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염색공에서 발생한 방광암
2. 유리규산에 노출된 근로자에게 발생한 만성신부전
2. 유리규산에 노출된 근로자에게 발생한 만성신부전
본문내용
원인인 어릴때 급성사구체신염을 앓았다는 과거병력은 없었다. 실리카 노출군에서 발생된 만성신부전은 주로 사구체경화증이 나타나 요단백이 초기증상으로 나타나며 급속진행성사구체신염의 소견을 보인다. 실리카에 의한 신부전은 용량반응관계를 보이며 노출 후 짧게는 3년부터 20년후에 나타나며 실리카 노출이 중단된 후에도 신기능 이상이 진행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추천자료
미숙아케이스스터디
직업병의 원인과 진단 예방대책
[아동간호] 폐렴(Pneumonia)아동 case study
[산업안전보건법]산업안전보건법의 기원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의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단백질 분해와 합성
[노동시장 통계][고용][임금][이동][근로시간][산재(산업재해)][파견근무]노동시장 고용 통계...
산업안전보건론
산재보험법 의의, 배경, 내용
의료사고와 의료분쟁
5대보험(정의,종류,역사,장점,단점)
한국의 요양보험
2017년 2학기 임상영양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결핵 - 걸핵이란, 진단 및 치료, 치료 경과 및 치료종료 판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