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의 분류와 항생제사용의 원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균의 분류와 항생제사용의 원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균의 분류와 항생제사용의 원칙
세균의 분류
1) 형태학적 분류
구균 (coccus) : 구형 또는 반원형
간균 (bacillus) : 막대기 모양
2) 산소요구량에 따른 분류
호기성균 : 산소가 있는 곳에서만 번식하는 균 - 결핵균
혐기성균 : 산소가 없는 곳에서 잘 번식하는 균 - 클로스트리듐속균
3) Gram염색에 의한 분류 - 분별염색법
Gram 염색법으로 염색이 되는 균-Gram양성균,
염색이 되지 않는 균-Gram음성균
항생제
1.항생제란- 곰팡이나 세균들이 자신들의 생존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다른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려고 분비해 내는 것으로서, 다른 미생물의 생장, 번식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물질
2. 항균범위(spectrum) : 항생제가 작용할 수 있는 균의 범위
4. 작용기전의 분류
(1)세포벽 합성 장애-penicillin 제제, cephalosporin 제제
세균 세포벽의 구성성분과 이들 항생제의 일부구조가 비슷하여 세포벽 합성 효소에 기질 대신 결합함으로써 세포벽이 합성되지 못하게 하여 살균 작용
(2)세포질의 단백질 합성 억제-aminoglycoside제제, tetracycline제제, macrolide제제, chloramphenicol제제 단백질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ribosome에 작용하므로 단백합성은 중지되고 아울러 세균의 증식도 중지
(3)핵산 대사 장애 - rifampin, nalidixic acid, griseofulvin
DNA와 RNA에 작용하여 핵산 대사에 영향.
(4) 엽산 합성 장애
5. 선택기준에 따른 분류 - 1차(일반)항생제, 2차(유보)항생제, 3차(제한)항생제
6. 항생물질의 정균작용과 살균작용
(1)정균작용:살균작용 없이 세균의 번식억제(Tetracycline계,Chlorampenicol계, Macrolide계)
(2)살균작용:Penicillin계, Cefm계, Aminoglycoside계
7. 내성균
(1)획득내성:처음에는 항균효과가 있던 항생제가 효력을 잃게 될 때 그 세균이 얻은 내성
(2)자연내성:어떤 항생제가 어떤 세균에 대하여 처음부터 효과가 없을 때.
8. 항생물질의 복합사용
(1) 항생물질의 상호작용
제1군 : 페니실린, 바시트라신
제2군 : 스트렙토마이신, 후라디오마이신, 폴리믹신B, 콜리스틴 등
제3군 :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크로람페니콜
○ 용법 및 효과 : 제1군+제2군 = 상승작용 // 제1군+제3군 = 길항작용
제2군+제3군, 제1군+제1군, 제3군+제3군, 제2군+제2군 = 약간의 협동 작용
9. 항생제 사용시 주의
(1) 질병의 발생시 질병의 원인과 근원 파악 - 항생제의 사용이 판단될 시 다량 투여로
빨리 치료
(2) 감수성 시험
(3) 단일 제제 사용
(4) 최근 사용되어 온 항생제의 사용을 가급적 피할 것
16가지 황금률은 항균요법 전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지침이다.
이의 해설을 통해 항균요법 핵심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 항균제를 사용할 때는 가능하면 고용량을 사용해야 한다
1) 항균제 용량이 균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잇는 고농도가 아니면 균이 살아 남아서 내성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많은 사람들은 가능하면 항균제는 약한 것을 사용하려고 한다
저 용량을 사용해야만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고 잘못 알고 있다
3) 모든 항균제 약품 설명서에는 1회 투여량의 하한선과 상한선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1회 250mg-500mg의 경우는 가능하면 1회 500mg 을 투약하는 것이 효과도 빠르고 내성도 일으키지 않는다
2 장기 투약 원칙
항균제를 사용할 때는 가능하면 오랜 기간을 투약해야 한다
1) 균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한 채 투약을 중단하면 체내에 살아 남아 있게 되는 소수의 균이 다시 증식하여 내성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사람들은 항균제를 단기간 사용해야 내성이 안생긴다고 생각하지만 잘 못된 지식이다
3) 더구나 1일 2-3회용인 항균제 주사를 단 1회만 주사하는것은 매우 위험한 투약방법이다. 예컨데 호흡기감염의 주요균인 연쇄상구균에는 잘 듣지 않는 Aminoglycoside 주사를
단, 1회만 투여하는 경우는 내성을 조장하는 지름길이 된다
3 삼일 추가 원칙
항균제를 사용 할 때는 발열 등 제증상이 완전히 없어 저도 3일정도 는 더 지속해야 한다
1) 발열 등 제반 증상을 유발 하고있던 균은 체액 1cc당 균 1,000마리 이하가 되면 증상이 없어진다
2) 그러나 항균제를 중단해버리면 다시 증식하여 재발할 수가 있다.
더구나 다시 재발하는 균 중에서 내성균이 발생하기 쉽다
3) 특히 인후편도염을 치료하는 경우 증상 없어졌다하여 항균 요법을 중단함으로 인해
심장판막이 상하고 관절염이 생기고 신장염이 발생하고 있다
4 베타-락탐계 우선원칙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항균제는 베타-Lactam계를 선택한다.
1) Penicillin 계 (Amoxycillin등) 나 Cephalosporins 계 (Cefadroxyl, Cefaclor등)과 같은
베타-락탐계 항균제는 다음과 같은 베타-락탐 구조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다음과 같은 베타-락탐 구조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림] (1) 베타락탐은 살균력을 발휘하는 핵심 구조이다
(2) c===N 사이가 끊어지면 약효가 없어진다
(3) 이 이중 결합을 파괴시키는 효소를 베타-락탐 분해 효소라 한다
(4) 이러한 효소를 분비하는 균을 내성균이라한다
2) 이 베타락탐 구조 때문에 다른 항균제가 지니지 못하는 천혜의 두 가지 장점을 발휘한다
장점 1 :
(1) 세포벽이 없는 인간 세포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2) 세포벽을 지닌 세균 세포벽을 파괴시켜 살균하므로 인체에 무해한 가장 안전한 항균제
<인체에 무해한 가장 안전한 항균제이다>
Cell Wall(세포벽): 식물에만 존재하며 동물에는 없다
세균은 세포벽을 지닌 식물이다
Cell Membrane (세포막):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2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