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
2. 미드 사상에 영향을 준 네 가지 지적 관점
3. 저서
4. 『Mind, Self and Society』 -4장으로 구성
5. 미드 사상의 평가
6. 미드 사상의 사회학적 의의:
7. 결론

본문내용

파브로프는 실험을 통해 조건반응원리, 소멸원리, 반응일반화원리 그리고 반응차별의 원리를 밝혀냈고 그의 통찰력은 행태주의의 창시자인 Edward Lee Thorndike 와 John B. Watson의 지도로 미국에서 결실을 맺게 되었다.
왓슨은 행태주의로서 확실하게 알려지는 사상의 탁월한 주창자가 되었다. 왓슨에 따르면 심리학은 자극-반응관계에 관한 연구이며, 인정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는 겉으로 들어난 행동 뿐이다. 따라서 심리학자는 인간 의식의 ‘비밀상자’에서 벗어나야만 하며, 관찰할 수 있는 자극에서 생기는 관찰 가능한 행동만 연구해야 한다.
⇒미드는 이러한 주장을 거부하고 사고와 같은 활동이 단지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 없기 때문에 행동이 아니라고 간주될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미드가 주장하려는 바에 따르면 내면적 사고와 어떤 상황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능력 또한 행동이며, 외현적 행동과 같이 동일한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미드는 극단적인 행태주의는 거부했지만 그것의 일반 원칙은 수용했다. 즉 행동은 그것으로 인해 연상되는 만족의 결과로서 학습되고, 인간의 만족은 전형적으로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을 수반한다고 보았다.
※ 왓슨의 행태주의와 달리 미드는 소위 사회적 행태주의를 주장하였다.
(5) 결론
: 미드는 수많은 지적 관점들, 특히 공리주의, 다원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행태주의로부터 광범위한 가정들을 빌려왔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들 각각의 포괄적 사상들은 미드의 이론체계의 일부분이 되었으나 미드가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3. 저서
현재의 철학 (1932), 마음, 자기 그리고 사회(1934), 19세전반의 움직임들(1936), 행위의 철학(1938)
4. 『Mind, Self and Society』 -4장으로 구성
(1) 사회적 행동주의라는 시각의 요점
①병행주의 제창.(→정신현상과 물질현상은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상 나란히 간다.)
②인간의 모든 행동을 객관적 관찰 측정이 가능한 자극과 반응(S-R)이라는 틀로만 설명하려한 왓슨의 행동주의를 비판함. →사회심리학이 관찰할 수 있는 활동으로부터 출발해야한다는 왓슨의 주장은 인정하지만 마음이나 태도를 무시한 것은 오류라 지적, 마음이나 태도는 활동의 내적측면 즉, 행동의 내적 경험이기 때문에 행동주의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고 주장.
③미드는 태도를 ‘행위의 시초’라 하여 행위의 두 국면을 연결하는 중심적인 가교로 제시하였다.
④태도(시초적 행위)들은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고 주장. →이는 태도의 개념에 몸짓이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멱살을 잡는 몸짓은 공격하고자 하는 태도를 시각적으로 구체화 한 것이다.)
⑤몸짓은 행위의 시초인 태도를 표현한 것이면서, 상호작용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하나의 자극으로 기능한다.
⑥이렇게 일련의 자극과 반응으로 구성되는 몸짓들의 대화로부터 적합한 상징이 생겨나고 ‘의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게 된다.
⑦즉, 몸짓은 사회적 행위의 시작이다.
※몸짓은 미드 분석의 출발점인 사회적 행위의 논의를 지지하는 핵심 개념이다.
※미드가 제시한 사회적 행위란?
“그 어떤 부분도 그 자체로 고려되거나 이해되지 않는 하나의 역동적인 전체로서 그 안에 포함된 각 개인의 자극과 반응이 암시하는 복합적인 유기적 과정이다.”
(2) 마음
①미드의 정의: 마음은 상상 속에서 자기 행동의 의미와 결과를 조망해 보고 알맞은 행위양식을 선택해 놓은 뒤, 자아를 그렇게 하도록 지시하는 능력이다.
②아기의 유의미한 상징을 사용하게 될 때까지의 발달 과정, 동물의 몸짓에서 인간의 언어로 진화하는 과정이라는 두 측면에서 몸짓의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함으로써 마음의 발생과정을 추적함.
③하나의 몸짓은 앞으로 일어날 행위의 특정한 행로를 제안하는 하나의 요약된 행위로서 하나의 기호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④그러나 몸짓의 대화는 아직 상대의 자극에 대한 즉각적 반응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때의 몸짓은 전혀 의미가 없다.
⑤몸짓은 그것이 상대방에게 일으키는 것과 똑같은 것을 그 몸짓을 하는 행위자에게도 일으킬 때에만 유의미한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⑥상징적 몸짓은 ‘타자의 태도 취하기’ 를 통해 형성된다.→몸짓하는 사람은 몸짓하기 전에 미리 자신의 몸짓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타자의 행위의 시초를 취해본다. 이때 몸짓하는 사람의 내적 세계 안에서는 자신의 몸짓과 아직 일어나지 않은 타자의 몸짓사이의 ‘대화’가 일어나게 된다.
※유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8.05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