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도의 정의
2. 지도의 분류
3. 지도의 표기
1. 나침반의 유래
2. 나침반의 기능
3. 나침반 사용상의 주의 사항
4. 실바 나침반의 장점
5. 실바나침반의 사용법
6. 지도의 정치법
7. 교차법
8. 방향 유지법
◎ 지도와 나침반이 없을 때 방향 찾는 법
2. 지도의 분류
3. 지도의 표기
1. 나침반의 유래
2. 나침반의 기능
3. 나침반 사용상의 주의 사항
4. 실바 나침반의 장점
5. 실바나침반의 사용법
6. 지도의 정치법
7. 교차법
8. 방향 유지법
◎ 지도와 나침반이 없을 때 방향 찾는 법
본문내용
돌려 자북선과 나침반의 북방지시보조선이 평행하도록 맞춘 후 긴변을 따라 거꾸로 선을 긋는다.(이때 나침반의 북방지시화살표는 북쪽으로 가게 하고 자침의 방향은 무시한다)
④이 때 두 개 이상의 선이 만나는 교차점이 현재 자기 위치의 지도상의 지점이 된다. (세 곳을 측정하였을 시 후방의 선이 합치는 곳에 약간의 오차로 인하여 삼각형을 이루면 삼각형의 중심을 자기 위치로 잡으면 된다)
8. 방향 유지법
지도상에서 목적지의 방위각을 측정한 다음 방위각을 어떻게 유지하며 목적지까지 가는가 하는 방법을 말한다.
1) 방향 유지법
①복적지와 자기 위치와의 거리와 시간을 산출한다.
②목적지와 자기 위치를 그은 직선상에서 찾기 쉬운 지형 지물을 중간 목표로 선정한다.
③각 중간 목표와의 거리와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둔다.
④이렇게 하여 중간 목표를 잘 알고 이를 정확하게 찾아가면 나침반을 자주 보지 않고도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진행도중 지형상의 특징물을 보고 자기위치를 확인하며 전진한다. 위치 확인이 안 될 때 후방 교차법에 의하여 자기 위치를 확인해 본다.
2)장애물 우회시의 방향 유지법
전진할 때 못이나 큰 숲이 있어서 부득이 이를 피해 가야만 할 때에는 우로 방향을 변경하면 본래의 전진각에 90°를 더하고, 좌로 방향을 변경하면 90°를 빼 준다. 이때 그림처럼 정확한 보측으로 90°우회법을 사용해야 한다. (정 삼각형의 방법을 쓰는 방법도 있다.)
◎ 지도와 나침반이 없을 때 방향 찾는 법
해 : 봄가을에는 해가 동쪽에서 뜨고 한낮에는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진다. 그러나 겨울에는 해가 남동쪽에서 뜨고 남서쪽으로 진다.
별 :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한다.
달 :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그림자 :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린다(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이다.
나무 :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이다.
이끼 : 바위에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다.
바람 : 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
집 :우리 나라 집들은 대부분 남향집이 많다. 그러나 한두 집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려우니까 여러 집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묘지 : 무덤이나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시계 :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직선이 되도록 들고 있을 때 시침과 12시 방향과의 각도를 2등분한 방향이 남쪽이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또 다른 방법
1. 시계바늘로 짧은 바늘을 태양 쪽으로 향하고 12시 눈금과 짧은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의 중간이 남쪽이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2. 그림자 이용법: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립니다(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입니다.
3. 정오에만 할 수 있는 방법
정오에 태양을 등지고 팔을 어깨 높이로 벌린 채 그림자를 바라본다. 이때
ⓐ 북--그림자의 머리 방향
ⓑ 남--등의 방향(태양의 방향)
ⓒ 동--오른 팔의 방향
ⓓ 서--왼팔의 방향
4. 밤에 방향을 찾는 방법: 밤에 별자리를 본다.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한다.
달을 보고도 찾을 수 있다.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5. 나이테
나무 밑기둥에 나타난 나이테의 형태를 보아 나이테 사이가 좁은 곳은 북쪽, 간격이 넓은 곳이 남쪽이다. 이같이 나무의 나이테를 보고 방향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나무의 남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은 북쪽에 비해 좀 더 많은 양의 햇빛을 보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자랐기 때문이다.
아울러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이다.
6. 이외에도 바위에서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고, 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는 사실도 알아둘만 하다.
* 참고문헌
[등산교실],해냄출판사, 이용대, 2006
[등산수첩],진선출판사, 허창성, 2007
④이 때 두 개 이상의 선이 만나는 교차점이 현재 자기 위치의 지도상의 지점이 된다. (세 곳을 측정하였을 시 후방의 선이 합치는 곳에 약간의 오차로 인하여 삼각형을 이루면 삼각형의 중심을 자기 위치로 잡으면 된다)
8. 방향 유지법
지도상에서 목적지의 방위각을 측정한 다음 방위각을 어떻게 유지하며 목적지까지 가는가 하는 방법을 말한다.
1) 방향 유지법
①복적지와 자기 위치와의 거리와 시간을 산출한다.
②목적지와 자기 위치를 그은 직선상에서 찾기 쉬운 지형 지물을 중간 목표로 선정한다.
③각 중간 목표와의 거리와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둔다.
④이렇게 하여 중간 목표를 잘 알고 이를 정확하게 찾아가면 나침반을 자주 보지 않고도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진행도중 지형상의 특징물을 보고 자기위치를 확인하며 전진한다. 위치 확인이 안 될 때 후방 교차법에 의하여 자기 위치를 확인해 본다.
2)장애물 우회시의 방향 유지법
전진할 때 못이나 큰 숲이 있어서 부득이 이를 피해 가야만 할 때에는 우로 방향을 변경하면 본래의 전진각에 90°를 더하고, 좌로 방향을 변경하면 90°를 빼 준다. 이때 그림처럼 정확한 보측으로 90°우회법을 사용해야 한다. (정 삼각형의 방법을 쓰는 방법도 있다.)
◎ 지도와 나침반이 없을 때 방향 찾는 법
해 : 봄가을에는 해가 동쪽에서 뜨고 한낮에는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진다. 그러나 겨울에는 해가 남동쪽에서 뜨고 남서쪽으로 진다.
별 :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한다.
달 :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그림자 :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린다(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이다.
나무 :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이다.
이끼 : 바위에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다.
바람 : 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
집 :우리 나라 집들은 대부분 남향집이 많다. 그러나 한두 집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려우니까 여러 집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묘지 : 무덤이나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시계 :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직선이 되도록 들고 있을 때 시침과 12시 방향과의 각도를 2등분한 방향이 남쪽이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또 다른 방법
1. 시계바늘로 짧은 바늘을 태양 쪽으로 향하고 12시 눈금과 짧은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의 중간이 남쪽이다.
그리고 편편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느다란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2. 그림자 이용법: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편편한 곳에 긴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 부분에 표시를 한 다음 그림자 끝이 5~10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립니다(1m쯤 되는 막대는 10분~2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그런 다음 움직인 그림자 끝을 다시 표시하고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림자가 처음 시작했던 지점 쪽이 서쪽이고 나중에 표시했던 쪽이 동쪽입니다.
3. 정오에만 할 수 있는 방법
정오에 태양을 등지고 팔을 어깨 높이로 벌린 채 그림자를 바라본다. 이때
ⓐ 북--그림자의 머리 방향
ⓑ 남--등의 방향(태양의 방향)
ⓒ 동--오른 팔의 방향
ⓓ 서--왼팔의 방향
4. 밤에 방향을 찾는 방법: 밤에 별자리를 본다.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α와 β 거리의 다섯 배 되는 곳에 작은곰자리의 밝게 빛나는 마지막별이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북극성의 방향은 항상 북쪽으로 진북이라고 한다.
달을 보고도 찾을 수 있다.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방향을 찾는 방법으로 초승달은 새벽 6시쯤에는 동쪽 하늘에 있고 저녁 6시쯤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저녁 6시쯤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 6시쯤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밤 9시쯤 서쪽 하늘에 떠 있고, 하현달은 새벽 3시쯤 남쪽 하늘에 떠 있으며, 밤 9시쯤에는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5. 나이테
나무 밑기둥에 나타난 나이테의 형태를 보아 나이테 사이가 좁은 곳은 북쪽, 간격이 넓은 곳이 남쪽이다. 이같이 나무의 나이테를 보고 방향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나무의 남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은 북쪽에 비해 좀 더 많은 양의 햇빛을 보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자랐기 때문이다.
아울러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보았을 때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이다.
6. 이외에도 바위에서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고, 봄, 여름에는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대개 북쪽에서 바람이 분다는 사실도 알아둘만 하다.
* 참고문헌
[등산교실],해냄출판사, 이용대, 2006
[등산수첩],진선출판사, 허창성,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