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의 마케팅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BA의 마케팅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NBA의 마케팅 사례 1

1. NBA 스토어(Store) 마케팅 1


2. NBA가 아시아 시장을 마케팅 한 사례 2

1) NBA가 거대한 중국시장을 겨냥한 마케팅 사례 2

2) NBA가 한국시장 팬 확보를 위한 마케팅 사례 3


3. NBA 선수의 마케팅 사례 4

1) NBA 마이클 조던의 마케팅 사례 5

2) NBA 야오밍의 마케팅 사례 5


※ 참고문헌 9

본문내용

실제로 루키 시즌 동안에만 게토레이, 비자, 애플 컴퓨터 등 대기업들과 계약을 맺어 연간 700만 달러의 수익을 확보하기도 했다.
브랜드로 내세우겠다”고 말했다.
④ 월트디즈니사
야오밍을 활용하여 화교권 시장 공략에 성공한 케이스다. 오는 2006년 홍콩에 디즈니랜드 건설을 추진 중인 월트디즈니는 자회사인 미라맥스북을 통해 야오밍의 자서전을 출간해 히트를 쳤고, 또 다른 자회사인 스포츠 TV 채널 ESPN에서는 야오밍의 출전경기 장면을 중국과 홍콩, 대만 등에 보급해 수익을 챙기고 있다.
⑤ 게임사
야오밍은 경기가 없는 날이면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비디오게임을 하는 게임광이다. 이 사실을 전해들은 컴퓨터게임 업체 일렉트로닉아츠는 중국 내 비디오게임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는데 힘을 보태기 위해 야오밍 측과 현재 파트너십 제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처럼 야오밍이 미국 기업들로부터 ‘구애의 대상’이 괼 수 있었던 배경에는 숨은 공로자들이 있다. 그 주인공은 야오밍 일거수 일투족을 컨설팅해 주는 ‘팀 야오(Team Yao)’다.
팀 야오는 NBA 에이전트 출신의 빌 더비, 영화홍보담당 전문가 빌 샌더스, 시카고 경제학과 교수 존 후이징가, 중국인 사업가 에릭 장으로 구성된 매니지먼트 회사이다. 이들의 역할은 분야별로 명확하게 구분돼 있다. 예를 들어 더피는 야오밍이 NBA와의 각종 계약을 체결할 때 최적의 조건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임무를 맡았다. 쌘더스는 기업들과의 스폰서십 체결을 전담한다. 후이징가 교수는 야오밍의 소속팀인 휴스턴 로키츠와의 각종 거래를 총괄하며, 에릭 장은 중국인 사업가답게 중국과의 제휴사업을 책임지고 있다. 특히 에릭 장은 야오밍의 사촌 여동생과 결혼, 야오밍의 핵심 오른팔로 불리는 인물이 됐다. 미국에서는 팀 야오의 출범도 매우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다.
지난 2002년 시카코대학 경영대학원(MBA)에 재학 중이던 에릭 장은 당시 대학원장이었던 후이징가 교수를 찾아가 친척인 야오밍을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 방법을 상담했다. 후이징가 교수는 2002년 가을 시카고 MBA의 동료인 조너선 프렌젠 마케팅담당 교수와 8명의 학생들에게 ‘야오밍 브랜드 마케팅 전략 프로젝트’를 용역·의뢰했고, 그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의 야오밍에 대한 방대한 이미지 설문조사를 거쳐 500페이지의 보고서로 나왔다.
야오밍이라는 브랜드가 대성공을 거둔 이유도 이 보고서가 제시한 전략을 그대로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일반적인 해석이다. 하지만 야오밍 브랜드 마케팅 보고서는 소속팀인 휴스턴 로키츠의 경영진조차 그 내용을 모를 정도로 철저히 비밀에 부쳐져 있었다. 당시 NBA 과정 학생으로 보고서 작성 작업에 동참했고, 지금은 나이키에서 마케팅담당 매니저로 일하는 아론 에이브라함은 “야오밍 브랜드 마케팅 전략보고서의 결론은 기업 파트너십 체결은 ‘핵심기업’만을 원칙으로 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 직전까지 야오밍의 몸값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야오밍은 중국 정부 입장에서고 ‘국보급’애국자다. 정확한 액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야오밍은 연간 수입(약1500만달러)의 3분의 1을 중국 내 소속팀인 상하이 샤크와 중국농구협회에 제공하는 조건으로 여권과 비자 문제를 해결했다. 한마디로 야오밍은 외국에서 수백만달러를 벌어 본국에 송금하는 거대 기업과 마찬가이다. 야오밍은 이제 중국 시장을 노리는 다국적 기업에 브랜드를 알리는 ‘보증수표’로 통한다. 현재 연봉과 광고 출연료를 합쳐 1,500만달러(약 171억원) 가량의 수입을 올리고 있는 야오밍의 몸값은 앞으로 더욱 치솟을 전망이다.
※ 참고문헌
한필수. 블루오션 in 스포츠마케팅. 명지출판사. 2005.10.10
H. Schiossberg, 김도균. 스포츠마케팅. 금광. 1999.08.01.
강성호. 스포츠를 이용한 마케팅 사례 연구. 경희대 체육대학원. 2004.
김호준. 선수에이전트 사업과 기업홍보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2000.08.
김윤섭. 대기업의 스포츠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스포츠 이벤트 전략을 중심으로. 경희대 체육대학원. 2000.02
한국 경제 http://www.hankyung.com/
조이뉴스 24시 http://joynews.inews24.com/joynews/
LG 경제연구소 http://www.lgeri.com/
농구 전문 사이트
http://www.jumpball.co.kr/news/news.php?op=view&seq=3449&cid=0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2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