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절삭과 연마
2. 회전 절삭 기구
1) 회전 절삭기구의 구조
2) 회전 절삭기구의 분류
① bur
② diamond point
③ 기타 기구
3) 회전 절삭기구의 관리 및 소독
4) 회전 절삭기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3. 수동 절삭 기구
1) 수동 절삭기구의 구조
2) 수동 절삭기구의 분류
① Excavator
②Chisel (끌형)
③Hatchet (나무도끼 모양)
④Gingival margin trimmer (낫형)
⑤Hoes (괭이모양)
3) 수동 절삭기구의 관리
2. 회전 절삭 기구
1) 회전 절삭기구의 구조
2) 회전 절삭기구의 분류
① bur
② diamond point
③ 기타 기구
3) 회전 절삭기구의 관리 및 소독
4) 회전 절삭기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3. 수동 절삭 기구
1) 수동 절삭기구의 구조
2) 수동 절삭기구의 분류
① Excavator
②Chisel (끌형)
③Hatchet (나무도끼 모양)
④Gingival margin trimmer (낫형)
⑤Hoes (괭이모양)
3) 수동 절삭기구의 관리
본문내용
의 장축과 평행하며 양쪽으로 사면화되어 있다. 전치부에서 특히 직접 금수복을 위한 와동 형성 시 유지 형태를 위한 삭제와 내부 선각을 예리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hoe excavator
날 절삭연이 손잡이 장축에 수직을 이루고있다. 와동벽을 평활하게 하며 선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직접 금수복을 위한 Ⅲ급과 Ⅴ급 와동형성에 쓰인다. 어떤 절삭기구 세트에는 hoe가 훨씬 길고 무거운 날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부가 역굴곡된 경우도 있다. 이 기구는 법랑질이나 구치부에 사용한다.
angle former excavator
주로 금속수복을 위한 와동 형성 시 일차적으로 선각을 예리하게 하고 상아질에 유지 형태를 얻는데 사용된다. 또한 법랑질 변연에 변연사면을 형성할 때도 사용된다. 이 기구는 단일-굴곡으로 일차 절삭연이 날과 각(90도 이외의)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치즐과 gingival margin trimmer가 조합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쌍으로 우측과 좌측에 쓰이고 있다.
spoon excavator
우식증 제거와 아말감 또는 직접납형(direct wax pattern)의 조각에 사용된다. 날은 약간 만곡 되어있고 절삭연은 둥글거나 발톱모양을 한다. 둥근 절삭연은 discoid형이라고 하고 발톱모양의 날을 cleoid형이라고 한다. 연결부는 접근이 쉽도록 2중-굴곡 되어 있거나 3중-굴곡 되어 있다.
A.전통적인 해칫 B.Hoe C.앵글 포머 D.E.스푼의 여러형태
②Chisel (끌형)
와동형성 시 와동벽과 와동저를 매끈하게 하거나 불필요한 치질 제거에 이용된다*법랑질의 절삭에 주로 사용한다.
치즐은 직선형 및 곡선형 치즐, 법랑질 해칫, 치은연 트리머 등의 형태로 다시 세분할 수 있다.
직선형(straight)
직선의 연결부와 한쪽 면에만 사면이 있는 날을 가지고 있다. 일차 절삭연은 손잡이 장축에 수직이며 목수가 사용하는 치즐과 유사하다. 180도로 회전할 수 있어서 와동의 어느 면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측과 좌측 형태가 필요없다.
약간 만곡형(Wedelstaedt)
2중-굴곡형(bin-angle)
약간만곡형과 2중굴곡형은 손잡이 장축에 수직인 면상에 일차 절삭연이 있고 원심 사면 또는 근심(역)사면이 있을 수 있다. 원심 사면이 있는 날은 날의 내면에 접하는 와동벽을 평탄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근심 사면이 있는 날은 날의 외면에 접하는 와동벽을 평탄하게 하는 형태로 되어있다.
A.B.직선형 및 곡선형 치즐 C.법랑질 해칫 D.E.치은연 트리머(D-근심용 E-원심용)
3) Hatchet(나무도끼 모양)
와동형성시 와동벽과 와동저를 매끈하게 하거나 불필요한 치질제거에 이용된다.
절삭연이 손잡이 장축과 평행한 면에 존재하는 기구는 법랑질 삭제에 사용되며 와동의 반대측 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우측과 좌측 형태가 있다.
4) Gingival margin trimmer(낫형)
와동벽에 사면(bevel)을 형성할 때 사용되며 hatchet의 변형으로 기구의 날이 약간 더 구부러졌다. 인접-교합면 와동형성시 치은측 법랑질 변연에 적절한 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날이 만곡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 enamel hatchet의 형태와 유사하며, 날의 장축에 대해 일차 절삭연이 90도 이외의 각을 형성한다. 우측과 좌측 형태가 있으며 우측과 좌측 짝은 각각 근심측과 원심측 짝을 갖기도 한다. 기구식의 두 번째 번호가 90에서 100일때는 이 기구는 원심 치은축 변연에 사용되며, 이 번호가 85에서 75일 때는 근심측 변연의 변연사면 형성에 사용된다. 100번과 75번 짝은 inlay / onlay 와동 형성시 급경사의 치은축 변연사면을 형성할 때 사용되며, 90번과 85번 짝은 아말감 와동형성에서 약간의 경사를 요하는 치은축 법랑질 변연사면의 형성에 이용된다. 이 기구들은 다른 용도로서 2면 와동 형성시 치수축벽선각을 둥글게 하거나 변연사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5) Hoe(괭이 모양)
와동벽과 와동저를 끌어당기는 동작으로 평활하게 하는 데 사용한다.
6) Angle former
와동내의 외형과 유지형태를 위해 우각이나 첨각을 형성하는 데 사용한다.
7) 기타 기구들
칼(Knife), 파일(File), 조각도(Carver) 같은 것들이 있다. 이 기구들은 치질 절삭보다는 주로 수복물을 다듬기 위해 사용된다.
A. 칼(Knife)
B. 파일(File)
C. 아말감 조각도-클레오이드
*회전 전삭 기구가 큰 발전을 하면서 수동 절삭 기구는 현재 그 용도가 많이 감소되었다. 수동 절삭 기구는 회전 절삭 기구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연화 상아질의 제거, 유리 법랑질의 제거, 변연의 정리 및 마무리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동 절삭 기구는 대부분 탄소강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만든다
3) 수동 절삭기구의 관리및 멸균
간염 A, B 바이러스가 감염된 환자의 타액 속에 존재한다는 사실과 치과 종사자들 사이에 B형 간염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기구소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치과에서 멸균은 가압멸균법, 건열소독법, ethylene oxide, 가스 및 화학 증기소독법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끓임과 화학액(저온소독법)은 기구를 멸균할 수 없으며 단지 소독만 할 수 있다.
수동 절단 기구의 보관은 멸균된 랩으로 시술 시 필요한 기구 전체를 싸서 보관하거나 기구만 개별적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4)수동기구의 연마
①hoe scaler연마법
a.충분한 조명아래에서 절단날을 확인한다.
b.hoe를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고 stone에 손고정을 한다.
c.hoe를 stone에 45도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d.가볍게 힘을 주면서 toe와 연결되어 있는 beveled toe부위를 연마한다.
e.시험 막대로 확인한다.
②chisel scaler 연마법
a. 충분한 조명 아래에서 절단날을 확인한다.
b.chisel scaler를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고 손고정을 한다.
c.scaler와 stone의 각도는 45도를 유지한다.
d.scaler를 2~3회 앞으로 밀면서 연마한다.
e.시험 막대로 확인한다.
③file scaler연마법
a.여러 개의 절단날이 있기
hoe excavator
날 절삭연이 손잡이 장축에 수직을 이루고있다. 와동벽을 평활하게 하며 선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직접 금수복을 위한 Ⅲ급과 Ⅴ급 와동형성에 쓰인다. 어떤 절삭기구 세트에는 hoe가 훨씬 길고 무거운 날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부가 역굴곡된 경우도 있다. 이 기구는 법랑질이나 구치부에 사용한다.
angle former excavator
주로 금속수복을 위한 와동 형성 시 일차적으로 선각을 예리하게 하고 상아질에 유지 형태를 얻는데 사용된다. 또한 법랑질 변연에 변연사면을 형성할 때도 사용된다. 이 기구는 단일-굴곡으로 일차 절삭연이 날과 각(90도 이외의)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치즐과 gingival margin trimmer가 조합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쌍으로 우측과 좌측에 쓰이고 있다.
spoon excavator
우식증 제거와 아말감 또는 직접납형(direct wax pattern)의 조각에 사용된다. 날은 약간 만곡 되어있고 절삭연은 둥글거나 발톱모양을 한다. 둥근 절삭연은 discoid형이라고 하고 발톱모양의 날을 cleoid형이라고 한다. 연결부는 접근이 쉽도록 2중-굴곡 되어 있거나 3중-굴곡 되어 있다.
A.전통적인 해칫 B.Hoe C.앵글 포머 D.E.스푼의 여러형태
②Chisel (끌형)
와동형성 시 와동벽과 와동저를 매끈하게 하거나 불필요한 치질 제거에 이용된다*법랑질의 절삭에 주로 사용한다.
치즐은 직선형 및 곡선형 치즐, 법랑질 해칫, 치은연 트리머 등의 형태로 다시 세분할 수 있다.
직선형(straight)
직선의 연결부와 한쪽 면에만 사면이 있는 날을 가지고 있다. 일차 절삭연은 손잡이 장축에 수직이며 목수가 사용하는 치즐과 유사하다. 180도로 회전할 수 있어서 와동의 어느 면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측과 좌측 형태가 필요없다.
약간 만곡형(Wedelstaedt)
2중-굴곡형(bin-angle)
약간만곡형과 2중굴곡형은 손잡이 장축에 수직인 면상에 일차 절삭연이 있고 원심 사면 또는 근심(역)사면이 있을 수 있다. 원심 사면이 있는 날은 날의 내면에 접하는 와동벽을 평탄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근심 사면이 있는 날은 날의 외면에 접하는 와동벽을 평탄하게 하는 형태로 되어있다.
A.B.직선형 및 곡선형 치즐 C.법랑질 해칫 D.E.치은연 트리머(D-근심용 E-원심용)
3) Hatchet(나무도끼 모양)
와동형성시 와동벽과 와동저를 매끈하게 하거나 불필요한 치질제거에 이용된다.
절삭연이 손잡이 장축과 평행한 면에 존재하는 기구는 법랑질 삭제에 사용되며 와동의 반대측 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우측과 좌측 형태가 있다.
4) Gingival margin trimmer(낫형)
와동벽에 사면(bevel)을 형성할 때 사용되며 hatchet의 변형으로 기구의 날이 약간 더 구부러졌다. 인접-교합면 와동형성시 치은측 법랑질 변연에 적절한 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날이 만곡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 enamel hatchet의 형태와 유사하며, 날의 장축에 대해 일차 절삭연이 90도 이외의 각을 형성한다. 우측과 좌측 형태가 있으며 우측과 좌측 짝은 각각 근심측과 원심측 짝을 갖기도 한다. 기구식의 두 번째 번호가 90에서 100일때는 이 기구는 원심 치은축 변연에 사용되며, 이 번호가 85에서 75일 때는 근심측 변연의 변연사면 형성에 사용된다. 100번과 75번 짝은 inlay / onlay 와동 형성시 급경사의 치은축 변연사면을 형성할 때 사용되며, 90번과 85번 짝은 아말감 와동형성에서 약간의 경사를 요하는 치은축 법랑질 변연사면의 형성에 이용된다. 이 기구들은 다른 용도로서 2면 와동 형성시 치수축벽선각을 둥글게 하거나 변연사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5) Hoe(괭이 모양)
와동벽과 와동저를 끌어당기는 동작으로 평활하게 하는 데 사용한다.
6) Angle former
와동내의 외형과 유지형태를 위해 우각이나 첨각을 형성하는 데 사용한다.
7) 기타 기구들
칼(Knife), 파일(File), 조각도(Carver) 같은 것들이 있다. 이 기구들은 치질 절삭보다는 주로 수복물을 다듬기 위해 사용된다.
A. 칼(Knife)
B. 파일(File)
C. 아말감 조각도-클레오이드
*회전 전삭 기구가 큰 발전을 하면서 수동 절삭 기구는 현재 그 용도가 많이 감소되었다. 수동 절삭 기구는 회전 절삭 기구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연화 상아질의 제거, 유리 법랑질의 제거, 변연의 정리 및 마무리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동 절삭 기구는 대부분 탄소강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만든다
3) 수동 절삭기구의 관리및 멸균
간염 A, B 바이러스가 감염된 환자의 타액 속에 존재한다는 사실과 치과 종사자들 사이에 B형 간염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기구소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치과에서 멸균은 가압멸균법, 건열소독법, ethylene oxide, 가스 및 화학 증기소독법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끓임과 화학액(저온소독법)은 기구를 멸균할 수 없으며 단지 소독만 할 수 있다.
수동 절단 기구의 보관은 멸균된 랩으로 시술 시 필요한 기구 전체를 싸서 보관하거나 기구만 개별적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4)수동기구의 연마
①hoe scaler연마법
a.충분한 조명아래에서 절단날을 확인한다.
b.hoe를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고 stone에 손고정을 한다.
c.hoe를 stone에 45도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d.가볍게 힘을 주면서 toe와 연결되어 있는 beveled toe부위를 연마한다.
e.시험 막대로 확인한다.
②chisel scaler 연마법
a. 충분한 조명 아래에서 절단날을 확인한다.
b.chisel scaler를 변형연필잡기법으로 잡고 손고정을 한다.
c.scaler와 stone의 각도는 45도를 유지한다.
d.scaler를 2~3회 앞으로 밀면서 연마한다.
e.시험 막대로 확인한다.
③file scaler연마법
a.여러 개의 절단날이 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