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이 되고 싶은 사람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1.특징과 배경
1)천성적인 유혹자이자 거짓말쟁이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남을 매료하지 못하면 자기의 존재 가치가 없다고 굳게 믿는 특징이 있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같이 있는 사람을 매료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 자기 존재를 유지하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긴다.
- 남의 칭찬을 갈구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다른 점이 있다면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남을 매료하여 관심이나 주의를 끄는 게 목적인지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라도 한다. 설사 자기가 다친다 해도 개의치 않고 태연히 할 수 있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가 모든 성격장애 중에서 가장 충동적이다. 자살이나 위험한 정사, 약물 남용, 범죄에 빠지기 쉽다.
2)부모를 향한 성적 관심이 승화되지 못한 것이 특징
- 인간은 어째서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를 일으키는가? 이는 어렸을 적부터 자기가 아닌 타인을 연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의외로 우울증에 자주 시달린다. 그 우울증의 원인은 경계성 성격장애와 마찬가지로 채워지지 않은 애정이다. 대개의 경우 어머니와의 관계에 문제가 있다.
3)강한 자조님을 유지하기 위한 거짓말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에게 모두 나타나지는 않지만 종종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그들은 거짓말을 진실처럼 말한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의 거짓말은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주변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해서 주목과 관심을 얻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거나, 아니면 동경하던 주인공을 자기와 일치시켜 주인공이 된 듯한 기분을 맛보기 위함이다.
- 칭찬, 관심을 구한다는 점에서 나르시시스트에 가까워서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 중에는 나르시시스트가 많다.
4) 비언어적인 전달의 달인
- 히스테리성 성격을 지닌 사람은 뛰어난 표현력으로 타인을 감동시키는 힘을 갖고 있다.어떻게 하면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지를 감각적으로 알고 있다.
5)바탕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 보통의 아이들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에서 성적인 느낌을 갖지 않는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부모가 단순히 부모로 여겨지지 않고 남자나 여자로 느껴지면 아이는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가 되기 쉽다고 본다.
- 가장 흔한 경우가 부모의 불륜이나 이성 문제일 것이다.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사랑받기 위해 매달리는 상황은 아이를 성적 유혹자로 만들 위험성이 있다.
2. 함께 지내는 요령
1)무리하게 가면을 벗기지 마라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를 대하는 데에는 대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사람이 연기하는 가면, 거짓말을 관객으로서 칭찬하고 당사자가 기대하는 반응을 보이는 방법과 당사자의 가면이나 거짓말을 불쾌하게 여겨 그 사람을 멀리하는 방법이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와 관계를 유지하려면 그의 연기나 거짓말을 눈치 채어도 면전에서 지적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 그러나 그 사람과의 관계를 보다 더 발전시켜 긴밀해지려면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해서 행동하는 것이 좋다. 거짓말이나 연기에 그가 원하는 대로 반응하지 않는다. 다인이 그 사람의 보호자인 양 행동하면 상상도 하지 못했던 사태가 벌어질 뿐 아니라 그 사람의 병적인 경향이 한층 심화되고 만다.
2)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날 때의 대처 방법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에게는 신체적으로 여러 증상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쉽다.
두통, 현기증, 마비, 복통 같은 것에서부터 경련을 일으키거나 의식을 잃거나 걸을 수 없게 되는 등의 증상이다. 여러 검사를 해 보지만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 신체형 증상(과거 히스티리라고 불렀다)을 동반하기 쉽다.
- 신체로 나타나는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대처 방안이 있다.
먼저,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은 휴식이나 애정을 필요로 한다는 신호이므로 어찌 되었든 휴식을 취하게 한다. 그런 증상들이 실제 병이 아니고 기분의 문제일 뿐이라고 논리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금물이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어리광을 부리거나 제멋대로 하게 내버려두지 말고 “상태가 좋지 않아 쉬고 있다”는 원칙을 지키게 하여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 있게 한다든지, 행동 반경을 제한을 두어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일이다. 이렇게 대처하면 신체적 증상이 자연히 사라질 때가 많다. 만약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보호자는 당황하지 말고 당사자가 할 수 있는 한 스스로 대처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악순환을 막는 데 중요하다.
- 신체형 증상이란 자신에게 관심을 집중시키려는 욕구가 이처럼 여러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당사자에게 맡기는 것이 효과적이다.
3. 극복요령
1)자기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의 특징은 외면적인 일이나 타인의 기분에만 관심을 쏟아 자신의 내면이나 기분에는 소홀해 지기 쉽다는 것이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자기도 모르게 주변 사람들의 기분에 따라 반응하거나 행동한다. 그러나 이런 생활은 마음을 더욱 황폐하게 만든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를 극복하는 최선책은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을 적극적으로 갖는 훈련을 쌓는 것이다. 혼자라는 생각에 기분이 가라않을지 몰라도 이것이 진정한 자기와 마주할 수 있다는 증거이다.자신과 대화할 시간을 갖고 스스로 반성하는 습관이야 말로 성격 수양에 도움이 된다.
- 일기를 쓰거나 독서를 하고, 동식물을 키우는 것도 좋다.
- 외부의 자극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기 내부에서 솟구치는 자극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2)평범한 시간들을 소중히 여긴다.
- 참신한 자극이나 흥분 없이도 인간은 행복해질 수 있다. 아무 일도 없는 지극히 평범한 시간들을 소중히 여김으로써 가무성이 고양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는 힘도 길러진다.
- 평범한 것에서도 즐거움을 발견하려면 의미 있는 일이나 인간관계를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3)새장 속의 새 증후군
- 자신을 무리하게 틀 속에 가두면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른바 새장 속의 새 증후군이다. 어느 정도의 짜릿한 자극이 없으면 햇빛을 받지 못한 꽃처럼 시들어 버린다. 타인의 시선이 있어야 비로소 이 사람은 빛이 난다. 그러나 언제까지고 자극만
1.특징과 배경
1)천성적인 유혹자이자 거짓말쟁이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남을 매료하지 못하면 자기의 존재 가치가 없다고 굳게 믿는 특징이 있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같이 있는 사람을 매료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 자기 존재를 유지하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긴다.
- 남의 칭찬을 갈구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다른 점이 있다면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남을 매료하여 관심이나 주의를 끄는 게 목적인지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라도 한다. 설사 자기가 다친다 해도 개의치 않고 태연히 할 수 있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가 모든 성격장애 중에서 가장 충동적이다. 자살이나 위험한 정사, 약물 남용, 범죄에 빠지기 쉽다.
2)부모를 향한 성적 관심이 승화되지 못한 것이 특징
- 인간은 어째서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를 일으키는가? 이는 어렸을 적부터 자기가 아닌 타인을 연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의외로 우울증에 자주 시달린다. 그 우울증의 원인은 경계성 성격장애와 마찬가지로 채워지지 않은 애정이다. 대개의 경우 어머니와의 관계에 문제가 있다.
3)강한 자조님을 유지하기 위한 거짓말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에게 모두 나타나지는 않지만 종종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그들은 거짓말을 진실처럼 말한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의 거짓말은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주변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해서 주목과 관심을 얻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거나, 아니면 동경하던 주인공을 자기와 일치시켜 주인공이 된 듯한 기분을 맛보기 위함이다.
- 칭찬, 관심을 구한다는 점에서 나르시시스트에 가까워서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 중에는 나르시시스트가 많다.
4) 비언어적인 전달의 달인
- 히스테리성 성격을 지닌 사람은 뛰어난 표현력으로 타인을 감동시키는 힘을 갖고 있다.어떻게 하면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지를 감각적으로 알고 있다.
5)바탕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 보통의 아이들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에서 성적인 느낌을 갖지 않는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부모가 단순히 부모로 여겨지지 않고 남자나 여자로 느껴지면 아이는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가 되기 쉽다고 본다.
- 가장 흔한 경우가 부모의 불륜이나 이성 문제일 것이다.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사랑받기 위해 매달리는 상황은 아이를 성적 유혹자로 만들 위험성이 있다.
2. 함께 지내는 요령
1)무리하게 가면을 벗기지 마라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를 대하는 데에는 대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사람이 연기하는 가면, 거짓말을 관객으로서 칭찬하고 당사자가 기대하는 반응을 보이는 방법과 당사자의 가면이나 거짓말을 불쾌하게 여겨 그 사람을 멀리하는 방법이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와 관계를 유지하려면 그의 연기나 거짓말을 눈치 채어도 면전에서 지적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 그러나 그 사람과의 관계를 보다 더 발전시켜 긴밀해지려면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해서 행동하는 것이 좋다. 거짓말이나 연기에 그가 원하는 대로 반응하지 않는다. 다인이 그 사람의 보호자인 양 행동하면 상상도 하지 못했던 사태가 벌어질 뿐 아니라 그 사람의 병적인 경향이 한층 심화되고 만다.
2)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날 때의 대처 방법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에게는 신체적으로 여러 증상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쉽다.
두통, 현기증, 마비, 복통 같은 것에서부터 경련을 일으키거나 의식을 잃거나 걸을 수 없게 되는 등의 증상이다. 여러 검사를 해 보지만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 신체형 증상(과거 히스티리라고 불렀다)을 동반하기 쉽다.
- 신체로 나타나는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대처 방안이 있다.
먼저,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은 휴식이나 애정을 필요로 한다는 신호이므로 어찌 되었든 휴식을 취하게 한다. 그런 증상들이 실제 병이 아니고 기분의 문제일 뿐이라고 논리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금물이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어리광을 부리거나 제멋대로 하게 내버려두지 말고 “상태가 좋지 않아 쉬고 있다”는 원칙을 지키게 하여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 있게 한다든지, 행동 반경을 제한을 두어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일이다. 이렇게 대처하면 신체적 증상이 자연히 사라질 때가 많다. 만약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보호자는 당황하지 말고 당사자가 할 수 있는 한 스스로 대처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악순환을 막는 데 중요하다.
- 신체형 증상이란 자신에게 관심을 집중시키려는 욕구가 이처럼 여러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당사자에게 맡기는 것이 효과적이다.
3. 극복요령
1)자기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의 특징은 외면적인 일이나 타인의 기분에만 관심을 쏟아 자신의 내면이나 기분에는 소홀해 지기 쉽다는 것이다.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자는 자기도 모르게 주변 사람들의 기분에 따라 반응하거나 행동한다. 그러나 이런 생활은 마음을 더욱 황폐하게 만든다.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를 극복하는 최선책은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을 적극적으로 갖는 훈련을 쌓는 것이다. 혼자라는 생각에 기분이 가라않을지 몰라도 이것이 진정한 자기와 마주할 수 있다는 증거이다.자신과 대화할 시간을 갖고 스스로 반성하는 습관이야 말로 성격 수양에 도움이 된다.
- 일기를 쓰거나 독서를 하고, 동식물을 키우는 것도 좋다.
- 외부의 자극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기 내부에서 솟구치는 자극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2)평범한 시간들을 소중히 여긴다.
- 참신한 자극이나 흥분 없이도 인간은 행복해질 수 있다. 아무 일도 없는 지극히 평범한 시간들을 소중히 여김으로써 가무성이 고양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는 힘도 길러진다.
- 평범한 것에서도 즐거움을 발견하려면 의미 있는 일이나 인간관계를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3)새장 속의 새 증후군
- 자신을 무리하게 틀 속에 가두면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른바 새장 속의 새 증후군이다. 어느 정도의 짜릿한 자극이 없으면 햇빛을 받지 못한 꽃처럼 시들어 버린다. 타인의 시선이 있어야 비로소 이 사람은 빛이 난다. 그러나 언제까지고 자극만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4공통] 1)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 & 2)에릭슨(Eri...
[교육심리학]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공통]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
[교육학] 교육의 심리적 기초 01 - 교육심리학의 성격, 학습자의 특성
교육심리학4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am...
교육심리학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방송통신대.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에...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pptx
알프레드 아들러 (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성격이론
[교육심리학 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에릭슨의 성격발달8...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