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과 운동처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고혈압이란

Ⅱ.본론
1. 고혈압의 원인
2. 고혈압의 증상
3. 고혈압의 운동처방

Ⅲ.결론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리운동을 5~10분씩 실시하며 특히 운동 후 말초저항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정리운동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실시 시간대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혈압 환자의 경우 오후 운동을 권장하며 특히 추운 겨울의 새벽운동은 피한다.
마. 고혈압의 운동처방/김은희 66.p
http://blog.naver.com/20010817?Redirect=Log&logNo=40020340376
http://blog.naver.com/home2027?Redirect=Log&logNo=100024229762
http://blog.naver.com/kimsjmaster?Redirect=Log&logNo=10004160647
운동의 종류
유산소 운동을 권장하며 걷기나 조깅과 같은 동적이며 전신적 운동은 수축기 및 확장기의 혈압을 떨어뜨린다. 반면에 무거운 기구를 이용하는 중량 운동은 정적, 등척성 운동이 되어 운동 중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상당히 상승하기 때문에 오히려 혈압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호흡을 정지한 상태에서 행하는 무산소성 운동 또는 등척성 운동은 삼간다. 고혈압의 정도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운동은 무엇보다도 강도조절이 용이한 걷기, 속보, 자전거타기, 조깅 등이 추천되며 강도조절이 어려운 종목의 운동, 특히 라켓스포츠는 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역도 들기, 세차/왁스칠 등의 운동이나 골프, 팔굽혀펴기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①유산소 운동
- 종류: 에어로빅, 빨리 걷기, 가벼운 달리기, 등산, 계단 오르기, 자전거 타기, 수영
- 반복횟수: 1주일에 3~4회 정도, 1회 30분에서 1시간가량, 약간 숨이 찰 정도로 하는 것 이 좋다.
②웨이트 트레이닝
많은 반복횟수를 가진 낮은 부하로 운동을 합니다.
③ 야외운동: 스트레칭 위주의 준비운동을 10~15분 시행 후, 40~60%에서 30분 이상 지속적인 방법으로 산보(60~70분/m), 속보(80~90분/m)를 시행한다.
④트레드밀 운동: 스트레칭 위주의 준비운동을 10~15분 시행 후, 경사각 0~5%에서 처음속도를 4.0km 에 맞춰 5분간 산보를 한다.
4.5km 에서 5분간 산보 그다음 5.0km에서 5분간 속보, 5.5km 에 맞추어 5분간 시행 후 5.5km~6.0km 정도에서 반복적 지속적인 방법으로 속보를 한다.
⑤생활 속 고혈압 예방 운동 : 3단계로 일어나기
ㄱ. 발목을 꼬고
ㄴ. 무릎을 굽혀
ㄷ. 천천히 일어난다.
바. http://blog.naver.com/home2027?Redirect=Log&logNo=100024229762
금기운동
①짧은 순간에 격렬하게 힘을 쓰거나 호흡을 정지한 상태에서 행하는 운동종목과 경쟁적인 운동은 피해야 한다.
②수영, 역기 들기, 팔굽혀펴기, 벽 밀기, 무거운 물건 들기, 고무줄 당기기, 실내골프, 다이빙, 승마 등의 운동은 피한다.
사. 주의사항
①혈압은 다리 운동 시보다 팔 운동 시에 고조되며 격렬하게 힘을 쓰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행하는 운동은 피한다.
②추운 날씨에는 보온에 유의하여 운동 시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하고 운동 중에 땀이 나면 추운 밖에서 몸을 식히지 말고 집안에 들어가 실온에서 식혀야 하며, 따뜻한 물로 가볍게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③겨울철 추운 새벽에 가파른 산을 뛰어 올라가 아령이나 역기를 하고, 냉수마찰을 하는 것은 극히 위험하고 무모한 행동이므로 금해야 한다.
④걷기 운동에 적합하지 않은 시간대는 오전 7~10시가 통계적으로 혈압이 올라가고 심장의 부담이 늘어난다.
⑤알코올은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을 증가시켜 갑작스런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적게 마시고 흡연을 하면 심장순환계에 대한 위험이 3배 증가되고 혈압이 갑자기 상승할 수 있으므로 금연한다.
⑥고혈압 환자는 운동 시 정확한 혈압을 알기 위해서 운동 중에 측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다른 방법으로는 정확한 수치를 구할 수 없다.
⑦고혈압 환자의 운동에 대한 충고는 체중 감소와 스트레스를 피하는 등에 대한 조언을 강조한다.
⑧운동을 한꺼번에 몰아서 하는 것은 해로우며 평상시 활동량을 늘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⑨조용히 지내며 정신적으로 안정하는 것만으로 혈압은 조절되지 않는다. 적극적인 걷기운동이필요하다.
맺음말
고혈압의 예방 및 운동으로 치료가 가능한 고혈압 환자에게 추천된 유산소성 운동과 더불어 적정체중의 유지, 과다한 식염섭취 제한, 알콜 섭취의 억제, 금연, 스트레스 해소 등의 일상생활 습관을 같이 고쳐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혈압이 정상화 될 수 있다면, 비용도 많이 들고, 평생 약물을 복용해야하며,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위험성이 있는 약물 요법을 훨씬 능가하는 강압요법의 주류로써 운동이 자리 잡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처치 프로그램/김은희 외 39~40.p
고혈압의 운동처방/김은희 66.p
고혈압의 운동처방/김은희 66~67.p
http://100.naver.com/100.nhn?docid=14955
http://blog.naver.com/20010817?Redirect=Log&logNo=40020340376
http://blog.naver.com/healthq?Redirect=Log&logNo=50004687684
http://blog.naver.com/home2027?Redirect=Log&logNo=100024229762
http://blog.naver.com/kimsjmaster?Redirect=Log&logNo=10004160647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12&eid=1LpS4tdT8jjOhpTAU0vDQQCjY6P2PW60
http://www.healthsarang.co.kr/hypertension-10.html
HYPERTENSION 고혈압백과/이학중 외 17.p
HYPERTENSION 고혈압백과/이학중 외 23~28.p
HYPERTENSION 고혈압백과/이학중 외 28.p
HYPERTENSION 고혈압백과/이학중 외 30~36.p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7.3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