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보와 RC보의 강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S보와 RC보의 강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강구조의 특성
(1)장점
(2)단점
2. 철근콘트리트의 특성
(1)장점
(2)단점
3.RC보의 강도
4.SS보의 강도

본문내용

근된 철근의 양과 배열에 따른 단면의 공칭 강도는 휨 모멘트의 평형
방정식과 적합성 조건에 따른 비례식을 적용하여 계산.
직사각형 보에는 인장 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에만 철근을 배근하는 단근보와 압축측에
도 철근을 배근하는 복근보로 구분되는데, 콘크리트의 크리이프와 건조수출을 억제하여
보의 장기 처짐을 감소시키고 전단 보강근의 원활한 배근을 목적으로 대부분 복근보로
설계함.
① 단근 직사각형 보
0Mn = 0Asfy(d-a/2) = 00.85fckba(d-a/2)
② 복근 직사각형 보
0Mn = 00.85fckba(d-a/2) + A\'s(f\'s-0.85fck)(d-d\')
③ 단근 T형 보
0Mn = 00.85fckbw a(d-a/2) = +00.85fck(be-bw)(d-t/2)
④ 깊은 보
0Mn = 0As fy jd
(3) 철근 콘크리트 보의 기본 설계 개념
철근 콘크리트 보의 설계는 보에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에 따라 다음 조건을 만족하
도록 휨 설계, 전단 설계, 비틀림 설계를 수행함.
① 휨 설계
0Mn ≥ 0Mu , 0=0.9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설계는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최대 인장 철근량을
규정하고 있으며, 최대 철근비는 균형철근비의 75%이하로 규정.
② 전단 설계
0Vn = 0Vc + 0Vs ≥ Vu , 0=0.85
부재를 취성적인 전단파괴보다는 연성적인 전단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부재의
전단강도는 휨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전체 높이가 25 cm, I, T형보
에 있어서 그 높이가 플랜지 두께의 2.5 배 또는 복부 폭의 1/2 중 큰 값 이하인 보
를 제외하고는 최대 계수 전단력이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의 50%를 초과하
는 보에 대해서는 최소 전단 보강근을 배근.
③ 비틀림 설계
비틀림 철근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폐쇄 스터럽(횡방향 보강근)과 비틀림 주철근
(종방향 보강근)이 함께 보강되며, 종방향 비틀림 철근은 휨에 대한 철근에 추가하여
배근함.
계수 비틀림 모멘트 강도(Tu)가 00.26(/) 이하인 경우에는 비틀림에
고려를 설계시 무시하며, 그 이상일때는 전단 및 휨과 함께 비틀림 효과를 동시에 고
려함.
내력의 재분배로 인해 비틀림 모멘트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구조물의
경우 최대 계수 비틀림 모멘트를 01.06(/)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재분배되기 전의 비틀림 모멘트가 01.06(/) 보다 크면 비틀림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함.
비틀림에 필요한 철근량은 0Tn ≥ Tu, 0=0.85 에 저항되고 Tc=0 이라 가정한
상태로 계산한다. 동시에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저항 Vc는 비틀림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4. SS보의 강도
(1) 공칭전단강도
① h/tw ≤ 2.45인 경우
웨브가 항복에 의해 한계상태에 도달하는 경우로서 보의 공칭전단강도는 폰 미세스
의 항복이론에 근거하여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강재의 전단항복강도는
Fy/ = 0.58Fy이므로 이것에 근거하여 한계상태설계기준엣는 우브의 총단면적에
대한 공칭전단강도를 다음과 같이 장하고 있다.
Vn = 0.6FywAw
② 2.45〈 h/tw ≤ 3.07인 경우
웨브에 비탄성좌굴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공칭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Vn = 0.6FywAw
③ 3.07〈 h/tw ≤ 260인 경우
웨브에 탄성좌굴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공칭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Vn = Aw
(2) 공칭휨강도
① 소성해석
소성해석에 의해 설계할 경우 보는 소성모멘트에 도달한 이후 충분한 비탄성변형을
통하여 모멘트재분배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소성설계시의 보의 공칭휨강도는
전소성모멘트로 한다.
Mn = Mp
이때 단면의 플랜지와 웨브의 판폭두께비 λ는 콤팩트단면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소성 한계판폭두께비 λp 이하여야 하고, 보의 횡지지 세장비 Λb는 소성 설계한계세
장비Λpd이하이어야 한다.
λ ≤ λp
Λb ≤ Λpd
웨브면내에 재하되면 인장 플랜지보다 작지 않은 압축 플랜지를 갖는 1축과 2축대
칭의 H형 단면의 경우Λpd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Λpd =
② 탄성해석
구조물을 탄성해석하는 경우 보의 공칭휨강도는 횡좌굴과 국부좌굴을 구분하여 각각
산정한 후 작은휨강도를 공칭휨강도로 한다. 횡좌굴강도는 소성강도, 비탄성횡좌굴강
도 그리고 탄성횡좌굴강도로 구분되며, 국부좌굴강도는 콤팩트단면, 비콤팩트단면
그리고 세장판요소단면으로 구분하여 산정한다.
1) 횡좌굴강도
(가) Λa ≤ Λp 인 경우
보의 압축 플랜지가 횡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