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 구성주의 건축
1.개관
2.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과 예술
(1)유토피아 예술
(2)아방가르드 예술의 제안: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예술>
(3)예술에서 건축으로: 타틀린과 리시츠키의 키네틱 아트
3.러시아 구성주의 건축
(1)러시아 구성주의 건축의 전개
(2)러시아 구성주의의 한계
독일의 근대건축운동
1.개관
(1)독일의 공예이념의 근대화
(2)기계미학의 시대
2.독일공작연맹
(1)독일공작연맹의 성립
(2)기술인가 예술인가
(3)피터 베렌스와 앙리 반 데 벨데
(4)기술과 예술의 통합
(5)발터 그로피우스
◎ 나르콤핀 아파트- 모이세이 긴스부르크 설계
◎ 세부조사 느낀 점
◎ AEG 터빈 공장(AEG-Turbinenhalle)
◎ 선택 동기 및 감상
1.개관
2.러시아 아방가르드: 혁명과 예술
(1)유토피아 예술
(2)아방가르드 예술의 제안: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예술>
(3)예술에서 건축으로: 타틀린과 리시츠키의 키네틱 아트
3.러시아 구성주의 건축
(1)러시아 구성주의 건축의 전개
(2)러시아 구성주의의 한계
독일의 근대건축운동
1.개관
(1)독일의 공예이념의 근대화
(2)기계미학의 시대
2.독일공작연맹
(1)독일공작연맹의 성립
(2)기술인가 예술인가
(3)피터 베렌스와 앙리 반 데 벨데
(4)기술과 예술의 통합
(5)발터 그로피우스
◎ 나르콤핀 아파트- 모이세이 긴스부르크 설계
◎ 세부조사 느낀 점
◎ AEG 터빈 공장(AEG-Turbinenhalle)
◎ 선택 동기 및 감상
본문내용
개인주의자들이며 자유의지를 가진 창조자이다. 그들은 일정한 틀이나
기준을 강요하는 원리를 결코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을 것이다. 아직 양식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
정한 틀이 나타나기를 바라는 것은 그야말로 원인에 앞서 결과를 보고자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러한
독일 공예를 효과적으로 외국에 널리 펼치기에는 외국이 예로부터 취미나 전통, 그리고 문화에 있어서 우
리를 능가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시기상조적인 방식을 통해서는 점점 더 그 가망성이 희박하다.“
(3)피터 베렌스와 앙리 반 데 벨데
① 베렌스
ⓐ 1907년에 AEG사의 미술고문이 되어 AEG사의 건물, 제품, 그리고 그래픽 디자인을 담당 1909년에는
베를린에 AEG사의 터빈공장 건물을 디자인, 유겐트 스틸
ⓑ 교직에 머물면서 박함회 전시관 디자인이나 도서관의 내부 장식등에 관여하였으며, 서서히 기하학적인
정형 디자인 <하게의 화장터> 로마네스크풍 <슐레이더 저택>, <크노저택> 고전주의 양식을 근거로 19
세기 말 신고전주의 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 1907년 베를린에서 사무소를 개설하였으며, 전기 회사 AEG의 예술 고문에 추대되어 건축설계, 공업
제품의 디자인에 종사- 사무소에는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로에, 르 꼬르뷔제 등이 근무했으며,
근대 거장들의 교육장.
ⓓ <헥스트 염색공장> 표현주의적인 수법도 보여주고 있다, 고전주의 등 다양한 경향의 디자인을 보여주고
부품의 조합을 통한 생산 개념에 근거하고 있음은 주목할 점이라 할 수 있다.- 장식보다는 기능과 시스
템에 의해 통합된 환경을 디자인 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장식보다는 기능과 시스템에 의해 통합된 환
경을 디자인 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점차 고전주의적 경향으로 회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전주의적질
서와는 별도의 기능과 시스템의 새로운 질서를 제시.
② 벨데
ⓐ 규격화를 추구, 개인주의의 표명이자 개인의 서명과도 같은 작품을 만들고 있었다.
ⓑ 벨기에 태생인 벨데는 처음에는 화가였는데 모리스의 작업과 미술공예운동에서 영향을 받아 1890년대
초에 공예와 건축으로 전환
ⓒ 1901년에 독일의 작센 바이마르 대공의 예술고문으로 추대되었다. 다음해에는 사설 공예 학교를 설립
이 학교가 1908년 공립미술공예학교가 되고 후에 바우하우스의 전신이 되었다.
(4)기술과 예술의 통합
① 공작연맹이 주장한 규격화의 발상은 산업의 합리화와 제품의 양산화에 결부됨과 동시에 사람들의 생활을
규격화함으로서 합리화를 추구.
② 그로피우스의 처녀작이자 아돌프마이어와 공동으로 설계한 1911년의 <파구스 공장> 기둥을 뺀 코너부를
포함하여 외벽의 대부분에 유리 커튼월을 사용하여 내부에 밝고 개방적인 환경을 실현, 생산성의 향상이
라는 근대산업의 이념이 간소하고 실용적인 형태를 요구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5)발터 그로피우스
①발터 그로피우스
ⓐ 예술적 디자인보다는 기능과 타당한 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관심.
ⓑ <독일 공작 연맹전 모델 공장> 철골과 투명 판유리의 소재를 예술적인 표현에 이용하는 수법은 모범적으
로, 유리 상자를 구조체로 지지하는 공간 디자인의 조형 수법을 개발함으로써 커튼월 공법의 결과
ⓒ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교사>의 신축에서, 후에 “국제 양식”이라고 하는 건축디자인 수법으로 확립된다.
- 국제양식이란 고전적인 기념비성을 부정하고 구성주의의 조형수법으로 전개된 자유로운 공간 조형을
가리키며, 또한 다양한 예술가가 참여한 종합 예술을 의도한 것이었다.
ⓓ 일찍이 프리패브 공법에 착안하여, 슈투트가르트의 <바이센호프지드룽>, 뎃사우의 <델텐지드룽>등에서
이를 사용했다. 예술성보다는 기능적 합리성을 중점을 둔 기능주의
기준을 강요하는 원리를 결코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을 것이다. 아직 양식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
정한 틀이 나타나기를 바라는 것은 그야말로 원인에 앞서 결과를 보고자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러한
독일 공예를 효과적으로 외국에 널리 펼치기에는 외국이 예로부터 취미나 전통, 그리고 문화에 있어서 우
리를 능가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시기상조적인 방식을 통해서는 점점 더 그 가망성이 희박하다.“
(3)피터 베렌스와 앙리 반 데 벨데
① 베렌스
ⓐ 1907년에 AEG사의 미술고문이 되어 AEG사의 건물, 제품, 그리고 그래픽 디자인을 담당 1909년에는
베를린에 AEG사의 터빈공장 건물을 디자인, 유겐트 스틸
ⓑ 교직에 머물면서 박함회 전시관 디자인이나 도서관의 내부 장식등에 관여하였으며, 서서히 기하학적인
정형 디자인 <하게의 화장터> 로마네스크풍 <슐레이더 저택>, <크노저택> 고전주의 양식을 근거로 19
세기 말 신고전주의 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 1907년 베를린에서 사무소를 개설하였으며, 전기 회사 AEG의 예술 고문에 추대되어 건축설계, 공업
제품의 디자인에 종사- 사무소에는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로에, 르 꼬르뷔제 등이 근무했으며,
근대 거장들의 교육장.
ⓓ <헥스트 염색공장> 표현주의적인 수법도 보여주고 있다, 고전주의 등 다양한 경향의 디자인을 보여주고
부품의 조합을 통한 생산 개념에 근거하고 있음은 주목할 점이라 할 수 있다.- 장식보다는 기능과 시스
템에 의해 통합된 환경을 디자인 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장식보다는 기능과 시스템에 의해 통합된 환
경을 디자인 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점차 고전주의적 경향으로 회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전주의적질
서와는 별도의 기능과 시스템의 새로운 질서를 제시.
② 벨데
ⓐ 규격화를 추구, 개인주의의 표명이자 개인의 서명과도 같은 작품을 만들고 있었다.
ⓑ 벨기에 태생인 벨데는 처음에는 화가였는데 모리스의 작업과 미술공예운동에서 영향을 받아 1890년대
초에 공예와 건축으로 전환
ⓒ 1901년에 독일의 작센 바이마르 대공의 예술고문으로 추대되었다. 다음해에는 사설 공예 학교를 설립
이 학교가 1908년 공립미술공예학교가 되고 후에 바우하우스의 전신이 되었다.
(4)기술과 예술의 통합
① 공작연맹이 주장한 규격화의 발상은 산업의 합리화와 제품의 양산화에 결부됨과 동시에 사람들의 생활을
규격화함으로서 합리화를 추구.
② 그로피우스의 처녀작이자 아돌프마이어와 공동으로 설계한 1911년의 <파구스 공장> 기둥을 뺀 코너부를
포함하여 외벽의 대부분에 유리 커튼월을 사용하여 내부에 밝고 개방적인 환경을 실현, 생산성의 향상이
라는 근대산업의 이념이 간소하고 실용적인 형태를 요구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5)발터 그로피우스
①발터 그로피우스
ⓐ 예술적 디자인보다는 기능과 타당한 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관심.
ⓑ <독일 공작 연맹전 모델 공장> 철골과 투명 판유리의 소재를 예술적인 표현에 이용하는 수법은 모범적으
로, 유리 상자를 구조체로 지지하는 공간 디자인의 조형 수법을 개발함으로써 커튼월 공법의 결과
ⓒ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교사>의 신축에서, 후에 “국제 양식”이라고 하는 건축디자인 수법으로 확립된다.
- 국제양식이란 고전적인 기념비성을 부정하고 구성주의의 조형수법으로 전개된 자유로운 공간 조형을
가리키며, 또한 다양한 예술가가 참여한 종합 예술을 의도한 것이었다.
ⓓ 일찍이 프리패브 공법에 착안하여, 슈투트가르트의 <바이센호프지드룽>, 뎃사우의 <델텐지드룽>등에서
이를 사용했다. 예술성보다는 기능적 합리성을 중점을 둔 기능주의
키워드
추천자료
홈네트워크 구축 및 사이버 아파트 구축안
재건축 사업과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법
[토지경제학] 강남 고가 아파트의 가격형성과정 분석
(공동주택)부산 망미 주공아파트
[브랜드마케팅]국내 아파트브랜드 마케팅전략 분석 (리포트)
[로마][로마의 서사시][로마의 주거][로마의 건축][로마의 건축물 사례][로마의 멸망]로마의 ...
(문화교양학 공통)낭만 아파트에 대한 서평
LG 자이(XI) 아파트 건설의 마케팅 전략 사례 분석
생태 건축과 현대 건축의 양립, 킬-하세 생태주거단지와 안동 하회마을의 건축적 공통점
부실공사가 낳은 억울한 참사(와우 아파트 붕괴 사건)
건축법규체크리스트 (일반건축용) - 건축개요, 건축물의 대지 및 도로, 구조 및 재료, 건축물...
건축설계 - 군주론에 입각한 건축
건축재료 및 건축설비의 규격화,부품화,조립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