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실험] 인장실험(Tensile Test) 예비+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실험] 인장실험(Tensile Test) 예비+결과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기본이론

3. 실험결과

4. 고찰

본문내용

] = 64.436
8) Young\'s Moulus
E1(Original) : 선형탄성영역에서 기울기 P = 2950kgf
E2(Annealing) : 선형탄성영역에서 기울기 P = 3018.75 kgf
4. 고찰
인장에 대한 내용은 기계재료, 기계공작법, 고체역학 수업등 여러 수업에서 정말로 많이 배우던 부분이다. 그만큼 인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는 두 가지 시편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나는 그냥 스틸이었고 하나는 풀림처리가 된 것이었다. 먼저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을 실험기구에 장착하고 실험을 하였다. 기구에 장착되어 하중을 받고 있는 시편을 그냥 눈으로 봐서는 늘어나고 있는지를 잘 몰랐다. 열처리를 한 시편과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의 차이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실험이었다.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의 인장실험 결과에서는 상부항복응력점이나 하부항복응력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열처리 된 시편에서는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열처리를 한 시편이 결과치를 계산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항복응력의 값을 계산하는 것이 였는데 그 값이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다. 실험하는 관찰자의 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실험을 하면서 실제 이론에서 볼 수 없었던 반응이 있었다. 그래프의 처음 얼마 동안 평행상태의 선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유는 실험장치가 시편을 고정하는 부분에서 미끌림현상이 발생해서 일어난 오차가 아닐까 생각한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위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면,
① 파단시 취성과 연성에서의 그 부분모양이 차이가 났었다. 취성에서는 직각방향으로 편평하게 파단 되었었고 연성에서는 오목한부분과 볼록한부분으로 마치 엿가락을 손으로 잘랐을 때 같은 모양이 관찰되었는데, 이것으로 재료 인성의 영향을 볼수 있었다.
② 취성그래프와 연성그래프에서 보이는 큰 차이점은 취성에서는 항복부분의 구분이 뚜렷 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항복현상이 생기는 이유를 고찰해보면 최대전단응력방향과 45° 방향으로 나열될 결정군이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견딜 수 없어서 갑자기 결면사이에 미끄럼이 생기기 때문인 것 같다. 문제점은 항복 지점이 뚜렷하지 않아서 쉽게 찾을 수가 없었다. 이는 재료가 완전한 불순물 제거가 없었던 것 같으며 취성재료일수록 항복점이 뚜렷하지 않는 것 같다.
다음 실험을 행하면서 관찰한 몇가지 사실에 대해 말해보겠다. 일단 두 시편 모두 실험시 파단 될 때 소리가 났다. 하지만 그 소리의 크기에는 큰 차이가 있었던 것 같다.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은 파단될 때 아주 큰소리가 났다. 바닥도 좀 많이 울렸다. 하지만 거기에 비해 풀림처리된 시편은 그다지 큰 소리가 나지는 않았다. 그 원인을 생각해 보면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은 연성이 좋지 않아 잘 늘어나지 않는다. 그 반면에 풀림처리된 시편은 연성이 좋아서 잘 늘어난다. 여기서 앞의 시편은 잘 늘어나지 않는 만큼 파단면의 넓이가 넓었고 뒤의 시편은 잘 늘어나는 만큼 그 파단면의 넓이가 적었다.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0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