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생아의 발달단계
Ⅱ. 신생아의 정의
Ⅲ. 신생아의 특성
1. 신생아의 정상적인 특성
1) 피부
2) 머리
3) 흉부
4) 위장계
2. 비정상적인 특성
3. 그 밖의 특성
Ⅳ. 신생아의 신경계 반사
1. 전신
1) 모로반사
2) 긴장성 경반사
3) 보행반사
4) 파악반사
5) 바빈스키 반사
2. 목과인후
1) 흡철반사
2) 연하반사
3) 기침반사
4) 포유반사
5) 밀어내기
Ⅴ. 신생아의 기본간호
참고문헌
Ⅱ. 신생아의 정의
Ⅲ. 신생아의 특성
1. 신생아의 정상적인 특성
1) 피부
2) 머리
3) 흉부
4) 위장계
2. 비정상적인 특성
3. 그 밖의 특성
Ⅳ. 신생아의 신경계 반사
1. 전신
1) 모로반사
2) 긴장성 경반사
3) 보행반사
4) 파악반사
5) 바빈스키 반사
2. 목과인후
1) 흡철반사
2) 연하반사
3) 기침반사
4) 포유반사
5) 밀어내기
Ⅴ. 신생아의 기본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견되며, 수포가 터지면서 치유된다. 붉은 수포로 얼굴, 몸통에 흩어져 있으며 생후 1, 2주 후 저절로 없어진다.
간찰진(Intertrigo) : 액와, 유방이나 대퇴부의 주름 아래 부위에 발생하는 홍반성 자극으로 피부와 피부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 나타나는 피부염이다. 체중이 많은 아이, 산모가 당뇨병이 있는 경우, 태지를 잘 안 닦아준 경우에 흔히 나타난다. 목욕을 시키며 공기를 통하게 한다.
기저귀 발진(Diaper rash) : 기저귀 채우는 부위의 피부가 발갛게 변하고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면서 짓무르기도 하는 병이다. 젖은 기저귀를 오래 차서 피부와 마찰을 일으켜 손상을 입게 된다. 대변이 피부를 자극해서 일종의 자극성 피부염이 생기며, 소변의 암모니아도 피부를 자극한다. 공기에 노출시켜 놓고, 바세린 연고를 발라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3. 그 밖의 특성
생리적 체중 감소(Physiologic Weight Loss) : 약 3.1~3.3 kg 정도. 3~4일이 지나면 처음 태어났을 때보다 200~300g 정도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의 체중이 이렇게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먹는 양에 비해 태변과 소변, 피부나 폐 등으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기 때문이다. 7~10일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로 돌아오며, 1개월 정도가 지나면 약 1kg 정도 몸무게가 늘고, 3~4개월이 지나면 태어났을 때의 약 2배의 몸무게가 된다.
생리적 탈수(Physiologic Dehydration) : 요소, 요산, 크레아틴, 무기질을 배설하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 배설하는 것으로 신장의 미성숙으로 요농축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주로 피부가 창백해지며 건조, 차가워지며 체중이 감소하고 적정 실내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수분을 공급함으로 치료된다.
아프가 점수(Apgar Score)
1분과 5분에 신생아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한다. 출생 직후에는 점수가 좋았으나 5∼10분 후에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영구적인 변화를 시사해야 한다.
→ 7~10점 : 자궁외 생활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이 없음. 좋은 상태
→ 3~6점 : 약간 기능이 떨어진 상태, 첫 24시간 동안 면밀히 관찰
→ 0~2점 : 심한 적응 곤란, 소생술 필요, 호흡보조와 중환아 간호
Ⅳ. 신생아의 신경계 반사
1. 전신
1) 모로반사
검사자의 손으로 아기의 어깨를 받치고, 몸을 지탱하면서 갑자기 머리를 떨어뜨리면 아기는 등을 활짝 펼치고, 팔을 쭉 펴며 외전하고, 손바닥과 손가락을 활짝 편다, 그리고 팔을 포옹하려는 듯이 움직인다. 다리와 둔부의 운동은 일정하지 않다. 이 반사는 대칭적이다. 생후 2개월 경에 가장 잘 나타나며 3~4개월경 소실된다.
2) 긴장성 경반사
안정 상태에 있는 신생아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그 쪽의 굽힘쪽(굴근)의 긴장이 사라져서 팔과 다리를 펴고, 반대쪽 팔, 다리는 굽힌다. 정상신생아에서는 이 반사는 불완전하다. 대개 3~4개월경에 소실된다. 지속되는 경우에는 운동장애를 의미한다.
3) 보행반사
아기를 바로 세운 자세로 붙잡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게하면, 마치 걷는 듯한 운동을 나타낸다. 3~4주에 소실된다.
4) 파악반사
아기의 손바닥을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그것을 꽉 붙잡고 놓지 않는다. 그 힘은 상당히 세어 신생아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이다. 발바닥에서 발가락 저변을 건드리면 발가락을 앞으로 오므린다. 3~4개월에 소실된다.
5) 바빈스키 반사
발바닥의 외면을 발꿈치에서 발가락쪽으로 가볍게 긁으면 엄지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 발가락이 부채살처럼 퍼진다. 10~17개월에 소실된다.
2. 목과인후
1) 흡철반사
젖꼭지로 입을 자극하면 빤다. 6개월에 감소되기 시작한다.
2) 연하반사
음식물이 구강후부에 닿으면 삼킨다. 소실되지 않는다.
3) 기침반사
이물이 상기도에 들어가면 재채기, 기침을 한다. 소실되지 않는다.
4) 포유반사
아기에게 우유냄새를 맡게 하면 우유가 있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뺨에 어떤 부드러운 물건이 닿으면 입이 그쪽으로 향하며, 젖꼭지를 찾아 물때와 이 입을 벌린다. 깨어 있을 때 3~4개월, 잠잘 때 7~8개월에 소실된다.
5) 밀어내기
물질을 혀의 전방부에 놓으면 밖으로 밀어낸다. 4개월에 소실된다.
Ⅴ. 신생아의 기본간호
① 실내온도 : 24도, 습도 : 60%
② 피부간호, 제대간호(70% 알코올 소독, 건조)
③ 눈, 코, 귀, 입 간호 : 눈에 대한 간호는 필요할
간찰진(Intertrigo) : 액와, 유방이나 대퇴부의 주름 아래 부위에 발생하는 홍반성 자극으로 피부와 피부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 나타나는 피부염이다. 체중이 많은 아이, 산모가 당뇨병이 있는 경우, 태지를 잘 안 닦아준 경우에 흔히 나타난다. 목욕을 시키며 공기를 통하게 한다.
기저귀 발진(Diaper rash) : 기저귀 채우는 부위의 피부가 발갛게 변하고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면서 짓무르기도 하는 병이다. 젖은 기저귀를 오래 차서 피부와 마찰을 일으켜 손상을 입게 된다. 대변이 피부를 자극해서 일종의 자극성 피부염이 생기며, 소변의 암모니아도 피부를 자극한다. 공기에 노출시켜 놓고, 바세린 연고를 발라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3. 그 밖의 특성
생리적 체중 감소(Physiologic Weight Loss) : 약 3.1~3.3 kg 정도. 3~4일이 지나면 처음 태어났을 때보다 200~300g 정도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의 체중이 이렇게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먹는 양에 비해 태변과 소변, 피부나 폐 등으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기 때문이다. 7~10일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로 돌아오며, 1개월 정도가 지나면 약 1kg 정도 몸무게가 늘고, 3~4개월이 지나면 태어났을 때의 약 2배의 몸무게가 된다.
생리적 탈수(Physiologic Dehydration) : 요소, 요산, 크레아틴, 무기질을 배설하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 배설하는 것으로 신장의 미성숙으로 요농축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주로 피부가 창백해지며 건조, 차가워지며 체중이 감소하고 적정 실내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수분을 공급함으로 치료된다.
아프가 점수(Apgar Score)
1분과 5분에 신생아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한다. 출생 직후에는 점수가 좋았으나 5∼10분 후에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영구적인 변화를 시사해야 한다.
→ 7~10점 : 자궁외 생활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이 없음. 좋은 상태
→ 3~6점 : 약간 기능이 떨어진 상태, 첫 24시간 동안 면밀히 관찰
→ 0~2점 : 심한 적응 곤란, 소생술 필요, 호흡보조와 중환아 간호
Ⅳ. 신생아의 신경계 반사
1. 전신
1) 모로반사
검사자의 손으로 아기의 어깨를 받치고, 몸을 지탱하면서 갑자기 머리를 떨어뜨리면 아기는 등을 활짝 펼치고, 팔을 쭉 펴며 외전하고, 손바닥과 손가락을 활짝 편다, 그리고 팔을 포옹하려는 듯이 움직인다. 다리와 둔부의 운동은 일정하지 않다. 이 반사는 대칭적이다. 생후 2개월 경에 가장 잘 나타나며 3~4개월경 소실된다.
2) 긴장성 경반사
안정 상태에 있는 신생아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그 쪽의 굽힘쪽(굴근)의 긴장이 사라져서 팔과 다리를 펴고, 반대쪽 팔, 다리는 굽힌다. 정상신생아에서는 이 반사는 불완전하다. 대개 3~4개월경에 소실된다. 지속되는 경우에는 운동장애를 의미한다.
3) 보행반사
아기를 바로 세운 자세로 붙잡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게하면, 마치 걷는 듯한 운동을 나타낸다. 3~4주에 소실된다.
4) 파악반사
아기의 손바닥을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그것을 꽉 붙잡고 놓지 않는다. 그 힘은 상당히 세어 신생아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이다. 발바닥에서 발가락 저변을 건드리면 발가락을 앞으로 오므린다. 3~4개월에 소실된다.
5) 바빈스키 반사
발바닥의 외면을 발꿈치에서 발가락쪽으로 가볍게 긁으면 엄지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 발가락이 부채살처럼 퍼진다. 10~17개월에 소실된다.
2. 목과인후
1) 흡철반사
젖꼭지로 입을 자극하면 빤다. 6개월에 감소되기 시작한다.
2) 연하반사
음식물이 구강후부에 닿으면 삼킨다. 소실되지 않는다.
3) 기침반사
이물이 상기도에 들어가면 재채기, 기침을 한다. 소실되지 않는다.
4) 포유반사
아기에게 우유냄새를 맡게 하면 우유가 있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뺨에 어떤 부드러운 물건이 닿으면 입이 그쪽으로 향하며, 젖꼭지를 찾아 물때와 이 입을 벌린다. 깨어 있을 때 3~4개월, 잠잘 때 7~8개월에 소실된다.
5) 밀어내기
물질을 혀의 전방부에 놓으면 밖으로 밀어낸다. 4개월에 소실된다.
Ⅴ. 신생아의 기본간호
① 실내온도 : 24도, 습도 : 60%
② 피부간호, 제대간호(70% 알코올 소독, 건조)
③ 눈, 코, 귀, 입 간호 : 눈에 대한 간호는 필요할
추천자료
[운동과다이어트]엄마뱃속에서부터 유아기까지의 뇌발달 단계별특성과 그에 맞는 어른의 역할...
피아제가 제시한 인지발달의 주요개념을 사용하여 아동의 인지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본...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_평생교육필요성 2.피아제의 인지...
[부모교육] 영유아 발달단계를 구분하고 그 시기의 가장 특징적인 것들을 조사하고(영아기, ...
아동기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각 발달단계와 관련된 사회복지실천을 미시, 거시 수준으로 나누...
[2015년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에릭슨의 성격발달8단계설을 설명하고 교육적 ...
[교육심리학 공통]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에릭슨의 성격발달8단계설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
[영유아발달] ≪애착(愛着/Attachment)≫ 애착의 발달, 애착의 발달단계와 애착 유형 및 안정애...
[영유아교사론3A]영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및 관심사를 설명 & 교사의 발달단...
아동발달 - Erikson(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서술하시고, 주요발달과업과 관련하여...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중 에릭슨의 심리학적 발달단계를 설명한 후 1단계~3단계에서의 교...
[보육학개론] 영유아발달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고, 다양한 발달단계 중 하나를 선택해 그 ...
하비거스트(Harvinghust)의 발달단계 이론을 중심으로 단계별 주요과업을 정리하고 단계별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