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 한국아동용주제통각검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T- 한국아동용주제통각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CAT의 이론적 배경
1. 한국 CAT의 제작동기
2. CAT의 이론
3. CAT 도판의 여러 가지 형태
4. CAT 타당도 및 신뢰도

Ⅱ. 한국판 CAT
1. 제작 과정
2. 검사도구

Ⅲ. 실시 방법
1. 검사자의 자격
2. 사전 준비
3. 검사 장소 및 검사 시간
4. 제시 방법
5. 검사 도중의 유의사항
6. 반응의 기록

Ⅳ. 분석 및 해석(Ⅰ)
1. 인적 사항의 기록
2.「임상용 기록 및 분석용지」의 기록
3.「연구용 분석지」의 기록

Ⅴ.분석 및 해석(Ⅱ)
1. 주인공의 욕구
2. 주인공에 대한 압력

Ⅵ. 분석 및 해석(Ⅲ)
1. 해석의 기본 원칙
2. 해석상의 문제

Ⅶ. 해석의 실례
1. 한국 아동의 사례
2. 검사 아동의 사례

Ⅷ. 검사의 장점 및 단점

Ⅸ. 결론

*별첨 <검사 아동 연구용 분석지:[도판 7]>

**별첨 <K-CAT 검사 전사>

본문내용

[도판 4] 어두운 방에 큰 이부자리가 깔려 있고 작은 토끼 한 마리가 잠자지 않고 혼자 앉아 있는 그림이다.
어두운 방에 토끼 혼자 앉아 있어서 무섭겠다고 하는, 어두움이나 혼자 있는 것에 대한 공포를 표현한다. 한편, 옆 이부자리 속에 누워있는 부모에 대한 관심을 여러 가지 표현으로 나타낼 경우에는 부모의 동침장면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로 성기기의 문제로서 외디푸스 콤플렉스를 상징하는 반응을 검증할 수 도 있다.
[도판 5] 동굴 속에는 흐릿한 모습의 큰 곰 2마리가 있고 동굴 앞쪽에는 야기 곰이 엎드려 있는 사진이다.
엄마, 아빠곰이 잠을 자고 아기곰은 혼자 앉아 있다고 말하게 되는데 도판 4의 경우와 같이 부모의 동침장면에 대한 태도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도판 4에서 하려다가 만 내용까지 투사될 수 있기 때문에 4, 5번 도판은 나란히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판 4에서의 삼각관계의 문제나 잠자리에서의 자위행위의 문제가 더욱 뚜렷히 나타나기도 한다.
[도판 6]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가진 호랑이가 원숭이에게 뛰어 덤비는 그림이다.
호랑이가 원숭이를 잡아 먹으려고 한다거나, 호랑이와 원숭이가 싸우려 한다는 표현에서 어린이의 공격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나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여 처리하는가를 나타내게 된다. 대부분 불안의 정도가 분명해 진다. 때로는 그 정도가 너무 커져서 도판의 그림을 보는 것까지 거부하게 된다.
또한 공격에 대한 방어가 잘 되어서 불안의 흔적은 전혀 나타내지도 않고 평화스러운 장면으로 바꾸어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원숭이가 호랑이를 이기는 적도 있는데, 이때는 원숭이를 공격에 대처하는 자신으로 동일시하는 증거로 보게 된다. 가끔 동물의 꼬리에 관심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거세에 대한 공포로 해석된다.
[도판 7] 두 마리의 원숭이들은 의자에 앉아 차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고 그 앞에 큰 원숭이가 새끼 원숭이에게 이야기하고 있는 그림이다.
어린이가 생각하는 가족 내에서의 자신의 역할이 나타나며, 새끼 원숭이에게 이야기하는 큰 원숭이를 아버지 또는 어머니 중 누구와 동일시하는가를 알아볼수 있다. 아버지 어머니 중 누가 지배적이며 누가 인자하고 자상한 모습으로 투사되는지 가려낼 수 있다. 큰 원숭이의 형상을 훈계하거나 행동을 제지하는 것으로 지각하는지, 아니면 친절히 설명해주거나 가르쳐 주는 것으로 지각하는지에 따라 중요한 차이가 있다. 가끔 차를 마시는 일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구강기의 특징과 연결지어 생각한다.
[도판 8] 화장실 안에서 강아지가 큰 개의 무릎 위에 얹혀 있는 그림이다.
잘못했기 때문에 엄마가 강아지를 때린다는 표현을 통해 어린이의 도덕 개념(죄와 벌에 대한 태도)을 알 수 있으며 자위와 대소변 훈련에 관한 문제를 발견하게 된다. 가끔 딴 그림에서보다 이 그림에서는 어린이의 퇴행 경향이 분명해진다.
[도판 9] 하마 한 마리가 과일가게 앞에 서 있고 다람쥐 두 마리는 과일을 하나씩 손에 쥐고 달아나는 그림이다.
두 마리의 다람쥐가 과일을 훔쳐서 달아나는 것으로 보아 도벽과 벌에 대한 도덕 개념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판 8의 도덕 개념은 가정 상황에서 자기 자신의 청결 문제와 관련시킨 것이라면 이 그림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도덕 개념으로 발전된 다른 면을 알아 볼 수 있다. 한편, 도판 8에서 이야기할 수 없었던 것이 이 도판에서 계속 표현되기도 한다. 가끔 야단치는 하마를, 사과를 다람쥐에게 나누어 주는 인자한 성인의 형상과 바꾸어 비각하여 권위에 대한 어린이의 생각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나타낸다.
[보충도판 1] 네 마리의 다람쥐가 미끄럼을 타고 있는데 한 마리는 막 타고 내려오고, 또 한 마리는 내려오려는 순간이며, 다른 두 마리는 계단을 올라오고 있는 그림이다(복장으로서 첫째와 셋째는 수컷이고 둘째와 넷째는 암컷으로 암시하고 있다.)
놀이 장면으로 지각하면서, 어린이가 신체적 활동이나 상해에 대한 두려움을 가졌거나 놀이활동(사회적 활동)에서 동성 친구간이나 이성 친구간의 문제를 나타낸다. 그 외에도 어린이가 이 장면을 즐거워하는 것인지 경재을 하는 것인지 친구를 밀거나 놀라게 하려는 것인지를 구별해서 지각하는 반응을 얻게 된다.
[보충도판 2] 원숭이 세 마리가 교실 안에 있는 그림이다. 원숭이 두 마리는 책상에 앉아 있고 가운데 원숭이는 책을 들고 서 있다. 맨 끝에 앉은 원숭이는 꼬리를 만지작거린다.
어린이가 가지고 있는 학교 상황의 문제(교사와 관계, 친구 또는 학습 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문제가 표현된다. 특히 그림에 나타나 있지 않은 다양한 교사상이 부각될 수 있으며 어린이가 자기 지식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망이나 자신의 무지에 대한 공포 또는 무대공포 등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특히 꼬리를 잡고 있는 원숭이에게 관심을 나타낼 경우에 자위행위를 표시한다.
[보충도판 3] 쥐들의 소꿉놀이 장면이다. 큰 안경을 낀 아빠 쥐에게 엄마 쥐가 차를 따라 주고 있으며 작은 유모차와 장난감이 주변에 흩어져 있는 그림이다.
어린이들이 성인에 대한 환상적인 욕망에나 그들이 원하는 성인의 역할이 무엇이며 몹시 싫어하는 일이 무엇인가를 알려준다. 특히 어린이가 성인과의 동일시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문제, 특히 부모의 역할과 관련된 것을(생활전기적이기 보다 환상적 측면에서) 부각시킨다. 이 도판은 환상적인 수준의 이야기가 나올 때까지 유도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보충도판 4] 큰 곰 한 마리가 두 마리의 애기 곰을 품에 안고 있는 그림이다.
젖빠는 애기 곰을통해 구강기적 욕구를 나타내며 애기곰에 대한 적대 감정과 퇴행 경향을 알게 된다. 한편 엄마의 태도에 대한 설명에서 어린이가 가진 독립성과 의존성간의 갈등을 증명하게 되며 일반적인 부모와의 관계를 찾게 된다. 또 두 마리의 애기곰을 형제간의 애정 획득의 경쟁자로도 본다.
[보충도판 5] 엄마 토끼가 애기 토끼를 유치원(학교) 문 앞에 데리고 와서 선생 토끼에게 인계하려 하고 있으며, 운동장에는 동물들이 수업하고 있는 그림이다.
이 도판에 대한 반응으로는 유치원(유아인 경우)의 경험을 시작하는 어린이의 문제를 찾게 된다. 즉 유치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9.05.2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