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탈로치교육]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연보,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인간관과 교육이념,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목적과 원리,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이론과 교육사상 그리고 현대적 의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페스탈로치교육]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연보,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인간관과 교육이념,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목적과 원리,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이론과 교육사상 그리고 현대적 의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

Ⅱ.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연보
1. 1746년
2. 1751년
3. 1765년
4. 1769년
5. 1771년
6. 1772년
7. 1780년
8. 1799년
9. 1804년
10. 1825년
11. 1827년

Ⅲ.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인간관
1. 모든 인간은 본질에서 평등
2. 내면적 자아의 자율적인 자기 형성으로 발전

Ⅳ.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이념
1. 자연관
2. 인간관
3. 종교관
4. 가정관

Ⅴ.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목적과 원리
1.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
2. 페스탈로치의 교육원리

Ⅵ.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이론
1. 노이호프시대(Neuhof)
2. 집필시대
3. 슈탄츠시대
4. 부르크도르프(Burgdorf)시대
5. 아페르텐(Iferten)시대

Ⅶ.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1. 삼육론
2. 가정교육론
1) 개념
2) 목표
3) 내용
4) 방법
5) 체제
3. 인간성 삼단층론
1) 자연적 상태
2) 사회적 상태
3) 도덕적 상태
4. 사회교육론
1) 전인교육
2) 직업교육
3) 민중의 역사의식 함양
4) 지역간․계층간의 화해
5. 체벌교육론

Ⅷ.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까지 출세시켰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은 그를 이런 자리에 놓아두지 않았다. 혁명의 와중에 생긴 고아원의 원장으로, 이렇게 그는 이제 본격적인 교육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고아와 같이 먹고 같이 마시고 같이 자면서, 그 벌려진 고아들속에 깃든 하나님이 주신 찬란한 인간성의 힘을 발견하고, 그 힘을 키우는 교육에서 자기 사명을 발견하다. 이 때의 실천기록이 ‘쉬탄쓰 고아원통신’이다.
이후 그는 여러 곳에서 농민의 자녀를 위한 새교육에 전념한다. 뮌헨브흐제, 브르크도르프, 이베르당 등의 학원이 실은 원래 농민이나 도시 빈민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명성과 그의 새교육 방식에 의한 성과가 그의 학원을 당대의 유명교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하여 역설적으로 그의 학원은 이제 원래 그가 원했던 학원이 아닌, 변질된 학원으로 전락한것이다. 농민의 자녀 대신에 부잣집 상인의 자녀가 판치고, 피부와 피부가 맞닿는 사랑의 교육 대신에 눈앞의 효과만을 노리는 교육방법만이 판쳤다. 보금자리 같은 아늑한 학원이 이제 유럽의 계몽군주들이 보낸 유학생과 관광객에 의해 하루 종일 시끄러운 명문교가 되어버린 것이다. 유럽의 교육의 메카가 된 학원에 깊은 회의와 절망에 빠져 그는 새출발을 다짐하고 그 계기를 마련한다. 그 계기의 하나가 바로 자기가 죽으면 들어갈 널을 앞에 놓고 통곡하는 구전강연(柩前講演)이다. 이때 그의 나이 63이었다. 페스탈로찌의 생애 중에서 우리가 특히 음미해야 할 세 가지를 끝으로 들어 본다. 그 첫째는 교육사상 최초로 그가 교직단체를 창설한 일이다. 페스탈로찌 전기연구가 모르프(H. Morf)는 이 교직단체 창설동기를 이렇게 간단명료하게 서술하고 있다. 페스탈로찌는 청소년에 대한 좋은 교육으로 이 사회악을 제거하려면 교사 및 유지들의 공동의 투쟁과 원조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러기 위하여는 개인의 투쟁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며, 오로지국민 중의 식견 높은 사람들과의 결합으로, 국민의 타락을 막을 수 있는 도덕력을 형성하는 길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이 최초의 교직단체 “스위스교육협회”(Die Schweizerisxhe Gesellschaft der Erziehung)은 1808년 12월 26일, 27일에 걸쳐 렌스브르크에서 열렸고, 여기에는 교사들, 교육관계 관리들, 목사들, 이렇게 스위스의 10개의 현에서 44명의 동지들이 참여했고, 페스탈로찌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교직단체의 존립의의는 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교사의 권익보장, 교육의 막중한 의의의 홍보, 그리고 교직윤리의 자율적 확립 등에 있다. 이 교직단체 창설 하나만으로도 그의 이름은 교육사에 특기되어야 할 사항이다. 그의 전투적 교사상을 여기에서 볼수 있다. 둘째는 클란디 고아원의 독립적 창설경영이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그의 학원이 명문교, 귀족교로 변질되자 이에 대해 가장 회의를 느낀 사람은 바로 그였다. 그래서 그는 오래전부터 자신의 힘만으로 직접 경영할 수 있는 빈민학교나 고아원을 새로이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그에게는 제력도 없었고 제자들의 협력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런데 마침 좋은 기회가 왔다. 독일의 콧타(Cotta) 출판사에서 페스탈로찌전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하고 그에게 5만 프랑을 인세로 지급키로 계약을 해준 것이다. 그래서 이 인세의 일부인 3천 5백 프랑을 그는 이제 손에 넣게 된 것이다. 제자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그는 이 돈으로 클란디에 빈민의 자녀를 위한학교, 즉 빈민학교(Armenanstait)를 세웠다. 1818년 9월 13일의 일이다. 그때 그의 나이는 73세였다. 클란디는 이베르당학원에서 걸어서 20분 정도의 거리에 있는 빈민들의 마을이다. 처음 이 빈민학원에는 겨우 12인의 거지와 부랑아가 수용되었는데 차츰 생도들이 모여 몇 달 후에는 30명 정도로 늘었다. 좋아서 홀로 나선 73세의 고아원장! 이게 진정한 페스탈로찌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의 사랑의 교사상을 역력히 볼 수 있다.
세째는 꾸준한 저작활동과 편지 쓰기다. 페스탈로찌전집은 그간 10여종 나왔지만 실은 다 ‘선집’이라고 해야 옳다. 진정한 의미의 ‘전집’은 아직도 완결을 보지 못한채 현재 한권에 평균 800면짜리로 42권 까지 나와 있다. 이것이 유명한 비판판전집(Kritische Ausgabe, 批判版全集)이다. 이것은 그의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27년부터 간행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 10권은 더 나와야 할 것으로 되어있다. ‘비판판’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그가 쓴 것만 골라 철저하게 고증하고 주석까지 붙였다는 뜻이다. 현재까지 간행된 42권 중 29권은 저작전집(Werkausgabe)이며 13권은 서한전집(Briefausgabe)이다. 이 많은 저작과 서한은 학문적인 열성과 교육현실에 대한 문제의식 없이는 도저히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서한의 분량이다. 전 13권의 서한전집 속에 총 6252통이 수록되어 잇다. 우선 그 분량에 놀란다. 그러나 우리를 더욱 놀라게 하는 것은 이 서한 하나하나에 담긴, 학부모와의 눈물어린 호소들이다. 이러한 전집을 통해서 우리는 페스탈로찌의 또 하나의 귀한 면모, 즉 학자적 교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 자리를 빌어 참고로 한 가지 소개하면, 이 비판전집을 전질 고려대학교 사범대학이 기증받았다는 것이다. 스위스의 문화재단 프로 헤르버치아(Pro Helvetia)는 1986년 이례적으로 교육입국의 기치아래 창설된 고려대학교의 건학정신에 경의를 표해 이렇게 아주 희귀한 선물을 안겨 주었다.
Ⅱ.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연보
1. 1746년
취히리에서 태어났다.
2. 1751년
국민학교에 입학했다.
3. 1765년
카롤리나 대학을 졸업했다.
4. 1769년
비르페르트에 농장을 건설했다.
5. 1771년
새집과 농장을 마련하고 노이호프라 이름지었다. 땅이 토박하고 경험이 부족해서 농장 경영에 실패했다. 가난한 어린이들을 교육하는 일이 자기의 사명이라 깨달았다.
6. 1772년
빈민 학교를 세우고 경영했다.
7. 1780년
학교 문을 닫았다.
8. 1799년
슈탄스에서 고아원을 개설하여 경영했다. <슈탄스 소식>을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