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 KS F 2504 )
시험 목적
시험 기구
시 험 방 법
시 험 결 과
주 의 사 항
참 고 사 항
고 찰
( KS F 2504 )
시험 목적
시험 기구
시 험 방 법
시 험 결 과
주 의 사 항
참 고 사 항
고 찰
본문내용
= 0.02 (허용치)
⑧ 평 균 치
(2.56+2.58)/2=2.57
⑨ 시료의 건조 중량 (g)
490.31g
490.43g
⑩흡수량x100(%)
1.98%
1.95%
⑪ 허 용 차
1.98%-1.95% = 0.03%(허용치)
⑫ 평 균 치
(1.98+1.95)/2 =1.97
(7) 고찰
이 실험과정에 첫 과정은 표건 상태 시료를 만드는 것이 였다. 표건 상태를 만들기 위해 잔골재를 원추형 몰드에 넣을 때 표면을 다짐대의 무게만으로 25회 다지도록 해야 했다. 그리고 최초로 시험 했을때 원추가 흘러 내렸다. 이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의 한도를 넘어서 건조된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약간의 표면수를 넣어서 두 번째 실험을 하였으나 첫 번째 시험 보다는 쉽게 무너 지지 않았지만 우리가 원해는 상태 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두 번의 실험을 실패한 후 세 번째만에 우리가 원하는 표건 상태의 시료를 만들 수 있었다. 모래를 표건 상태로 만들기가 어려웠고 원추형 몰드에 3층 25회를 다지고 뽑았을 때 허물어지는 모양이 정확히 표면 건조 포화상태 인지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표건 시료를 완성하고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을때 물을 조금 채워 두고 모래를 넣어줘야 했고 모래가 플라스크 주둥이에 남지 않게 시료를 다 넣은 후 물을 조금씩 넣어주어 모래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야했다. 모래가 주둥이에 남아 있으면 시험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래를 다 주입하고 플라스크 안에의 기포를 빼주는 작업을 하였다. 플라스크를 기울여 돌려 가면서가 기포가 더 잘 빠지도록 하였고 하게 힘을 가해 돌리면 작업해주면 플라스크가
⑧ 평 균 치
(2.56+2.58)/2=2.57
⑨ 시료의 건조 중량 (g)
490.31g
490.43g
⑩흡수량x100(%)
1.98%
1.95%
⑪ 허 용 차
1.98%-1.95% = 0.03%(허용치)
⑫ 평 균 치
(1.98+1.95)/2 =1.97
(7) 고찰
이 실험과정에 첫 과정은 표건 상태 시료를 만드는 것이 였다. 표건 상태를 만들기 위해 잔골재를 원추형 몰드에 넣을 때 표면을 다짐대의 무게만으로 25회 다지도록 해야 했다. 그리고 최초로 시험 했을때 원추가 흘러 내렸다. 이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의 한도를 넘어서 건조된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약간의 표면수를 넣어서 두 번째 실험을 하였으나 첫 번째 시험 보다는 쉽게 무너 지지 않았지만 우리가 원해는 상태 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두 번의 실험을 실패한 후 세 번째만에 우리가 원하는 표건 상태의 시료를 만들 수 있었다. 모래를 표건 상태로 만들기가 어려웠고 원추형 몰드에 3층 25회를 다지고 뽑았을 때 허물어지는 모양이 정확히 표면 건조 포화상태 인지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표건 시료를 완성하고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을때 물을 조금 채워 두고 모래를 넣어줘야 했고 모래가 플라스크 주둥이에 남지 않게 시료를 다 넣은 후 물을 조금씩 넣어주어 모래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야했다. 모래가 주둥이에 남아 있으면 시험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래를 다 주입하고 플라스크 안에의 기포를 빼주는 작업을 하였다. 플라스크를 기울여 돌려 가면서가 기포가 더 잘 빠지도록 하였고 하게 힘을 가해 돌리면 작업해주면 플라스크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