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현 외과&성형외과병동 간호매뉴얼(메뉴얼)입니다 [간호학,간호사,매뉴얼,외과,서울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대병원 현 외과&성형외과병동 간호매뉴얼(메뉴얼)입니다 [간호학,간호사,매뉴얼,외과,서울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안면골의 해부구조>

* 안면골의 종류
* 안면골의 특징


<상하지, 손발 해부구조>

(1) 상지대골
(2) 자유상지골
(3) 손(Hand)

(1) 하지의 골격
(2) 골반(Pelvis)
(3) 관골(Hip bone)
(4) 자유하지골


<피부 조직의 구조 및 생리>


<소화기계 해부구조와 생리 >


위장관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1) 위암과 수술 전․후 간호
2) 소화궤양(Peptic ulcer)과 수술 전․후 간호


대장, 직장의 수술 전․후 간호

1. 대장암, 직장암 수술 전․후 간호
2. 기타 흔한 질환의 수술 전․후 간호


간․담도․췌장계 수술 전․후 간호

1.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과 수술 전․후 간호
2. 담도계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3. 췌장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갑상선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유방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혈관계 질환과 수술 전/후 간호

1.동맥 경화증 (ASO: Atheriosclersis obliterans)
2.하지 정맥류(Varicose vein)의 수술 전․후 간호


L-tube (levin tube)

<밀러 아보트 튜브(Miller-Abbott Tube, M-A tube) >

<Sump tube>

<Penrose drain> - 개방형배액관

<T-tube> - 개방형배액관

<hemo vac> - 폐쇄형배액관

<J-P drain(jackson-pratt drain)> - 폐쇄형배액관

<chest tube>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경관적간담관배액법>


<혈액 제제의 종류>

혈액 제제의 종류
[ 수혈환자 간호 ]

수술 전 기본 검사의 종류와 판독법

<약물농도측정(AMK, AMP level)>

<Tumor marker>

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


<myocardial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MIBI scan)
심근관류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술

본문내용

등의 형태를 결정
-총 14개의 뼈로 구성
-기본 1쌍의 뼈로 구성
-보습뼈와 아래턱뼈만 1개의 뼈로 구성
[머리뼈(Skull)]
① 위턱뼈 (Maxilla, Maxillary bone)
- 움직이지 않는 얼굴뼈 중 가장 큰 뼈로 얼굴뼈들은 모두 위턱뼈와 관절을 이룸
- 위턱뼈몸통 속에는 공기로 채워진 공간을 위턱뼈굴이라 함
- 총 4개의 돌기로 구성
② 광대뼈(Zygomatic bone)
- 위턱뼈의 광대돌기 옆에 위치하며 뺨의 융기부를 이루고, 눈확의 하외측벽을 형성
- 이마뼈, 나비뼈, 관자뼈인 3개의 머리뼈와, 위턱뼈와 관절을 이룸
- 얼굴부의 중요한 지표
③ 코뼈(Nasal Bone)와 눈물뼈(Lacrimal bone)
- 코뼈와 이마뼈가 만나는 점을 코뿌리점이라함
- 이마뼈의 아래쪽, 위턱뼈의 상내측에 위치
- 각각 2개의 머리뼈와 얼굴뼈와 관절을 이룸
- 손톱크기의 작고 약한뼈로 눈확의 내측벽 앞쪽 부위에 위치
- 눈물뼈는 눈물을 배출시키는 관과 인접
④ 아래코선반 (Inferior nasal concha)
- 코안 안쪽에 날개처럼 휘어진 형태의 뼈로 존재
- 위코선반, 중간코선반, 아래코 선반 3쌍의 코선반이 존재
- 코안을 여러구획으로 나누며 흡입시의 공기 온도를 높여 주고 먼지제거 역할
⑤ 입천장뼈 (Palatine bone)
- L자 모형의로 머리뼈 내부에 있어 외관상 관찰이 안됨
- 나비뼈의 날개돌기와 위턱뼈사이에 위치
- 2개의 머리뼈(나비뼈, 벌집뼈), 4개의 얼굴뼈(위턱뼈, 아래코선반, 보습뼈, 입천장뼈)와 관절을 이룸
⑥코중격뼈부분 (Bony nasal septum)
- 벌집뼈와 보습뼈로 구성
- 코중격의 앞부분은 연골로 되어있으며 코중격연골이라 함
⑦보습뼈 (Vomer)
- 얇은 삼각형의 뼈로 코중격의 뒷쪽아래부분을 형성
- 2개의 머리뼈(나비뼈, 벌집뼈) 및 4개의 머리뼈(좌우 입천장뼈,위턱뼈)와 관절
⑧ 아래턱뼈 (Mandible)
- 얼굴을 이루는 뼈중 가장 크며 유일한 관절 운동을 하는 뼈로 생후 1개월에 한 개로 합쳐짐
- 턱뼈몸통 양쪽에 턱끝구멍으로 신경과 혈관이 지나감
⑨ 턱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 턱관절은 활막성 관절이며, 움직관절에 속함
- 관절주머니 속은 윤활막으로 덮여 있고 관절 원반에 의해 둘로 나누어져 이 같은 구조로 평면관절과 경첩관절의 구조를 띔
- 머리뼈에는 봉합과 위턱뼈,아래턱뼈와 치아뿌리에 2군데 섬유성관절이 있다.
⑩ 눈확(Orbit)
- 위쪽으로 30도 내측으로 37도 기울어져 있으며 촬영시 중요한 의미
- 뼈로 싸인 원뿔 모양의 구조이며 눈확의 가장자리인 눈확어귀는 각형에 가까운 모양
- 눈확은 이마뼈, 광대뼈, 위턱뼈, 나비뼈, 입천장뼈, 벌집뼈, 눈물뼈의 7개로 구성
<상하지, 손발 해부구조>
(1) 상지대골
상지뼈는 모두 6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지대골(shoulder girdle)과 자유상지골
(free upper limb)로 나눌 수 있다. 상지에는 쇄골과 견갑골이 있으며 자유상지골
에는 상완골, 척골, 요골, 수근골, 수지골이 있다.
- 견갑골(scapula)
견갑골은 역삼각형의 뼈로서 2-7늑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견갑골의 위쪽에는 견
갑극(scapular spine)이라고 하는 융기가 있고, 그 바깥쪽 끝에 견봉(acromion)이
있어서 피부에서 쉽게 감지할 수 있다. 견갑골의 상외측에는 까마귀의 부리처럼 생
긴 오훼돌기(coracoid process)와 얕은 관절와(glenoid fossa)가 있어서 상완골과
견관절(shoulder joint)을 이루고 있다.
- 쇄골(clavicle)
쇄골은 어깨의 앞에 수평으로 걸쳐 있는 S자 모양의 뼈로서, 휴올단(stermal end)
은 거의 사각형에 가깝고 견봉단(acromial end)은 편평하다. 윗면은 매끈하나 아랫
면은 근육 및 인대가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거칠다. 쇄골은 상지뼈 전체를 몸통에
결합시켜 주는 유일한 뼈이며 어깨를 지지하고 팔을 옆으로 움직이게 해주며 양쪽
팔의 균형을 이루게 해준다. 쇄골의 만곡(curvature)은 상지로부터 몸통으로 전달되
는 충격에 대해 탄력을 주어 완충역할을 하며 골절되기 쉽다.
(2) 자유상지골
- 상완골(Humerus)
상완골은 장골로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관절와와 관절하여 견관절(shoulder joint)을
형성한다. 상완골두의 아래쪽에는 해부경(anatomical neck)이 있고, 상완골두가까
이에는 근육이 부착하는 대결절(greater tubercle) 및 소결절(lesser tubercle)이 있
다. 결절의 밑은 잘록하여 골절이 잘 일어나므로 외과경(surgical neck)이라고 부르
기도 한다. 상완골체의 골간에는 상완을 수평으로 올리는 삼각근이 부착하는 거친
삼각근조면(deltoid tuberosity)이 있다. 상완골의 활차(trochlea)는 척골과 관저하
며, 상완골소두(capitulum)는 요골과 관절하다. 또 뒷면에는 아주 깊은 주두와
(olecranon fossa)가 있어서 팔을 펴게 되면 척골의 주두가 그 속으로 들어가 과신
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상과의 뒤에는 구(groove)가 있어서 그 속에는 척
골신경이 지나가므로 팔꿈치를 책상모서리에 부딪히게 되면 그 신경이 자극되어 소
지쪽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 요골(Radius)
척골과는 달리 위쪽끝이 가늘고 아래쪽 끝이 굵다. 요골두(radial head)의 위면은
상완골소두와 만나서 관절을 만들기 때문에 약간 오목하다. 요골두의 측면은 척골
외측의 요골절흔과 만나 환상의 요척관절(radioulnar joint)을 형성한다. 요골두의
밑에는 상완이두근이 부착하기 때문에 거칠은 융기가 있다. 요골상단의 내측에는
척골두와 만나는 척골절흔(ulnar notch) 이 있고, 그 외측에는 경상돌기(styloid
process)가 돌출하여 있다. 요골과 척골의 사이는 결합조직성의 강한 막인 골간막
(interossous membrane)으로 연결되어 있다.
- 척골(Ulna)
요골보다 길고 위쪽 끝은 굵으나 아래쪽 끝은 가늘다. 위쪽
  • 가격5,000
  • 페이지수79페이지
  • 등록일2015.07.03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