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현의 요인
2. 표현 능력의 구성요소
3. 표현 이론과 모형
4. 표현에서의 인지 중심적 사고
11장. 정의 중심적 사고의 이해/ 표현 교육
1. 기본 활동
2. 심화적 활동
2. 표현 능력의 구성요소
3. 표현 이론과 모형
4. 표현에서의 인지 중심적 사고
11장. 정의 중심적 사고의 이해/ 표현 교육
1. 기본 활동
2. 심화적 활동
본문내용
에 관련한 비판적 사고 #타당성, 효용성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보편적 준거와 개인적으로 용납하는 개별적인 준거 적용)
: 정의적 텍스트의 속성이 갖고 있는 감성에 대해 특정한 반응을 느낀 후 그 러한 반응을 얻게 되는 원인이나 이유를 추론적으로 파악하는 활동.
- ‘가시리’의 내용과 후렴구의 의미상의 차이를 파악하는 활동
㉢ 느끼고 즐기기: 상상과 연상
- 고향이란는 말을 들을 때 전원의 풍경을 떠올리는 일.
2. 심화적 활동
1) ‘따지게 하기’의 심화
㉠ 따지고 알기: 작품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 작품 외적 세계를 이해하고 새로운 사실을 발 견하는 활동.
- 광장을 읽고 이 작품의 정의적 텍스트사적 의미와 함께 4/19라는 역사적 사실 과 더 나아가 우리의 분단 현실을 알게 되는 활동
㉡ 따지고 느끼기: 사실에 대한 이유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감정적인 반응을 일으 키게 하는 것.
㉢ 따지고 즐기기: 사실이나 주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즐거움을 얻게 되는 활동. 비유 적 표현을 짓고 이것이 적절한 것인가를 살펴보는 활동.
- 역사적 의미나 의의를 당대 현실에 비추어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미적 감각을 향유하기 라든가, 사설시조의 작품세계를 당대의 외적 현실과 비교해 보고, 사 설시조의 골계미를 감지하기.
2) ‘즐기게 하기’의 심화
㉠ 즐기고 알기: 자신이 향유하는 혹은 재창작한 작품의 미학적 원리 파악.
㉡ 즐기고 느끼기; 기존 작품을 패러디 하여 창작하고 그 작품에 대해 교호하기.
㉢ 즐기고 따지기: 자신이 창작한 작품을 향유하고 작품의 윤리성과 교훈성을 생각하여 보기.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보편적 준거와 개인적으로 용납하는 개별적인 준거 적용)
: 정의적 텍스트의 속성이 갖고 있는 감성에 대해 특정한 반응을 느낀 후 그 러한 반응을 얻게 되는 원인이나 이유를 추론적으로 파악하는 활동.
- ‘가시리’의 내용과 후렴구의 의미상의 차이를 파악하는 활동
㉢ 느끼고 즐기기: 상상과 연상
- 고향이란는 말을 들을 때 전원의 풍경을 떠올리는 일.
2. 심화적 활동
1) ‘따지게 하기’의 심화
㉠ 따지고 알기: 작품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 작품 외적 세계를 이해하고 새로운 사실을 발 견하는 활동.
- 광장을 읽고 이 작품의 정의적 텍스트사적 의미와 함께 4/19라는 역사적 사실 과 더 나아가 우리의 분단 현실을 알게 되는 활동
㉡ 따지고 느끼기: 사실에 대한 이유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감정적인 반응을 일으 키게 하는 것.
㉢ 따지고 즐기기: 사실이나 주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즐거움을 얻게 되는 활동. 비유 적 표현을 짓고 이것이 적절한 것인가를 살펴보는 활동.
- 역사적 의미나 의의를 당대 현실에 비추어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미적 감각을 향유하기 라든가, 사설시조의 작품세계를 당대의 외적 현실과 비교해 보고, 사 설시조의 골계미를 감지하기.
2) ‘즐기게 하기’의 심화
㉠ 즐기고 알기: 자신이 향유하는 혹은 재창작한 작품의 미학적 원리 파악.
㉡ 즐기고 느끼기; 기존 작품을 패러디 하여 창작하고 그 작품에 대해 교호하기.
㉢ 즐기고 따지기: 자신이 창작한 작품을 향유하고 작품의 윤리성과 교훈성을 생각하여 보기.
추천자료
초등 국어 읽기 교과서 분석
초등 국어과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 방안
북한의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대하여
현행 국어 교사 임용 후보자 경쟁 시험의 진단과 제언 - 언어사용 기능 영역을 중심으로
신문과 국어교육 - 논문요약
[국어교육과정론]상위인지에 관하여
7차교육과정과 국어교육과정
매체교육과 국어교육
7차 국어교과서와 교과서 속의 미디어 교육
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미디어 교육내용과 교과서
초등학교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안 3학년 4단원 차근차근 하나씩
초등학교 국어과 영역별 평가와 7차 평가의 문제점, 평가 방안에 관한 논의
초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
[국어맞춤법과 표준어] 현행 한글 맞춤법에 대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