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개혁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개혁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1. 교회개혁의 이해
2. 교회개혁의 의의
3.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제 2장 루터와 독일에서의 개혁운동
1. 개혁자 마르틴 루터
2. 면죄부 논쟁
3. 루터의 파문과 계속적인 논쟁
4. 교회개혁과 농민전쟁
5. 성만찬 논쟁

제 3장 쯔빙글리와 취리히에서의 개혁운동
1. 교회개혁을 위한 공개토론
2. 쯔빙글리의 성만찬과 성만찬논쟁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 칼빈의 회심과 개혁사상
2. 칼빈의 저술과 개혁사상
3. 개혁의 도시 제네바
4.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5. 스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
6. 제2차 제네바 개혁기
7. 칼빈의 후기활동

제 5장 영국에서의 개혁운동
1. 헨리8세의 이혼 문제로 시작된 개혁
2. 헨리 치하의 영국의 로마 카톨릭교회
3. 에드워드 6세의 치하의 개혁
4. 메리 튜더 치하의 로마교 회복운동
5. 엘리자베스 치하의 영국교회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1. 개혁자 존 낙스
2.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1. 프란소와 치하의 박해
2. 앙리 2세 치하의 개혁운동
3. 성 바돌로매 날의 대학살
4. 낭트칙령

제 8장 재세례파 운동
1. 제세례파의 기원과 역사
2. 재세례파의 교의와 사상

본문내용

적 개혁이 시작되었다. 이제 신자들에게 떡만이 아니라 잔이 허락되었고, 기부금을 낸 사람들을 위한 사적 미사가 폐지되었고 성직자의 결혼이 인정되었다. 이 시기의 또 하나의 커다란 개혁은 예배의 개혁이었다. 성찬조례가 발표되어 라틴어로 진행되던 미사에 영어적 요소가 삽입되었고 교회당 내부에 있던 성상들의 철거가 요구되었으며 크랜머가 중심이 되어 작성된 ‘공동 기도서’가 의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 기도서는 영어로 작성되어 영국인들은 처음으로 자기들의 말로 된 예배의식을 갖게 되었다는 점이 큰 변화였다.
4. 메리 튜더 치하의 로마교 회복운동
메리는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케더린 사이에 난 여자로서 열렬한 카톨릭고도였고 평생동안 이 신앙을 수호하였다. 이것은 그의 개인적 확신이자 정치적 요구이기도 했다. 영국에서의 개혁의 시작, 곧 헨리 8세가 수장령을 발표하고 케더린과의 결혼을 무효화시킨 것은 메리의 왕위 계승권자로서의 지위를 박탈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를 사생아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자신의 와위계승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수장령을 발표하기 이전의 상태, 곧 카톨릭에로의 회복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왕위계승권 자체가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메리는 그의 통치를 통해 철저하게 카톨릭에로의 복귀운동을 전개하였고 이 운동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잔인할 정도로 탄압, 처형시켰다. 메리는 영어 예배를 중지시키고 라틴어 미사를 부활시키며 결혼한 성직자를 추방하는 일로 로마에로의 복귀를 시작하였다.
5. 엘리자베스 치하의 영국교회
메리가 사망하자 그녀의 이복 동생이었던 엘리자베스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 때 그녀는 25세의 처녀였다. 엘리자베스는 이때로부터 1603년까지 45년간 재임하였다. 엘리자베스의 즉위는 영국 국민들로부터 거국적인 환영을 받았다. 이때는 스페인의 전제정치를 경험한 후였으므로 외국과의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여왕을 맞이한다는 것은 일종의 구원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메리가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 카톨릭교도였듯이 엘리자베스는 이와 비슷한 이유로 프로테스탄트일 수밖에 없었다. 엘리자베스가 즉위하자 메리 치하에서 영국을 떠났던 많은 종교적 망명객들이 귀국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은 대륙의 개혁사상, 특히 칼빈주의의 사상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엘리자베스의 종교정책, 곧 그녀의 영국교회 신앙 확립을 위한 노력을 1559년 구체화되었다. 그해 4월, 의회는 로마 교황의 재판권을 배격하고 영국왕 엘리자베스의 수장을 인정하는 수장령을 재확인하고 메리 치하에서 제정된 법령들을 철폐하였다. 이것은 영국교회를 교황의 치하에 두도록 하였던 메리의 종교정책, 곧 카톨릭에로의 복귀를 철폐하고 영국 국교회 제도를 공고히 하려는 시도였다.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은 후일 장로교로 발전하였고 그 개혁운동이 세계 장로교회의 원류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널리 알려진 바이지만 스코틀랜드 개혁운동, 곧 장로교 신앙운동은 후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지로 전파되어 그곳에 장로교회가 세워졌고 또 미국, 호주, 캐나다 장로교회는 1880년대 이후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써 한국에 장로교회가 설립되었다. 이런 점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는 한국 장로교회의 원류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코틀랜드 교회개혁사는 한국의 장로교인들에게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1. 개혁자 존 낙스
해밀톤의 순교에서부터 종교개혁이 성취되기까지 30여 년 간 약 20여명의 프로테스탄트들이 순교자의 길을 갔는데 이들 가운데 훗날 낙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죠지 위샤트였다. 그는 낙스를 회심시켜 스리스도의 사람이 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로 하여금 스코틀랜드 전체를 그리스도에게 바치게 했던 사람이다.
1540년대 스코틀랜드는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전파와 더불어 정치적으로는 친영파와 친불파가 대립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런 시기에 죠지 위샤트가 등장하였고 낙스가 1545년 경 그를 만났던 것은 그의 생애에 전환점이 된 것이다.
낙스는 1556년~1559년 1월 제네바를 떠나 조국 스코틀랜드로 돌아가기까지 2년 6개월동안 목회자로 일했는데 이 기간은 낙스에게 중요한 기간이었다. 그는 칼빈과의 교제를 통해 그의 개혁사상을 터득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사, 장로, 집사를 세우고 장로정치를 실현하였다. 낙스는 칼빈을 ‘하나님의 유일하신 도구’라고 불렀는데, 그에게서 예배와 신학, 예전과 행정 그리고 개혁정신을 배웠다. 스코틀랜드로 귀국한 낙스는 종교개혁추진 동맹을 관장하고 동시에 에딘버러시의 목사가 되었다. 이제 그의 개혁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2.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존 낙스는 열정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독려, 격려하였고 개혁운동을 위해 진력하였다. 그의 재능과 목소리, 용모, 그리고 그의 강직한 성품과 신앙적 인경은 그의 설교를 능력있게 만들어 주었고 로마 카톨릭에 대한 그의 효과적인 공격은 청중들을 압도하였다. 교회가 진정으로 개혁교회로 불려질 수 있기 위해서는 로마 천주교적 예배와 의식을 폐지하는 동시에 개혁교회를 조직화하고 개신교적 예배와 생활, 의식과 고백을 정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의 채택
1560년 8월, 스코틀랜드 의회는 공식적으로 라틴어 미사를 금하고, 감독제를 거부하였으며 가톨릭교회의 모든 집회를 불법화하고 프랑스와의 단절을 선언하였다. 그리고 여섯 명의 존으로 구성된 신앙고백 준비위원회가 4일 만에 작성한 신앙고백서를 8월 17일 채택하였는데, 이것이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이다. 이 신앙고백서는 1647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채택되기 전까지 스코틀랜드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가 되었다.
장로교총회의 조직과 제 1치리서의 작성
1561년 12월에 낙스는 5명의 목사와 36명의 장로들과 함께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총회를 조직하였는데 이것은 세계장로교회의 연원이 되었다. 이때 스코틀랜드 교회는 교회정치제도로 장로제도를 채택하였고 교회 직원은 목사, 장로, 집사로 구성하였다.
일반예식서의 작성
1564년에는 일반예식서가 작성되었다. 낙스가 초안한 이 예식서는 1645년 예배지침서가 발간될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8.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