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 한국 윤리의 연원
(2) 한국 윤리의 전개
(2) 한국 윤리의 전개
본문내용
, 제 9장 접인(接人)에는 사회생활를 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양이, 제 10장 처세(處世)에는 과거를 거쳐 벼슬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자세가 실려 있다.
전통 문화 연구회, 「동몽선습 격몽요결」 , 성백호 역주
참고 자료 -목민심서(牧民心書)
정조 때 문신, 학자 다산 정약용이고금의 여러 책에서 지방 장관의 사적을 가려 뽑아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를 논술한 책이다.
필사본, 48권 16책으로 규장각 도서이다. 저자의 「경세유표(經世遺表)」가 정부 기구의 제도적 개혁론을 편 것이라면, 이 책은 지방 관헌의 윤리적 각성과 농민 경제의 정상화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순조 때 천주교 박해로 전남 강진에서 귀양생활을 하는 동안에 저술 한 것으로, 조선과 중국의 역사서를 비롯하여 여러 자료를 뽑아 수록하여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 행정을 쇄신하고자 한 것이다. 내용은 모두 12편으로 가 편을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엮었다.
참고 자료- 동몽선습(童蒙先習)
조선시대 서당에서 교재로 사용한 책이다. 조선 중종 때 학자 박세무가 저술하여 1670년(현종11년)에 간행되었다. 천자문을 익히고 난 후의 학동들이 배우는 초급 교재로, 먼저 서론에 인간이 금수와 다른 점은 오륜(五倫)이 있기 때문임을 밝히고 차례로 오륜의 도리, 즉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을 설명하였다. 이어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대 사실과 한국의 단군에서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그 내용을 자세히 보면, 총론(總論)을 붙였으며 뒤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이 책의 중요성을 깨달은 영조는 교서관으로 하여금 발간하여 널리 보급하도록 하였다. 1541년(중종36년)의 중간본만 전하며, 1742년 영조가 쓴 서(序)와 1770년에 송시열이 쓴 발(跋)이 있다.
전통 문화 연구회, 「동몽선습 격몽요결」 , 성백호 역주
인물학습 - 이이(李珥, 1536~1584)
1. 탄생과 어린 시절
1) 중종31년에 외가인 강릉의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2) 그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꿈에 용을 보고 그를 낳았다하여 현룡(見龍)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3) 남달리 총명하여 세 살 때 이미 말과 함께 들을 배우기 시작하였음
4) 여덟 살에는 고향에 있는 정자에 올라가 가을 풍경을 노래한 훌륭한 시를 짓기도 하였 다.
5) 열세 살 때에 처음 과거에 급제한 후 스물아홉의 나이로 관직에 나서기 까지 무려 아홉 차례나 장원 급제를 하였다.
2. 어머니에 대한 효성
1) 다섯 살 때에 어머니께서 병이 들어 위독하자, 그는 외가의 사당 섬돌 아래 엎드려 어 머니의 병환이 낫게 해 달라고 빌었다.
2) 열여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게 되자, 어머니의 무덤 옆에 묘막을 짓고, 3년 동안을 비 가 오나 눈이오나 아침 저녁으로 메(밥)을 지어 올리면서 무덤을 돌보았다.
3. 주요사상
1) 그는 인간의 본성과 세상의 이치에 관한 성리학(性理學)을 깊게 연구하여 우리나라 학문 발전에 크게 공헌함
2) 이기론(理氣論)
① 理는 모든 존재가 바로 그것이 되며, 그렇게 있도록 하는 본래의 성질을 말한다.
② 氣는 이를 나타내게 하는 것이다.
③ 즉, 理는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것이며, 氣 는 활동하고 작용하며 변화하는 것이다.
3) 실(實)사상
① 학문의 목적이 안으로는 자신을 수양하고 밖으로는 사기 좋은 사회와 국가를 만드는 데 있다고 생각하여 실(實)을 강조하였다.
② 실(實): 실제를 중시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말
“아침이 다 지나도록 밥상만 구경하고 배 한번 불러 보지 못하고 있듯이, 빈말뿐이고 실(實)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 밥상이 있으면 먹어서 배가 불러야 하듯이 어떤 학문이나 이론도 실제로 소용되고 거두는 바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4. 사회개혁 사상
1) 위와 같은 주요 사상을 바탕으로 이이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당시 사회를 개혁하고자 노력하였다.
2) 주장한 여러 정책
① 인물중심으로 벼슬에 등용할 것
② 백성들의 무거운 세금을 줄여 줄 것
③ 천민에게 양민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
④ 말길(言路)을 열어줄 것
⑤ 국방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10만의 군대를 기를 것
참고 자료 - 격몽요결
부모님께서 병환이 있으시거든 마음으로 근심하고 얼굴빛이 저상(沮喪)되어, 다른 일은 버려두고 다만 의원에게 묻고 약을 짓는 일에 힘쓸지니, 병이 그치시거든 처음하던 일을 회복할 것이다. (한자 못쓰겠음ㅠ)
일상 생활 하는 사이와 잠깐 동인이라도 부모를 잊지 않은 뒤에야 효도한다고 이름할 수 있으니, 저 몸가짐을 삼가지 않으며 말을 냄이 법도가 없어 세월을 보내는 자는 모두 부모를 잊은 자이다.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아서 어버이를 섬기기를 오래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식된 자는 모름지기 정성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미치지 못할 듯이 함이 옳다. 옛 사람의 시(詩)에 이르기를, “옛날 사람은 하루의 보양을 삼공(三公)과도 바꾸지 않는다.”하였으니, 이른바 날짜를 아낀다는 것이 이와 같다.
사람들이 벼슬하지 않을 때에는 오직 벼슬 하는 것을 급히 여기고, 이미 벼슬에 오른 뒤에는 또 벼슬을 잃을까 걱정하니, 이와 같이 골몰하여 그 본심을 잃은 자가 많다.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지위가 높은 자는 도(道)를 행함을 주장하니, 도가 행해질 수 없으면 물러나야 할 성이요, 만일 집이 가난하여 녹봉을 받기 위한 벼슬을 면치 못한다면, 모름지기 내직(內職)을 사양하고 외직(外職)으로 나가며, 높은 자리를 사양하고 낮은 자리에 처하여 굶주림과 추위를 면할 뿐이다. 비록 녹봉을 받기 위한 벼슬이라고 하나, 또한 마땅히 청렴하고 부지런히 공무를 받들어 행하여 그 직무를 다할 것이요, 관직을 버려 두고 음식(녹봉)을 먹으려고 해서는 안된다.
참고 자료- 이율곡의 생애와 사상
흔히 퇴계 이황을 영남학파, 율곡 이이를 기호학파의 대표라고 하여 경쟁관계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각각 동인정파와 서인정파로 갈라져 정치 현장에서 경쟁한 사실에서 비롯
전통 문화 연구회, 「동몽선습 격몽요결」 , 성백호 역주
참고 자료 -목민심서(牧民心書)
정조 때 문신, 학자 다산 정약용이고금의 여러 책에서 지방 장관의 사적을 가려 뽑아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를 논술한 책이다.
필사본, 48권 16책으로 규장각 도서이다. 저자의 「경세유표(經世遺表)」가 정부 기구의 제도적 개혁론을 편 것이라면, 이 책은 지방 관헌의 윤리적 각성과 농민 경제의 정상화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순조 때 천주교 박해로 전남 강진에서 귀양생활을 하는 동안에 저술 한 것으로, 조선과 중국의 역사서를 비롯하여 여러 자료를 뽑아 수록하여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 행정을 쇄신하고자 한 것이다. 내용은 모두 12편으로 가 편을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엮었다.
참고 자료- 동몽선습(童蒙先習)
조선시대 서당에서 교재로 사용한 책이다. 조선 중종 때 학자 박세무가 저술하여 1670년(현종11년)에 간행되었다. 천자문을 익히고 난 후의 학동들이 배우는 초급 교재로, 먼저 서론에 인간이 금수와 다른 점은 오륜(五倫)이 있기 때문임을 밝히고 차례로 오륜의 도리, 즉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을 설명하였다. 이어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대 사실과 한국의 단군에서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그 내용을 자세히 보면, 총론(總論)을 붙였으며 뒤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이 책의 중요성을 깨달은 영조는 교서관으로 하여금 발간하여 널리 보급하도록 하였다. 1541년(중종36년)의 중간본만 전하며, 1742년 영조가 쓴 서(序)와 1770년에 송시열이 쓴 발(跋)이 있다.
전통 문화 연구회, 「동몽선습 격몽요결」 , 성백호 역주
인물학습 - 이이(李珥, 1536~1584)
1. 탄생과 어린 시절
1) 중종31년에 외가인 강릉의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2) 그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꿈에 용을 보고 그를 낳았다하여 현룡(見龍)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3) 남달리 총명하여 세 살 때 이미 말과 함께 들을 배우기 시작하였음
4) 여덟 살에는 고향에 있는 정자에 올라가 가을 풍경을 노래한 훌륭한 시를 짓기도 하였 다.
5) 열세 살 때에 처음 과거에 급제한 후 스물아홉의 나이로 관직에 나서기 까지 무려 아홉 차례나 장원 급제를 하였다.
2. 어머니에 대한 효성
1) 다섯 살 때에 어머니께서 병이 들어 위독하자, 그는 외가의 사당 섬돌 아래 엎드려 어 머니의 병환이 낫게 해 달라고 빌었다.
2) 열여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게 되자, 어머니의 무덤 옆에 묘막을 짓고, 3년 동안을 비 가 오나 눈이오나 아침 저녁으로 메(밥)을 지어 올리면서 무덤을 돌보았다.
3. 주요사상
1) 그는 인간의 본성과 세상의 이치에 관한 성리학(性理學)을 깊게 연구하여 우리나라 학문 발전에 크게 공헌함
2) 이기론(理氣論)
① 理는 모든 존재가 바로 그것이 되며, 그렇게 있도록 하는 본래의 성질을 말한다.
② 氣는 이를 나타내게 하는 것이다.
③ 즉, 理는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것이며, 氣 는 활동하고 작용하며 변화하는 것이다.
3) 실(實)사상
① 학문의 목적이 안으로는 자신을 수양하고 밖으로는 사기 좋은 사회와 국가를 만드는 데 있다고 생각하여 실(實)을 강조하였다.
② 실(實): 실제를 중시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말
“아침이 다 지나도록 밥상만 구경하고 배 한번 불러 보지 못하고 있듯이, 빈말뿐이고 실(實)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 밥상이 있으면 먹어서 배가 불러야 하듯이 어떤 학문이나 이론도 실제로 소용되고 거두는 바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4. 사회개혁 사상
1) 위와 같은 주요 사상을 바탕으로 이이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당시 사회를 개혁하고자 노력하였다.
2) 주장한 여러 정책
① 인물중심으로 벼슬에 등용할 것
② 백성들의 무거운 세금을 줄여 줄 것
③ 천민에게 양민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
④ 말길(言路)을 열어줄 것
⑤ 국방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10만의 군대를 기를 것
참고 자료 - 격몽요결
부모님께서 병환이 있으시거든 마음으로 근심하고 얼굴빛이 저상(沮喪)되어, 다른 일은 버려두고 다만 의원에게 묻고 약을 짓는 일에 힘쓸지니, 병이 그치시거든 처음하던 일을 회복할 것이다. (한자 못쓰겠음ㅠ)
일상 생활 하는 사이와 잠깐 동인이라도 부모를 잊지 않은 뒤에야 효도한다고 이름할 수 있으니, 저 몸가짐을 삼가지 않으며 말을 냄이 법도가 없어 세월을 보내는 자는 모두 부모를 잊은 자이다.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아서 어버이를 섬기기를 오래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식된 자는 모름지기 정성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미치지 못할 듯이 함이 옳다. 옛 사람의 시(詩)에 이르기를, “옛날 사람은 하루의 보양을 삼공(三公)과도 바꾸지 않는다.”하였으니, 이른바 날짜를 아낀다는 것이 이와 같다.
사람들이 벼슬하지 않을 때에는 오직 벼슬 하는 것을 급히 여기고, 이미 벼슬에 오른 뒤에는 또 벼슬을 잃을까 걱정하니, 이와 같이 골몰하여 그 본심을 잃은 자가 많다.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지위가 높은 자는 도(道)를 행함을 주장하니, 도가 행해질 수 없으면 물러나야 할 성이요, 만일 집이 가난하여 녹봉을 받기 위한 벼슬을 면치 못한다면, 모름지기 내직(內職)을 사양하고 외직(外職)으로 나가며, 높은 자리를 사양하고 낮은 자리에 처하여 굶주림과 추위를 면할 뿐이다. 비록 녹봉을 받기 위한 벼슬이라고 하나, 또한 마땅히 청렴하고 부지런히 공무를 받들어 행하여 그 직무를 다할 것이요, 관직을 버려 두고 음식(녹봉)을 먹으려고 해서는 안된다.
참고 자료- 이율곡의 생애와 사상
흔히 퇴계 이황을 영남학파, 율곡 이이를 기호학파의 대표라고 하여 경쟁관계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각각 동인정파와 서인정파로 갈라져 정치 현장에서 경쟁한 사실에서 비롯
추천자료
[민주주의][정당][한국 민주주의][한국 민주화이론]민주주의의 개념, 민주주의의 본질, 민주...
[대중문화][한국대중문화][문화][미디어][매스미디어][대중매체][한국문화][대중]대중문화의 ...
[한국인쇄술][목판인쇄][금속활자][인쇄][인쇄술][목판][금속][활자][한국인쇄술의 역사][목...
DDC(듀이십진분류법)의 변화과정 고찰 및 KDC(한국십진분류법)의 발달, KDC(한국십진분류법)...
[한국정당][정당][진보정당][진보][한국정치][정당개혁][정치개혁][정치]한국 정당의 역사 고...
우리민족(한민족, 한국민족)의 기원, 언어, 우리민족(한민족, 한국민족)의 사상, 신선도, 우...
[한미일기업]한미일기업(한국미국일본 기업)의 재무구조, 주가지표, 한미일기업(한국미국일본...
[권위주의, 권위주의 필요성, 권위주의 관료적 특성, 한국 권위주의, 스포츠 권위주의, 한국,...
[경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한국도로공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경영, 한국도...
[국문학개론] -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동유럽 각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
[국문학개론] 한국, 베트남어 대비를 통한 문법 교육,한국어 문법 교육 현황, 한국어,베트남...
한국 평생교육의 특징 및 전개과정 {평생교육의 정의 및 등장배경, 한국 평생교육 특징과 전...
한국콜마(Kolmar) 마케팅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콜마 기업분석과 SWOT, 4P전략분석 및 한국콜마...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_한국어교육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적인 한국어교육 교재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