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척수손상][척수손상환자]척수의 정의, 척수의 구조, 척수의 손상, 척수의 손상 원인과 병태생리, 척수의 손상에 대한 임상적 증상과 진단적 소견, 척수의 손상으로 인한 합병증, 척수손상환자의 신체이동동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수][척수손상][척수손상환자]척수의 정의, 척수의 구조, 척수의 손상, 척수의 손상 원인과 병태생리, 척수의 손상에 대한 임상적 증상과 진단적 소견, 척수의 손상으로 인한 합병증, 척수손상환자의 신체이동동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척수의 정의

Ⅲ. 척수의 구조
1. 척수의 분절(segments of spinal cord)
2. 팽대부
3. 척수원뿔
4. 종말끈
5. 말총
6. 표면구조
1) 등쪽정중고랑(dorsal median sulcus)
2) 배쪽정중틈새(ventral median fissure)
3) 등쪽외측고랑(dorsal lateral sulcus)
7. 척수신경의 기능적 성분(functional components)
8. 척수의 단면
1) 회색질
2) 백색질
9. 척수의 신경로
1) 신경로(Tract)
2) 신경다발(Fascicle)
3) 신경섬유단(Funiculus)
4) 신경로의 일반적 유형(general type)
5) 신경로의 일반적 위치(gneral location)

Ⅳ. 척수의 손상

Ⅴ. 척수의 손상 원인과 병태생리
1. 발생빈도
2. 원인과 위험요인
3. 손상기전
1) 굴곡손상
2) 신전손상
3) 압박손상
4) 관통상

Ⅵ. 척수의 손상에 대한 임상적 증상과 진단적 소견
1. 손상기전
1) 임상적 증상
2) 손상수준 정도
2. 반사 변화
3. 근육경련
4. 자율신경 반사 이상
5. 척수 쇽
6. 척수손상의 임상적 분류
1) 완전 손상
2) 불완전 척수 손상
7. 진단적 평가

Ⅶ. 척수의 손상으로 인한 합병증

Ⅷ. 척수손상환자의 신체이동동작
1. 제 5 경추
2. 제 6 경추
3. 제 7 경추
4. 제 1 흉추
5. 제 6 흉추
6. 제 12 흉추
7. 제 4 요추

참고문헌

본문내용

받는 세포들로 구성된다. Laminae Ⅰ~Ⅲ은 통각을 운반하는 작은 무수초섬유를 받는다. 이 중 laminae Ⅱ를 아교질(sustantia gelatinosa)이라고 하며 통각에 특히 중요한 부위이다.
Laminae Ⅳ~Ⅵ은 깊은 구조로부터 오는 수입섬유를 받는다. 대뇌피질과 적색핵으로부터 오는 투사섬유를 받는 사이신경원도 들어 있다.
○ Lamina Ⅶ : 외측뿔의 신경원이 위치(intermediate nucleus)
○ Lamina Ⅷ : ① 그물척수로와 전정척수로의 내림섬유를 받고, ② 같은쪽 또는 반대쪽의 이웃한 층판에 투사섬유를 보내는 짧은 신경원을 함유한다.
○ Lamina Ⅸ : 운동신경원 함유
○ Lamina Ⅹ : 교차신경원
2) 백색질
백색질은 신경섬유 다발을 이루어 모여있는 곳으로 회색질을 둘러싸고 있다. 백색질은 있는 곳에 따라 편의상 등쪽, 외측 및 배쪽섬유단으로 구분한다. 등쪽섬유단은 등쪽정중고랑과 척수신경 등쪽뿌리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섬유단은 척수신경의 등쪽뿌리와 배쪽뿌리 사이, 배쪽섬유단은 배쪽정중틈새와 척수신경 배쪽뿌리 사이에 위치한다.
* 같은 신경핵에서 일어나서 함께 달리며 같은 신경핵에 종지하는 신경섬유의 집단을 신경로(tracts) 또는 신경다발(fasciculus)이라고 하며, 신경로가 모여서 이루어진 단위가 섬유단(funiculi)이다.
가) 등쪽섬유단(dorsal funiculus)
주로 오름신경로로 구성되나 동물에 따라서는 일부 내림신경로도 있다. 왼쪽과 오른쪽의 등쪽섬유단은 dorsal septm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각 등쪽섬유단은 안쪽의 얇은다발(gracile fasciculus)과 바깥쪽의 쐐기다발(cuneat fasciculus)로 되어 있다.
나) 외측섬유단(lateral funiculus)
오름 및 내림신경로가 섞여 있다.
다) 배쪽섬유단(ventral funiculus)
주로 내림신경로로 되어 있으나 일부 오름신경로도 있다. 왼쪽과 오른쪽의 배쪽섬유단은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고 좁은 백색교련(백색질맞교차, white commissure)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백색교련을 통하여 한쪽 척수로부터 반대쪽 척수로 섬유가 건너간다.
* 고유다발 fasciculus proprius(dorsal, lateral, ventral)
회색질과 백색질의 경계에 있는 신경섬유 다발이다.
척수에서 일어나 같은 척수에 그치는 축삭들이나 또는 이웃한 척수분절의 신경원을 연결하는 신경섬유들이다.
오름신경섬유와 내림신경섬유가 모두 포함된다.
9. 척수의 신경로
1) 신경로(Tract)
기시, 종지, 주행경로 및 기능이 같은 신경섬유의 집단이다.
2) 신경다발(Fascicle)
여러 신경로가 모인 것을 의미하며, 흔히 신경로와 혼용하여 사용된다.
3) 신경섬유단(Funiculus)
오름신경로(ascending tracts)와 내림신경로(descending tract)가 모인 백색질(white matter)로서 척수에서만 관찰할 수 있는데 다음의 3 종류가 있다.
(1) 등쪽섬유단(posterior funiculus)
(2) 외측섬유단(lateral funiculus)
(3) 배쪽섬유단(anterior funiculus)
4) 신경로의 일반적 유형(general type)
(1) 오름신경로(ascending tract)
척수에서 뇌쪽으로 올라가는 신경로란 의미에서 붙혀진 명칭이며, 감각을 전달하기 때문에 들신경로(afferent fiber) 또는 감각신경섬유(sensory fibers)라고도 한다.
(2) 내림신경로(descending tracts)
뇌에서 척수로 내려오는 신경로란 의미에서 붙혀진 명칭이며, 운동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날신경로(efferent fibers) 또는 운동신경섬유(motor fibers)라고도 한다.
5) 신경로의 일반적 위치(gneral location)
긴신경로(long tracts)는 척수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짧은 신경로(short tracts)는 척수의 안쪽에 있는 회색질(gray matter)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Ⅳ. 척수의 손상
척수 손상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척추 내지 척수 주위 구조물의 손상이 있거나 척수 신경 자체의 손상이 있어 그로 인해 운동기능 장애 및 감각 기능 장애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척수 손상이 있으면 척수 손상 이하 신체 부분은 마비 상태가 된다. 또한 마비상태는 다양하여 완전 절단, 좌, 우측 손상, 전반부, 후반부 손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경추손상은 양측 상지와 하지마비, 흉추, 요추 및 천추 손상은 하지 마비를 일으키며, 그 이하 부위의 감각 마비, 운동성 소실 및 방광과 항문의 마비가 온다.
좌, 우측 중 한쪽의 척수가 손상된 경우는 그 이하 신체 증상이 달라서 손상측은 경련성 마비 그리고 반대측에는 통각, 온냉각의 소실이 온다. 전반부 손상시에는 감각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양하지에 경련성 마비가 현저하며, 척수의 후반부 손상시에는 반대로 감각 중 촉각과 위치감각이 마비되며 이로 인하여 운동실조(ataxia)가 장애로 나타난다. 척수 손상 직후에는 손상 부위의 하방에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가 발생하며 이를 척수 쇼크 시기(spinal shock period)라고 하며 수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데 그 후 손상부위와 정도에 따라서 영구히 이완 마비로 남거나, 아니면 경련성 마비(spasticity)로 된다.
이렇게 이완성에서 경련성으로 변화하는 동안, 척추에 생겼던 골절이나 탈구는 회복이 시작된다. 단순한 탈구(dislocation)일 때는 인대조직의 치유는 6~12 주간을 요하며, 골절 후의 치유는 6개월을 요한다. 흉추 부위는 하위부에서 압박 골절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이로써 척주구배(kyphosis)가 증가하고 신경관의 침해가 발생하기 쉽다. 부전 탈구나 탈구는 이 부위에는 드물다.
요추 부위는 압박 골절이나 복잡골절, 부전 탈구가 있는 골절, 신경공의 침해 또는 완전골절 및 탈구증이 많이 발생한다. 척수 손상 후에 혈관장애와 생화학적 변화로 손상절에 괴사와 결색이 일어나나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