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내구성 저하원인 및 방지대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콘크리트 타설금지
② 양질 골재사용: 흡수력이 적고 투수성이 적은 골재
③ 혼화제 사용: AE제, 감수제, 포졸란 등
④ 밀실, 균질한 마무리 상태 확보
10) 온도변화방지
- pipe cooling, pre-colling
11) 건조수축방지
- 콘크리트 타설후 급격한 수분방지 습윤양생, 균열유발줄눈, 신축줄눈설치
12) 마모, 파손
- w/c 적은배합, 습윤양생으로 저항성 높인다.
13) 진동, 충격방지
-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기간동안 일체의 충격요소배제
14) 소성수축균열방지
- 타설초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습윤손실을 막는다.
15) 침하균열방지
- Slump를 최소화하고 재료분리방지를 해야함
16) 철근의 부식방지
- 흡수성이 낮은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늘린다.
- 철근은 코팅하여 사용하고 콘크리트는 혼화제를 사용하여 수밀성을 확보한다.
Ⅳ 결론
1)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에 따흔 유지보수 비용증가로 내구성 저하방지에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 합리적 유지보수 방법, 구조물 건전성 진단 및 기계기술 개발과 시공재료의 품질을 간단히 판정할 수 있고 합리적 검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됨.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6.1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