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공여자및 수혜자의 평가
[ 공여자 ]
1. 수혜자 선정
2. 기초적 평가와 이식전 검사
3. 환자군에 따른 준비과정
4. 이식후 원인질환의 재발 위험성
5. 기타 준비과정
[공여자]
1. 생체 공여자
2. 사체 공여자
3. 뇌사자의 관리와 장기보존(organ preservation)
수혜자의 면역학적인 평가
Ⅰ. 사람 주조직적합 복합체
Ⅱ. HLA 검사방법
Ⅲ. 항-HLA항체 검사
Ⅳ. HLA교차시험
면역억제요법
[ 면역억제제의 작용기전 ]
[ 면역억제제의 실제 이용 ]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들 ]
[ 병용요법 ]
급성거부반응의 진단과 치료
[ 급성거부반응의 종류 ]
[ 급성거부반응의 치료 ]
신 이식후 합병증
I. 신이식후 감염질환
[ Cytomegalovirus 감염 ]
[ Herpes simplex virus (HSV) 감염 ]
[ Varicella- Zoster virus (VZV)감염 ]
[ 간염 ]
[ 진균감염 ]
II. 신 이식 후 발생하는 심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 고지혈증 ]
[ 고혈압 ]
[ 신동맥 협착 ]
III. 종양
Ⅳ. 신 이식후 발생하는 재발성 사구체 신염
Ⅴ. 대사성 합병증
[ 골과 대사성 합병증 ]
Ⅵ. 혈액학적 합병증
[ 빈혈 ]
[ 백혈구 감소증 ]
[ 혈소판 감소증 ]
[ 용혈성 요독 증후군 ]
[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신 이식 후 적혈구 증가증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 생존율에 대한 개요 ]
[ 신 제공자에 따른 이식신 및 환자의 생존율 ]
[ 국내에서의 신 이식 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 공여자 ]
1. 수혜자 선정
2. 기초적 평가와 이식전 검사
3. 환자군에 따른 준비과정
4. 이식후 원인질환의 재발 위험성
5. 기타 준비과정
[공여자]
1. 생체 공여자
2. 사체 공여자
3. 뇌사자의 관리와 장기보존(organ preservation)
수혜자의 면역학적인 평가
Ⅰ. 사람 주조직적합 복합체
Ⅱ. HLA 검사방법
Ⅲ. 항-HLA항체 검사
Ⅳ. HLA교차시험
면역억제요법
[ 면역억제제의 작용기전 ]
[ 면역억제제의 실제 이용 ]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들 ]
[ 병용요법 ]
급성거부반응의 진단과 치료
[ 급성거부반응의 종류 ]
[ 급성거부반응의 치료 ]
신 이식후 합병증
I. 신이식후 감염질환
[ Cytomegalovirus 감염 ]
[ Herpes simplex virus (HSV) 감염 ]
[ Varicella- Zoster virus (VZV)감염 ]
[ 간염 ]
[ 진균감염 ]
II. 신 이식 후 발생하는 심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 고지혈증 ]
[ 고혈압 ]
[ 신동맥 협착 ]
III. 종양
Ⅳ. 신 이식후 발생하는 재발성 사구체 신염
Ⅴ. 대사성 합병증
[ 골과 대사성 합병증 ]
Ⅵ. 혈액학적 합병증
[ 빈혈 ]
[ 백혈구 감소증 ]
[ 혈소판 감소증 ]
[ 용혈성 요독 증후군 ]
[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신 이식 후 적혈구 증가증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 생존율에 대한 개요 ]
[ 신 제공자에 따른 이식신 및 환자의 생존율 ]
[ 국내에서의 신 이식 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본문내용
나 신 이식 후 발생하는 HUS에서는 전형적인 증상이 분명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급성 혈관성 거부반응, 악성고혈압, CSA신독성 등에서도 유사한 소견들이 관찰되므로 이들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또한 급성거부반응에 의하여 HUS가 유발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HUS로 인하여 이식신의 생존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HUS의 예방에 유의하여야 한다.
HUS는 이식 후 13-41%에서 재발하므로 원발 HUS의 소견들이 충분히 사라질 때까지 이식을 연기한다. 재이식,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로 부터의 이식에서 HUS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므로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의 신장은 재이식에서 사용하지 않으며 처음 이식에서 HUS가 발생하였거나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로부터 신 이식에서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을 피한다.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같은 혈소판 억제제를 사용하고 경구피임약의 사용을 금한다.
HUS의 치료는 신속한 혈약추석, 혈압조절, 수혈 등의 보존적 치료와 사이클로스포린 투여 중지, 혈장교환, 복막투석을 사용한 type I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의 제거등이 시도되고 있다.
[ 면역성 용혈성 빈혈 ]
신장이 혈액형 O형 공여자로부터 O형이 아닌 수혜자로 이식되거나 AB형이 아닌 공여자로부터 AB형 수혜자로 이식되는 경우 (ABO minor miismatch)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에 의하여 용혈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이식신과 함께 신 수혜자에게 전달된 신 고여자의 림프구에서 생성된 항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일종의 이식편 대 숙주질환의 일종이다.
ABO- minor mismatch가 있는 신 이식의 약 17%에서 신 수혜자의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발생하나 약 9%의 환자에서만 용혈현상이 발생한다. 용혈현상이 발생한 경우 중 약 반은 O형 공여자에서 A형 수혜자에게 이식된 경우이며 약 20%는 O형 공여자에서 B형 수혜자에게 이식된 예이다.
용혈현상은 대개 이식 후 1-2주에서 발생하며 direct antiglobulin test에서 양성반응과 환자의 혈청이 환자의 혈액형과 동일한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현상을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임상경과는 용혈에 의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정도로 심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대개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수혈이 필요한 경우 공여자의 혈액형과 같은 혈액을 사용한다.
신 이식 후 면역성 용혈성 빈혈의 특징
대부분 O형 공여자에서 비O형 수혜자로 이식된 경우에서 발생
대부분 이식 후 1-2주에 발생
시간 경과 후 자연적 소실
수혈이 필요한 경우 공여자의 혈액형과 같은 혈액 사용
[ 신 이식 후 적혈구 증가증 ]
적혈구 용적율이 지속적으로 0.51이상 상승되는 적혈구 증가증은 여러 장기 이식 중 신 이식에서만 발생하며 환자의 10-15%에서 발생한다. polycythemia(PTE)는 대부분 이식 후 2년 이내에 발생하며 이식 신기능이 양호하고 원래 신장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다. 여자보다 남자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많다.
PTE의 발생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환자의 혈중 EPO치는 증가되거나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되어 있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PTE로 인한 혈액의 점도 증가로 혈전색전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실제 발생율은 그리 높지 않으며 두통, 안면홍조, 피로감 등이 주 증상이다. 약 20%의 환자에서 자연적인 호전이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양호한 신기능이 유지되는 한 적혈구 과다증이 지속되므로 치료를 필요로 한다. 정기적인 정맥절개는 환자에게 불편하며 목표 적혈구용적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잘 사용되지 않는다.
theophylline은 adenosine A2 receptor을 억제하여 EPO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고혈압의 악화, 불면증,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 빈도가 작다.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투여시 6주 이내에 헤마토크리트치의 감소가 관찰된다. 작은 용량에서 시작하여 효과가 없으면 용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최근 도입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도 동일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신 이식 후 발생하는 적혈구 증가증의 특징
10-15%환자에서 발생
대부분 신 이식후 2년 이내에 발생
여자보다 남자에서 빈발
이식 신기능이 우수한 환자에서 발생
고혈압이 있고 원래 신장을 지닌 환자에서 자주 발생
안지오텐신 변환효고 억제제나 수용체 길항제로 치료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 생존율에 대한 개요 ]
Azathioprine이 면역억제제로 처음 도입되었던 1960년대는 가족간 생체 이식신의 쟁존율은 75-90%로 뇌사자에 의한 이식신 생존율인 50-60%보다 현저히 높았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의 경우, 사체 이식신 생존율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1980년대 초에 cyclosporine이 임상에 도입된 이후 1년 이식신 생존율은 70%로 향상되었고 1990년도 중반에는 80-85%까지 증가하였다.
신 이식환자의 사망률은 이식 후 1년 이내에 가장 높고 이식 당시의 연령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6세부터 45세까지는 2%, 46세부터 60세까지는 7%, 60세 이후에는 10%이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사망률은 만성투석 환자 보다 낮으며, 나이, 당뇨유무, 심혈관계 합병증을 고려하더라도 만성투석 환자보다 낮다고 알려져 있다.
신 이식 후 이식신은 만성거부반응에 의하여 이식신의 혈관이 서서히 폐쇄되고 간질조직에 섬유화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만성거부반응은 이식신의 생존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삭을 요약하면 사체 신에 의한 이식신의 1년 생존율은 점차로 향상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생존율의 향상은 아직까지 뚜렷하지 않다. 향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 제공자에 따른 이식신 및 환자의 생존율 ]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은 1987년부터 1994년까지 US scientific registry를 참조로 정리하였다. 일란성 쌍생아가 신공여자인 경우 major 및 minor HLA항원이 일치하기
HUS로 인하여 이식신의 생존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HUS의 예방에 유의하여야 한다.
HUS는 이식 후 13-41%에서 재발하므로 원발 HUS의 소견들이 충분히 사라질 때까지 이식을 연기한다. 재이식,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로 부터의 이식에서 HUS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므로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의 신장은 재이식에서 사용하지 않으며 처음 이식에서 HUS가 발생하였거나 심박동이 정지된 사체로부터 신 이식에서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을 피한다.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같은 혈소판 억제제를 사용하고 경구피임약의 사용을 금한다.
HUS의 치료는 신속한 혈약추석, 혈압조절, 수혈 등의 보존적 치료와 사이클로스포린 투여 중지, 혈장교환, 복막투석을 사용한 type I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의 제거등이 시도되고 있다.
[ 면역성 용혈성 빈혈 ]
신장이 혈액형 O형 공여자로부터 O형이 아닌 수혜자로 이식되거나 AB형이 아닌 공여자로부터 AB형 수혜자로 이식되는 경우 (ABO minor miismatch)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에 의하여 용혈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이식신과 함께 신 수혜자에게 전달된 신 고여자의 림프구에서 생성된 항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일종의 이식편 대 숙주질환의 일종이다.
ABO- minor mismatch가 있는 신 이식의 약 17%에서 신 수혜자의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발생하나 약 9%의 환자에서만 용혈현상이 발생한다. 용혈현상이 발생한 경우 중 약 반은 O형 공여자에서 A형 수혜자에게 이식된 경우이며 약 20%는 O형 공여자에서 B형 수혜자에게 이식된 예이다.
용혈현상은 대개 이식 후 1-2주에서 발생하며 direct antiglobulin test에서 양성반응과 환자의 혈청이 환자의 혈액형과 동일한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현상을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임상경과는 용혈에 의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정도로 심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대개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수혈이 필요한 경우 공여자의 혈액형과 같은 혈액을 사용한다.
신 이식 후 면역성 용혈성 빈혈의 특징
대부분 O형 공여자에서 비O형 수혜자로 이식된 경우에서 발생
대부분 이식 후 1-2주에 발생
시간 경과 후 자연적 소실
수혈이 필요한 경우 공여자의 혈액형과 같은 혈액 사용
[ 신 이식 후 적혈구 증가증 ]
적혈구 용적율이 지속적으로 0.51이상 상승되는 적혈구 증가증은 여러 장기 이식 중 신 이식에서만 발생하며 환자의 10-15%에서 발생한다. polycythemia(PTE)는 대부분 이식 후 2년 이내에 발생하며 이식 신기능이 양호하고 원래 신장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다. 여자보다 남자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많다.
PTE의 발생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환자의 혈중 EPO치는 증가되거나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되어 있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PTE로 인한 혈액의 점도 증가로 혈전색전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실제 발생율은 그리 높지 않으며 두통, 안면홍조, 피로감 등이 주 증상이다. 약 20%의 환자에서 자연적인 호전이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양호한 신기능이 유지되는 한 적혈구 과다증이 지속되므로 치료를 필요로 한다. 정기적인 정맥절개는 환자에게 불편하며 목표 적혈구용적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잘 사용되지 않는다.
theophylline은 adenosine A2 receptor을 억제하여 EPO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고혈압의 악화, 불면증,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 빈도가 작다.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투여시 6주 이내에 헤마토크리트치의 감소가 관찰된다. 작은 용량에서 시작하여 효과가 없으면 용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최근 도입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도 동일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신 이식 후 발생하는 적혈구 증가증의 특징
10-15%환자에서 발생
대부분 신 이식후 2년 이내에 발생
여자보다 남자에서 빈발
이식 신기능이 우수한 환자에서 발생
고혈압이 있고 원래 신장을 지닌 환자에서 자주 발생
안지오텐신 변환효고 억제제나 수용체 길항제로 치료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의 생존율
[ 신 이식환자 및 이식신 생존율에 대한 개요 ]
Azathioprine이 면역억제제로 처음 도입되었던 1960년대는 가족간 생체 이식신의 쟁존율은 75-90%로 뇌사자에 의한 이식신 생존율인 50-60%보다 현저히 높았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의 경우, 사체 이식신 생존율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1980년대 초에 cyclosporine이 임상에 도입된 이후 1년 이식신 생존율은 70%로 향상되었고 1990년도 중반에는 80-85%까지 증가하였다.
신 이식환자의 사망률은 이식 후 1년 이내에 가장 높고 이식 당시의 연령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6세부터 45세까지는 2%, 46세부터 60세까지는 7%, 60세 이후에는 10%이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사망률은 만성투석 환자 보다 낮으며, 나이, 당뇨유무, 심혈관계 합병증을 고려하더라도 만성투석 환자보다 낮다고 알려져 있다.
신 이식 후 이식신은 만성거부반응에 의하여 이식신의 혈관이 서서히 폐쇄되고 간질조직에 섬유화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만성거부반응은 이식신의 생존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삭을 요약하면 사체 신에 의한 이식신의 1년 생존율은 점차로 향상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생존율의 향상은 아직까지 뚜렷하지 않다. 향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 제공자에 따른 이식신 및 환자의 생존율 ]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은 1987년부터 1994년까지 US scientific registry를 참조로 정리하였다. 일란성 쌍생아가 신공여자인 경우 major 및 minor HLA항원이 일치하기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형 초고속정보통신 기반구축의 정책방향
통신질서확립법 무엇이 문제인가
[사회과학] 한국전력 기업분석
[노키아 VS 삼성 ] 노키아와 삼성 애니콜 기업 분석 (노키아 한국시장 실패와 재진출에 관련...
2011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한국가정생활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연날리기 연혁, 유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연날리기 특성, 한...
[기업 기술][기업 기초기술][기업 원천기술][기업 과학기술][기업 CDMA 기술][대역확산통신방...
미국 교육정보화의 정부역할,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재양성,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터넷 교육자...
[사업자 선정기준][사업자][지상파방송]지상파방송사업자 선정기준, DMB사업자(디지털멀티미...
[2000년대][코스닥시장][한국사회][중소기업지원]2000년대의 코스닥시장, 2000년대의 한국사...
사이버공간(인터넷) 정의,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 역기능, 사이버공간(인터넷) 갈등과 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