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농성관절염 간호과정(정형외과 실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농성관절염 간호과정(정형외과 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 있음.
- ICE Bag을 수술 부위 쪽에 대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우선순위
간호과정
내 용
확인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문진-주호소>
“다리 수술 때문에 몸을 뒤척일 수가 없어.. ”
“혼자서 옆으로 돌아눕지 못하겠어..”
“오른다리가 아파서 혼자서 용변을 볼 수 없어.... ”
객관적 자료
<기록자료>
[ADL상태]
식사 : 혼자할수 있음
목욕 : 사람에 의존
옷입기 : 사람에 의존
몸차림 : 사람에 의존
배설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운동상태]
침상활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이동차 이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의자/화장실 이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조기이상 : 사람에 의존
R.O.M : 장치와 사람에 의존
ADL/활동제한의 필요성이 있음
- 61세 여자
- 진단명 : pyogenic arthritis
- 수술명 : Arthro-excision of joint
vital sign
T:37.0
P:78회/분
R:18회/분
B.P:170/90 mmHg
<시진>
오른쪽 다리 수술로 인해 몸을 뒤척일 수 없어서 옆으로 잠을 못 자며, 앙와위로만 누워있어야 함.
간호진단
수술부위 부동으로 인한 침상 체위이동장애
간호계획
(우선순위)
목표
장기목표:
- 사회, 물리, 직업 활동에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단기목표:
- 근력과 관절 ROM을 유지, 증진한다.
- 침상에 있는 동안 수술부위의 안정을 유지한다.
- 피부손상, 구축, 정맥울혈, 우울, 비효율적 건강유지, 낙상 등의 합병증을 보이지 않는다.
- 가능한 한 최상의 침상 움직임 수준을 달성한다.
기대되는 결과
- 근력과 관절 ROM이 유지, 증진된다.
- 침상에 있는 동안 수술부위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최 상의 침상 움직임 수준을 달성하게 된다.
간호수행 (중재)
(우선순위)
<관찰>
ⓛ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한다.<9월 1일>
->정형외과 전문간호사 선생님께서 드레싱을 하면서 대상자의 피부 를 사정하는 것을 보았다. 부동으로 인해 수술부위 피부가 눌려 있기 때문에 매일 드레싱을 하며 피부를 사정하는 것을 관찰하 였다.
<수행>
② 대상자의 침상체위 이동 범위를 사정함.<9월 2일>
->대상자가 침상에서 얼마나 활동할 수 있는지 사정하였는데, 상지 쪽은 문제없이 움직일 수 있었지만, 오른쪽다리부분은 수술로 인해 움직일 수 없어서 옆으로 눕지 못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 고 계셨음.
③ 수술로 인한 이동장애가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정함.
<9월 2일>
->오른쪽 다리가 불편해서 혼자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용변보는것 과 씻는 것, 양치질 하는 것 등 개인위생활동을 하는데 누군가 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사정함.
④ 휠체어 밀어드림. <9월 3일>
->혼자서 개인위생활동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용변 보러 갈 때 휠 체어를 태워 드리고, 씻으러 화장실 가실 때도 휠체어 태워 드림.
<교육>
① 가능한 한 최상의 침상 움직임 수준을 달성하는 것이 좋다는 것에 대해 교육함<9월 3일>
->한쪽 다리가 불편하다고 해서 가만히 누워있는 것 보다는 다른 쪽 다리를 움직이고, 활동을 하는 것이 질병쾌유에 도움이 된다 는 것에 대해 설명함.
② 침상훈련에 대해 교육함.
앉은 자세에서 침대 가장자리에 걸터앉기
훈련목적은 하지를 옮길 때 앉은 자세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며, 의자차로 옮길 때, 자동차로 옮길 때에 가장 필수적인 훈련입 니다. 훈련방법은 침상에서 무릎을 펴고 앉은 자세에서 침대 가장 자리 쪽으로 몸통을 돌리면서, 오른 쪽 다리를 옮기고, 왼족 다리 를 옮긴 후에 침대 가장자리에 걸터앉습니다.
간호평가
①침상에 있는 동안 안정을 유지하게 된다.<9월5일>
->침상에 있을 때 수술부위의 안정을 유지함.
②가능한 한 최상의 침상 움직임수준을 달성하게 된다.<9월 5일>
->가능한 최상의 침상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이 대상자의 질병 회 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아 목표가 달성 되었음.
우선순위
간호과정
내 용
확인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없음
객관적 자료
<기록자료>
[ADL상태]
식사 : 혼자할수 있음
목욕 : 사람에 의존
옷입기 : 사람에 의존
몸차림 : 사람에 의존
배설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운동상태]
침상활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이동차 이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의자/화장실 이동 : 장치와 사람에 의존
조기이상 : 사람에 의존
R.O.M : 장치와 사람에 의존
ADL/활동제한의 필요성이 있음
- 61세 여자
- 진단명 : pyogenic arthritis
- 수술명 : Arthro-excision of joint
vital sign
T:37.0
P:78회/분
R:18회/분
B.P:170/90 mmHg
간호진단
운동 장애로 인한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
(우선순위)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지각운동능력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최대의 일상 활동 을 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위험요인을 파악한다.
- 대상자는 안전대책을 파악하고 적용한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 대상자는 안전대책을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다.
간호수행 (중재)
(우선순위)
<관찰>
ⓛ 대상자의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 환경을 사정한다.
<9월 1일>
-> 주변에 침대의 사이드 레일이 잘 작동하는지와 대상자가 다니는 동선을 살펴보며 미끄럽지는 않은지 관찰했다.
<수행>
②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9월 2일>
-> 물건을 찾을 때 몸을 움직여 낙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각 물 건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드리고 깨질 수 있는 물건은 대상자와 먼 거리에 둠.
③ 운동장애가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정한다. <9월 2일>
->침상 배변시와 휠체어 이동시 대상자가 고통스러워하고 몸동작이 불안정해 지지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함을 사정함.
<교육>
① 가능한 한 혼자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함<9월 3일>
->배변시와 휠체어로 이동시 침대 사이드 레일을 위로 올려 한손으 로 지지하고 일을 보는게 훨씬 수월하고 안전하다는 걸 설명함.
간호평가
① 움직일 때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9월5일>
->침상에 있을 때 필요한 것을 찾으려 몸을 뒤척이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8.1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