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2.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징
4.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리
5.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6.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과 교훈
7.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공헌
III. 결론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2.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징
4.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리
5.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6.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과 교훈
7.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공헌
III. 결론
본문내용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
I. 서론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2.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징
4.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리
5.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6.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과 교훈
7.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공헌
III. 결론
Ⅰ. 서론
오늘날 기독교계는 다원주의와 세속적인 신학사상으로 오염되어 하나님의 말씀이 왜곡되어 가고 있는 포스트모던시대에 접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신학사조는 마치 구약시대 느헤미야가 당한 영적 혼란과 빈곤 속에서 예루살렘의 성벽은 무너지고 훼파되었으며 백성들은 하나님을 떠나 영적 타락 속에서 신음하던 시대와 매우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려 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는 있지만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진정한 영적 지도자가 희귀한 이러한 시대 속에 살고 있다.
말세지말 을 당하여 사단은 우는 사자와 같이 믿는 자를 넘어뜨리려 획책하고 세상 공중권세를 잡은 사단의 앞잡이들은 하나님의 백성들을 억압하려고 음모를 꾸미는 것이 오늘날 이 시대의 상황인 것이다. 거룩하신 하나님의 말씀보다는 헛된 우상이나 무속 인들의 말에 현혹되어 진리를 거슬리고 있는 현대인들의 영적 무지 속에는 이기심과 탐심 그리고 물욕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 성경을 통하여 오늘날 성도가 배울 수 있는 영적 리더십이 많이 있겠지만 특별히 구약성경에 나오는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은 오늘날 부정부패와 세속화되어가는 시대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시대를 넘어 느헤미야 당시 영적부흥운동의 모범을 보여준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이 오늘날 이 시대에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느헤미야는 바사 왕국에서 아닥사스다 왕의 술잔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이것은 왕이 마시는 술잔에 독이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대단히 높은 중요한 직위였다. 이러한 신용 있는 직위의 사람은 때때로 왕의 긴밀한 모사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높은 직위에 있을 때 하나님의 백성들을 생각하고 동족이 지은 죄를 자신의 죄처럼 여기고 금식하며 회개하였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의 훼파된 성벽과 유다의 중건 그리고 남은 자들의 영적 부흥운동을 주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는 호화스런 지위에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기꺼이 고통스럽고 위험한 직책을 감수한 놀라운 영적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의 영적 리더십은 하나님과 민족 앞에 하나님의 뜻과 섭리에 따라 민족 구원의 헌신과 열정을 보여주었다. 결국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은 오늘날 혼탁해져가는 기독교계에 신선한 영적 리더십의 모범이 되어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느헤미야의 생애와 삶을 통하여 영적 리더십이 무엇인가를 밝혀 오늘날 모든 성도들이 본받아야 할 교훈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의 내용은 느헤미야의 생애, 그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자질과 특성, 원리, 본질 그리고 모범과 교훈으로 나누어 진술하고 한다. 연구의 방법은 리더십의 접근, 리더십의 일반적 특성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되 성경을 근간으로 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가 별로 많지 않고 주로 성경을 중심으로 언급된 설교적 내용들이 다수라 학문적 접근에 쉽지 않다는 점이다.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1) 출생과 그 생애
느헤미야 Nehemiah 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느헤므야 즉 여호와께서 위로하시다 라는 말이며 헬라어로는 Νεεα(네에미아)이다. 느헤미야는 B. C. 538년 세스바살과 함께 바벨론에서 돌아온 포로 명단의 첫머리에 나오는 한 인물(스 2:2; 느 7:7)이다.
느헤미야는 아스북의 아들이며, ‘벧술 지방의 절반을 다스리는 자’로서 B. C.444년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할 때 유다 총독 느헤미야를 도운 사람 중 하나(느 3:16)이다 또 히가랴의 아들로 바사 왕 아닥사스다 1세(Artaxerxes Ⅰ)의 수산 궁(술 따르는 일을 맡음)에서 왕의 관원으로 영향력 있는 지위에 있었다.(B. C. 465-424년). 이름자에 나타나는 야(jah)는 그의 가족이 유다의 정통신앙에 충실하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느 1:1). B. C.444년 친척 하나니로부터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이 겪고 있는 참상을 전해 듣고 슬퍼하며 수심에 가득 차 있던 중, 왕의 허락을 받아 총독의 자격으로 예루살렘에 가게 되었다.(느1:1-2:8). 예루살렘에 도착한 즉시 그는 폐허가 된 성벽을 몰래 답사했다(느2:9-16). 그가 성벽을 재건하기로 결정을 내리자, 이것을 근심한 사마리아의 통치자 산발랏과 도비야가 조소하며 항변했으나(느 2:17-20), 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헌신적인 유대인들의 힘으로 성벽이 재건되었다(느 3-4장). 총독으로서 사심 없이 봉사한 느헤미야는 최악의 경제 위기를 일부나마 바로잡는데 성공했다(느5장). 그의 적대세력이 음모를 꾸미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느 6:1-14), 느헤미야는 성벽 수축을 완성하고 예루살렘 성문에 문지기를 세웠다(느 7:1-3). 또한 예루살렘 주민의 수가 너무 적다는 사실을 알고(느 7:4-73), 느헤미야는 유대인 가운데1/10은 예루살렘 성에 살도록 지시했다(느 11:1-2). B. C. 432년 예루살렘 제 2차 방문 시에 느헤미야는 도비 야를 성전에서 몰아내고 하나님의 전에 레위 사람들을 다시 불러 모아 세움으로써 (느 13:4-9)레위 사람들이 십일조를 받을 수 있도록 조처했으며(느 10-14절), 또한 안식일을 지키게 했다(느15-22절). 느헤미야는 족외혼을 금지하기 위해(느 13:23-27) 산발랏의 딸과 혼인한 대제사장의 손자를 내
I. 서론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2.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징
4.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리
5.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6.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과 교훈
7.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공헌
III. 결론
Ⅰ. 서론
오늘날 기독교계는 다원주의와 세속적인 신학사상으로 오염되어 하나님의 말씀이 왜곡되어 가고 있는 포스트모던시대에 접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신학사조는 마치 구약시대 느헤미야가 당한 영적 혼란과 빈곤 속에서 예루살렘의 성벽은 무너지고 훼파되었으며 백성들은 하나님을 떠나 영적 타락 속에서 신음하던 시대와 매우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려 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는 있지만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진정한 영적 지도자가 희귀한 이러한 시대 속에 살고 있다.
말세지말 을 당하여 사단은 우는 사자와 같이 믿는 자를 넘어뜨리려 획책하고 세상 공중권세를 잡은 사단의 앞잡이들은 하나님의 백성들을 억압하려고 음모를 꾸미는 것이 오늘날 이 시대의 상황인 것이다. 거룩하신 하나님의 말씀보다는 헛된 우상이나 무속 인들의 말에 현혹되어 진리를 거슬리고 있는 현대인들의 영적 무지 속에는 이기심과 탐심 그리고 물욕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 성경을 통하여 오늘날 성도가 배울 수 있는 영적 리더십이 많이 있겠지만 특별히 구약성경에 나오는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은 오늘날 부정부패와 세속화되어가는 시대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시대를 넘어 느헤미야 당시 영적부흥운동의 모범을 보여준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이 오늘날 이 시대에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느헤미야는 바사 왕국에서 아닥사스다 왕의 술잔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이것은 왕이 마시는 술잔에 독이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대단히 높은 중요한 직위였다. 이러한 신용 있는 직위의 사람은 때때로 왕의 긴밀한 모사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높은 직위에 있을 때 하나님의 백성들을 생각하고 동족이 지은 죄를 자신의 죄처럼 여기고 금식하며 회개하였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의 훼파된 성벽과 유다의 중건 그리고 남은 자들의 영적 부흥운동을 주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는 호화스런 지위에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기꺼이 고통스럽고 위험한 직책을 감수한 놀라운 영적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의 영적 리더십은 하나님과 민족 앞에 하나님의 뜻과 섭리에 따라 민족 구원의 헌신과 열정을 보여주었다. 결국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은 오늘날 혼탁해져가는 기독교계에 신선한 영적 리더십의 모범이 되어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느헤미야의 생애와 삶을 통하여 영적 리더십이 무엇인가를 밝혀 오늘날 모든 성도들이 본받아야 할 교훈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의 내용은 느헤미야의 생애, 그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자질과 특성, 원리, 본질 그리고 모범과 교훈으로 나누어 진술하고 한다. 연구의 방법은 리더십의 접근, 리더십의 일반적 특성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되 성경을 근간으로 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가 별로 많지 않고 주로 성경을 중심으로 언급된 설교적 내용들이 다수라 학문적 접근에 쉽지 않다는 점이다.
Ⅱ. 본론
1. 느헤미야의 생애
1) 출생과 그 생애
느헤미야 Nehemiah 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느헤므야 즉 여호와께서 위로하시다 라는 말이며 헬라어로는 Νεεα(네에미아)이다. 느헤미야는 B. C. 538년 세스바살과 함께 바벨론에서 돌아온 포로 명단의 첫머리에 나오는 한 인물(스 2:2; 느 7:7)이다.
느헤미야는 아스북의 아들이며, ‘벧술 지방의 절반을 다스리는 자’로서 B. C.444년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할 때 유다 총독 느헤미야를 도운 사람 중 하나(느 3:16)이다 또 히가랴의 아들로 바사 왕 아닥사스다 1세(Artaxerxes Ⅰ)의 수산 궁(술 따르는 일을 맡음)에서 왕의 관원으로 영향력 있는 지위에 있었다.(B. C. 465-424년). 이름자에 나타나는 야(jah)는 그의 가족이 유다의 정통신앙에 충실하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느 1:1). B. C.444년 친척 하나니로부터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이 겪고 있는 참상을 전해 듣고 슬퍼하며 수심에 가득 차 있던 중, 왕의 허락을 받아 총독의 자격으로 예루살렘에 가게 되었다.(느1:1-2:8). 예루살렘에 도착한 즉시 그는 폐허가 된 성벽을 몰래 답사했다(느2:9-16). 그가 성벽을 재건하기로 결정을 내리자, 이것을 근심한 사마리아의 통치자 산발랏과 도비야가 조소하며 항변했으나(느 2:17-20), 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헌신적인 유대인들의 힘으로 성벽이 재건되었다(느 3-4장). 총독으로서 사심 없이 봉사한 느헤미야는 최악의 경제 위기를 일부나마 바로잡는데 성공했다(느5장). 그의 적대세력이 음모를 꾸미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느 6:1-14), 느헤미야는 성벽 수축을 완성하고 예루살렘 성문에 문지기를 세웠다(느 7:1-3). 또한 예루살렘 주민의 수가 너무 적다는 사실을 알고(느 7:4-73), 느헤미야는 유대인 가운데1/10은 예루살렘 성에 살도록 지시했다(느 11:1-2). B. C. 432년 예루살렘 제 2차 방문 시에 느헤미야는 도비 야를 성전에서 몰아내고 하나님의 전에 레위 사람들을 다시 불러 모아 세움으로써 (느 13:4-9)레위 사람들이 십일조를 받을 수 있도록 조처했으며(느 10-14절), 또한 안식일을 지키게 했다(느15-22절). 느헤미야는 족외혼을 금지하기 위해(느 13:23-27) 산발랏의 딸과 혼인한 대제사장의 손자를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