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액션러닝의 개념과 기본구조
I.액션러닝(Action Learning)의 개념
1. 액션러닝의 필요성 및 정의
2. 유사개념 및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비교
3. 액션러닝의 적용기준
II.액션러닝(Action Learning)의 기본 구조
1.개념적 구조(Conceptual Framework)
가. 과학적 접근방법(Scientific school of action learning)
나. 경험적 접근방법(Experiential school of action learning)
다. 비판성찰적 접근방법(Critical reflection school of action learning)
라. 암묵적 접근방법(Tacit school of action learning)
사. 각 접근방법 별 공통점 및 차이점
I.액션러닝(Action Learning)의 개념
1. 액션러닝의 필요성 및 정의
2. 유사개념 및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비교
3. 액션러닝의 적용기준
II.액션러닝(Action Learning)의 기본 구조
1.개념적 구조(Conceptual Framework)
가. 과학적 접근방법(Scientific school of action learning)
나. 경험적 접근방법(Experiential school of action learning)
다. 비판성찰적 접근방법(Critical reflection school of action learning)
라. 암묵적 접근방법(Tacit school of action learning)
사. 각 접근방법 별 공통점 및 차이점
본문내용
imulation), 또는 문제해결학습(problem-based learning)과 혼동되곤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액션러닝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Revans(1980)는 액션러닝과 관련이 없는 개념들을 설명함으로써 액션러닝을 정의하고자 시도하였다. 이후 Marquardt(1999)는 액션러닝의 본질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액션러닝이 아닌 개념들과의 구분을 시도하였으며, Rothwell(1999) 또한 액션러닝과 태스크포스, 기능횡단팀(cross functional team) 등 다른 접근방법과의 차이점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액션러닝과 기존 집합식 교육프로그램과의 비교 (봉현철외, 2001)
범주
액션러닝
집합식 교육
교육목표
현장문제의 해결, 참가자간 유대강화, 학습조직의 구축, 참가자들의 리더쉽 향상, 전문성강화 등 개인과 조직의 개발을 돕는 여러가지 교육목표를 추구
일방향의 특정한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추구함
교육목적
비즈니스이슈의 실제적 해결을 통한 학습
지식/태도/행동의 변화
교육기간
기간이 비교적 3-4주 이상에서 2년여에 이르기까지 길다.
대개의 경우 3-4일에서 일주일로 그 기간이 짧다.
교육대상
조직내의 핵심인력만을 대상
계층별/부문별 교육
참여주체
팀 구성원, set advisor,
CEO를 포함한 현업부서장
학습자, 교수자
교육방법
Set meeting을 통한 학습과정
집합식/면대면 교육
교육비용
Set meeting운영비용,
Set advisor 선임비용,
현업부서장 참여비용 등
프로그램운영비용 외의
비용이 추가로 든다.
프로그램 운영비용
교육운영절차
오리엔테이션,
액션러닝과 기존 집합식 교육프로그램과의 비교 (봉현철외, 2001)
범주
액션러닝
집합식 교육
교육목표
현장문제의 해결, 참가자간 유대강화, 학습조직의 구축, 참가자들의 리더쉽 향상, 전문성강화 등 개인과 조직의 개발을 돕는 여러가지 교육목표를 추구
일방향의 특정한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추구함
교육목적
비즈니스이슈의 실제적 해결을 통한 학습
지식/태도/행동의 변화
교육기간
기간이 비교적 3-4주 이상에서 2년여에 이르기까지 길다.
대개의 경우 3-4일에서 일주일로 그 기간이 짧다.
교육대상
조직내의 핵심인력만을 대상
계층별/부문별 교육
참여주체
팀 구성원, set advisor,
CEO를 포함한 현업부서장
학습자, 교수자
교육방법
Set meeting을 통한 학습과정
집합식/면대면 교육
교육비용
Set meeting운영비용,
Set advisor 선임비용,
현업부서장 참여비용 등
프로그램운영비용 외의
비용이 추가로 든다.
프로그램 운영비용
교육운영절차
오리엔테이션,
추천자료
데이터 베이스의 기본 개념과 시스템
국어의미론 연구-의미론의 기본 개념
[공무원]공무원의 개념과 근로자성, 공무원노동기본권보장의 필요성, 공무원노동기본권 관련 ...
e러닝(e-learning, 이러닝)의 개념과 발전과정, e러닝(e-learning, 이러닝)의 본질과 정체성,...
[사회적기본권]사회적 기본권(사회권) 개념을 설명하시오-사회권개념-
[교육권][교육권 구조][교육권과 교육기본권][교육권과 학생][외국 교육권 사례][교육권 관련...
[오수벨유의미학습이론]오수벨의 유의미학습이론-오수벨유의미학습이론 개념, 오수벨유의미학...
사회적 기본권(사회권) 개념을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실천과 임파워먼트모델(권한부여모델, 기본전제, 개념정의, 실천과정, 강점관점)
[보육학개론] 영유아 발달과 교육 - 발달이론이 보육에 주는 시사점 (성숙이론,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Freu...
[사회복지개론] 교정복지(矯正福祉)의 이해 - 교정 및 교정복지의 개념과 기본원리, 실천현장...
사회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살펴 보고 사회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알아보자
인지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주요개념, 인지적과정, 인지적현상, 인지발달단계, 사회복지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