈만 같아 : 재일교포가 북송되었을 때, 그들의 생활양식을 보고 부러워 한 말.
- 꿈은 깨어지고 : 재일교포가 북송되어 살아 본 후,북한의 선전이 거짓이었음을 알고 한탄하며 쓰는 말.
- 남도투 : 남쪽에서 강제로 이주된 사람들.
- 남풍 : 南風. 자유 통일을 갈망하는 말.
- 냄새배급 : 공산 특권층의 결혼식을 비꼬는 말. 일반주민은 그 냄새나 맡는다는 말.
- 노깔 : 할머니.
- 농포 : 농장원.
- 높은 자리는 벼락맞기 쉽고 나즈막한 자리가 좋다 : 간부 등 고위직에 있다가 조그만 잘못만 저질러도 숙청당하는 예가 허다하기에 이를 풍자한 말.
- 눈치밥 : 북한군 사병들의 군대밥.
- 늑대 : 당 비서를 빈정되는 말. 주로 여자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
- 다마내기 정책 : 북한이 발표하는 모든 정책이 구태의연해서 아무리 껍질을 벗겨도 내용이 같다는 뜻.
- 당세 쓰네 : 당원이라고 으시대며 권력을 남용하는 자를 비꼬는 말.
- 대용쌀 : 배추, 무, 시래기 등을 가리키는 말.
- 대지주 : 김일성은 북한 토지를 깡그리 차지하고 있는 독재자라는 뜻.
- 대패밥 : 북한군 하전사 사이에서 유행하는 말. 대패로 널빤지를 밀듯 밥그릇을 주것으로 평평하게 밀어 담은 밥그릇을 일컫는 말이다.
- 대패밥 고기 : 1년에 한두 번 주는 고기를 그나마 양을 줄이기 위해 대패밥처럼 얇게 썰어주는 것을 비꼬는 말.
- 도깨비 군관 : 성분이 좋아서 계급이 일년에도 몇 계급식 뛰어 오르는 도깨비 인사로 진급된 정치군인을 가리키는 말.
- 도깨비 인사 : 성분이 좋아서 계급이 일년에도 몇 계급식 뛰어 오르는 인사.
- 도살장 : 소위 반동분자 수용소를 가리키는 말. 양강도, 자강도에 있다.
- 독거미 : 당의 비밀 정보원. 사복 안전원, 또는 거미줄처럼 얼기설기 얽어 놓은 감시망을 가리키는 말.
- 돈수대근탕 : 豚水大根湯. 고기는 한점 없이 돼지국물에 무를 띄운 국을 빈정대는 말.
- 돈이 날개 : 배금주의 확산 풍조를 빗댐.
- 동값 : 결혼 적령기의 25세 처녀들.
- 돼지사냥 : 이(蝨)를 돼지로 비유해서 이 잡는 것을 말함.
- 돼지 장화 신고 걸어간다 : 함숙소 같은 곳에서 고기국(육류)가 나올 때, 고기 건더기는 전혀 없고 멀건 국물만 나올 때 빈정대는 말.
- 돼지 혈액형 : 전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채혈작업에서 다른 사람에게는 수혈해 주지 못하고 받는 것만 가능한 AB 형을 가리키는 말.
- 뒷구멍치기 : 당 간부등 특권층이 암거래로 생필품을 구입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따왕 : 대왕(大王)으로 김일성을 가리킴.
- 따지기(꾼) : 신분의 성분조사를 이르는 말. 혹은 사회성분을 따지기 좋아하는 당 간부를 비꼬는 말.
- 땅집 : 주민들의 어려운 생활 여건을 자조하는 말. 땅집은 원래 재래식 단독 주택을 가리키는 데,주택 부족으로 어려울 때 <땅집이라도 그립다>고 한다.
- 때밀기 : 대중 목욕탕이 부족하여 목욕을 자주 못하는데서 나온 말. 성관계를 의미함.
- 땡늘 : 할아버지
- 또 벌잠이야 : 농촌에서 강요하는 영화관람을 빗대어 하는 말. 북한은 이동 영사대를 농촌으로 파견하여 그것도 온종일 일에 지친 농민들이 쉴 시간에 상영한데서 나온 말.
- 똥값 : 결혼 적령기가 지난 26세 이상의 처녀들.
- 뚜룩꾼 : 쓰리꾼.
- 로선생 : 말보르 및 로스만 담배를 일컫는 것으로 간부들의 외제 선호 현상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 마동무 : 말보르 및 로스만 담배를 일컫는 것으로 간부들의 외제 선호 현상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 마적단 : 인민군. 인민군들이 인근 마을을 자꾸 강탈한다는 데서 나온 말.
- 망나니 : 김정일.
- 망태기 : 사고를 치는 것.
- 먹을알 : 뇌물.
- 메뚜기 : 당에 대한 충성심을 과시하기 위해 주민들을 못살게 구는 당원들을 지칭하는 말.
- 몸낸다 : 작업량이 적게 할당되어 쉽게 작업을 완료하고 푹 쉴 수 있을 때 쓰임.
참고문헌
김응모·최호철(2000) / 통일대비 남북한언어 이해, 세종출판사
김민수(2002)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국립국어연구원(1992) / 북한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말다듬기 자료집(1990) / 서울
이은정(1996) / 남북한 어문 규범 고찰, 백산출판사
홍종선(1993) / 어문 분야의 남·북 동질화, 북한문화연구, 문화체육부
홍종선·최호철(1998) / 남북 언어 통일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 기쁨 : 뇌물. 뇌물이라는 것은 어렵거나 되지 않을 일을 성사시켜 주어서 기쁘고, 상대방은 받아서 기쁘다는 의미에서 나옴.
- 김대지주 : 김일성. 1946년 토지개혁 및 1958년 농민의 협동화 등을 구실로 토지를 집단화함으로써 농민은 농업 노동자로 전락한 반면, 김일성은 북한의 많은 토지를 점유하게 되었다는 데서 나온 말.
- 김마두 동무 : 김일성은 마적단 두목이라는 말.
- 김인백 동무 : 김일성은 인간 백정이라는 말. 1960년초에 원산농업대학 화장실에서 발견되어 현재에 이름.
- 김피내동무 : 김일성은 피비린내나는 살육을 하는 인간이라는 뜻.
- 까달쟁이 : 멋을 내는 여성.
- 까마귀가 울어 : 인민재판이나 군중재판이 있는 날이면 그것이 열림을 알리는 말. 전래에 까마귀를 불길한 징조를 알리는 새로 인식한데서 옴. 50년대 중반부터 쓰임.
- 까치는 까치끼리 산다 : 처지가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산다는 뜻으로 북한에서는 월남자 가족, 지주, 자본가 자녀 등 핵시몌층에서 제외된 자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직장배치아 생활영역이 한정 되어 있다는 뜻.
- 까투리 새끼들 : 북한의 정치선전을 하는 당원들이 주둥이만 까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지금은 김정일과 3혁소조원(三革小組員)들을 지칭하는 말.
- 깍깍 : 마귀가 울어 참조.
- 깔 : 애인.
- 깔개 : 적(性的)인 상대역까지 하는 당 간부의 여비서.
- 깜빡이는 촛불 : 당증 없이 사는 비당원의 신세를 한탄하는 말. 폭풍 앞에 깜박이는 촛불처럼 언제 강제 이주, 강제 노동을 당할지 모르는 자신들의 신세를 한탄.
- 깡잽이 : 큰 도둑은 못되고 깡으로만 사는 사람들.
- 꽃제비 : 소매치기.
- 꿈만 같아 : 재일교포가 북송되었을 때, 그들의 생활양식을 보고 부러워 한 말.
- 꿈은 깨어지고 : 재일교포가 북송되어 살아 본 후,북한의 선전이 거짓이었음을 알고 한탄하며 쓰는 말.
- 남도투 : 남쪽에서 강제로 이주된 사람들.
- 남풍 : 南風. 자유 통일을 갈망하는 말.
- 냄새배급 : 공산 특권층의 결혼식을 비꼬는 말. 일반주민은 그 냄새나 맡는다는 말.
- 노깔 : 할머니.
- 농포 : 농장원.
- 높은 자리는 벼락맞기 쉽고 나즈막한 자리가 좋다 : 간부 등 고위직에 있다가 조그만 잘못만 저질러도 숙청당하는 예가 허다하기에 이를 풍자한 말.
- 눈치밥 : 북한군 사병들의 군대밥.
- 늑대 : 당 비서를 빈정되는 말. 주로 여자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
- 다마내기 정책 : 북한이 발표하는 모든 정책이 구태의연해서 아무리 껍질을 벗겨도 내용이 같다는 뜻.
- 당세 쓰네 : 당원이라고 으시대며 권력을 남용하는 자를 비꼬는 말.
- 대용쌀 : 배추, 무, 시래기 등을 가리키는 말.
- 대지주 : 김일성은 북한 토지를 깡그리 차지하고 있는 독재자라는 뜻.
- 대패밥 : 북한군 하전사 사이에서 유행하는 말. 대패로 널빤지를 밀듯 밥그릇을 주것으로 평평하게 밀어 담은 밥그릇을 일컫는 말이다.
- 대패밥 고기 : 1년에 한두 번 주는 고기를 그나마 양을 줄이기 위해 대패밥처럼 얇게 썰어주는 것을 비꼬는 말.
- 도깨비 군관 : 성분이 좋아서 계급이 일년에도 몇 계급식 뛰어 오르는 도깨비 인사로 진급된 정치군인을 가리키는 말.
- 도깨비 인사 : 성분이 좋아서 계급이 일년에도 몇 계급식 뛰어 오르는 인사.
- 도살장 : 소위 반동분자 수용소를 가리키는 말. 양강도, 자강도에 있다.
- 독거미 : 당의 비밀 정보원. 사복 안전원, 또는 거미줄처럼 얼기설기 얽어 놓은 감시망을 가리키는 말.
- 돈수대근탕 : 豚水大根湯. 고기는 한점 없이 돼지국물에 무를 띄운 국을 빈정대는 말.
- 돈이 날개 : 배금주의 확산 풍조를 빗댐.
- 동값 : 결혼 적령기의 25세 처녀들.
- 돼지사냥 : 이(蝨)를 돼지로 비유해서 이 잡는 것을 말함.
- 돼지 장화 신고 걸어간다 : 함숙소 같은 곳에서 고기국(육류)가 나올 때, 고기 건더기는 전혀 없고 멀건 국물만 나올 때 빈정대는 말.
- 돼지 혈액형 : 전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채혈작업에서 다른 사람에게는 수혈해 주지 못하고 받는 것만 가능한 AB 형을 가리키는 말.
- 뒷구멍치기 : 당 간부등 특권층이 암거래로 생필품을 구입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따왕 : 대왕(大王)으로 김일성을 가리킴.
- 따지기(꾼) : 신분의 성분조사를 이르는 말. 혹은 사회성분을 따지기 좋아하는 당 간부를 비꼬는 말.
- 땅집 : 주민들의 어려운 생활 여건을 자조하는 말. 땅집은 원래 재래식 단독 주택을 가리키는 데,주택 부족으로 어려울 때 <땅집이라도 그립다>고 한다.
- 때밀기 : 대중 목욕탕이 부족하여 목욕을 자주 못하는데서 나온 말. 성관계를 의미함.
- 땡늘 : 할아버지
- 또 벌잠이야 : 농촌에서 강요하는 영화관람을 빗대어 하는 말. 북한은 이동 영사대를 농촌으로 파견하여 그것도 온종일 일에 지친 농민들이 쉴 시간에 상영한데서 나온 말.
- 똥값 : 결혼 적령기가 지난 26세 이상의 처녀들.
- 뚜룩꾼 : 쓰리꾼.
- 로선생 : 말보르 및 로스만 담배를 일컫는 것으로 간부들의 외제 선호 현상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 마동무 : 말보르 및 로스만 담배를 일컫는 것으로 간부들의 외제 선호 현상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 마적단 : 인민군. 인민군들이 인근 마을을 자꾸 강탈한다는 데서 나온 말.
- 망나니 : 김정일.
- 망태기 : 사고를 치는 것.
- 먹을알 : 뇌물.
- 메뚜기 : 당에 대한 충성심을 과시하기 위해 주민들을 못살게 구는 당원들을 지칭하는 말.
- 몸낸다 : 작업량이 적게 할당되어 쉽게 작업을 완료하고 푹 쉴 수 있을 때 쓰임.
참고문헌
김응모·최호철(2000) / 통일대비 남북한언어 이해, 세종출판사
김민수(2002)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국립국어연구원(1992) / 북한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말다듬기 자료집(1990) / 서울
이은정(1996) / 남북한 어문 규범 고찰, 백산출판사
홍종선(1993) / 어문 분야의 남·북 동질화, 북한문화연구, 문화체육부
홍종선·최호철(1998) / 남북 언어 통일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