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관치료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관치료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근관치료의 정의

근관치료의 적응증

근관치료에 쓰이는 기구

근관치료의 술식

근관치료의 재료

근관치료 후

숙제를 마치며

본문내용

근관치료의 정의
치아 속에는 치수라고 하는 조직이 있으며 이 치수는 신경과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치아에 영양분, 수분 등을 공급하고 감각을 느끼는 기능을 수행한다. 치수는 성장과 발생시에 매우 중요하며 일단 치아의 성장이 완전히 멈추게 되면 치수는 치아에 가해지는 유해한 자극에 반응하여 동통을 나타냄으로서 그와 같은 자극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치수가 충치의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유해한 자극(깊은 충치, 여러 차례 근관치료를 받은 경우, 금이 간 경우, 외상이나 치아가 깨진 경우)에 의해 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치수 내에 영양공급이 되지 않아 치수조직이 죽게 된다. 치수가 충치 등으로 인하여 감염되어 염증 상태에 빠진 것을 치수염으로 진행되고 치아뿌리 부분의 치근단골조직에도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시행하는 치료를 근관치료(신경치료)라고 한다. 즉, 근관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특수한 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근관을 소독하여 무균상태로 만든 다음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치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채워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치아뿌리 주변의 골조직의 염증까지도 치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인체의 신경을 직접 접촉하는 치료법이기 때문에 때로는 상당한 통증을 동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국소마취와 약제사용으로 큰 고통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때때로 치료 도중 통증이 사라지지만 치료를 게을리 하거나 치료를 중단하는 환자들이 있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며 혹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근관치료는 일단 시작하면 치과의사로부터 치료가 종결되었다는 말을 듣기 전에는 절대로 치료를 중단하여서는 안된다.
근관치료가 완료된 후에는 치아를 씌워주는 보철치료를 받아야 한다. 근관치료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치아의 상당부분을 삭제하고 치아를 영양분, 수분 등을 공급하는 치수를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치아는 상당히 약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태를 오랜시간 방치하면 치아에 금이 가거나 치아 과실 등을 초래하게 된다. 만일 이렇게 되면 치료는 더욱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므로 근관치료 후에는 반드시 보철치료를 받아야만 치아를 안전하게 오랜시간 보존할 수 있다.
근관치료의 적응증
1) 충치가 심할 때(치수까지 충치가 진행되었을 때)
2) 치아가 파절되었을 때(치수를 포함하여)
3)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치수에 염증이 생겼을 때
4) 간혹 보철치료를 위하여
근관치료에 쓰이는 기구
근관침(broach):
작은 낙시바늘 같은 가시가 자루에 쭉 붙어 있는 근관침은 치수덩어리를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근관확대나 성형하는데 사용하진 않는다. 일회용이다.
근관파일 : 날카로운 절단연이 있는 끝이 갈수록 가늘어 지는 기구이다. 이파일은 짧게 상하로 움직이거나 도리는 동작으로 근관내에서 움직인다. 이러한 동작으로 근관충전에 적합한 정도로 평탄하게 확대할 수 있다. K형파일은 나선형으로 꼬여있어 근관에서 초기의 최멸괴사조직을 제거하고 이후 근관의 성형과 확대를 하는데 쓰인 다. H파일은 절삭효율이 높도록 고안되었다.
러버 스탑 :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작은 원판으로 근관을 성형하는 동안 기구가 근첨을 뚫지 않도록 한다. 파일의 길이를 방사선 사진상에서 측정한 후 미리 결정된 작업장에 정확하게 맞춰서 스탑을 위치시킨다.
근관치료용 탐침 : 이중 말단부를 가진 긴 직선형의 기구이다. 작업 말단부는 손잡이와 각을 이루어

추천자료

  • 가격1,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2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