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의의와 성질
2. 출연의 원인관계
3. 제3자(수익자)에 대한 효력
4. 요약자 및 낙약자에 대한 효력
2. 출연의 원인관계
3. 제3자(수익자)에 대한 효력
4. 요약자 및 낙약자에 대한 효력
본문내용
권리를 가진다.
2) 계약당사자로서의 지위
계약당사자로서 취소권해제권(낙약자의 채무불이행 등을 이유로)을 행사할 수 있고, 특히 제3자가 수익의 의사표시를 한 후에도 요약자는 제3자의 동의 없이 해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대판 70.2.24. 69다1410).
(2) 낙약자의 지위
제542조 [채무자의 항변권] 채무자는 제539조의 계약에 기한 항변으로 그 계약의 이익을 받을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1) 항변은 요약자낙약자 사이의 계약 자체에 기한 것에 한한다. 예컨대, 낙약자(채무자)는 이 계약 이외의 원인으로 취득한 요약자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제3자의 자신에 대한 채권과 상계하지 못한다.
2) 제3자가 수익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요약자에게 대신 급부함으로써 채무를 소멸시킬 수 있다.
2) 계약당사자로서의 지위
계약당사자로서 취소권해제권(낙약자의 채무불이행 등을 이유로)을 행사할 수 있고, 특히 제3자가 수익의 의사표시를 한 후에도 요약자는 제3자의 동의 없이 해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대판 70.2.24. 69다1410).
(2) 낙약자의 지위
제542조 [채무자의 항변권] 채무자는 제539조의 계약에 기한 항변으로 그 계약의 이익을 받을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1) 항변은 요약자낙약자 사이의 계약 자체에 기한 것에 한한다. 예컨대, 낙약자(채무자)는 이 계약 이외의 원인으로 취득한 요약자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제3자의 자신에 대한 채권과 상계하지 못한다.
2) 제3자가 수익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요약자에게 대신 급부함으로써 채무를 소멸시킬 수 있다.
추천자료
상표라이센스계약
상가임대차보호법과 민법상의 규정의 비교
[보험]보험계약자의 고지의무에 관한 검토
과장광고에 대한 법적 문제점 검토(분양에 있어서 과장광고의 문제)
성매매의 현황 및 쟁점과 성매매 여성을 위한 대안
[보험법]정액보험계약의 본질과 내용 및 대법원 판례의 검토
민법상 위임에 관한 법적 검토
민법상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시기
사회계약론 (홉스와 로크)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국민적연금제도 확립을 위한 기업연금제도의 모형과 정책방향
청소,식당등 용역직 프리계약서 (업무용역 계약서)
교환계약
청주대학교 상법총론 과제 (민법상법특칙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