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지의 정형 검사[상지의 스페셜 테스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상지의 정형 검사[상지의 스페셜 테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라고 한다. 임상적으로 외전과 내전은 가운데 손가락의 장축을 손의 축으로 사용하여 측정한다. 외전은 손가락들이 약 20도 정도 벌어져야 하며 손가락들을 다시 함께 모을 수 있어야 한다.
엄지 손가락(모지) 굴곡: 환자의 엄지 손가락을 손바닥을 가로질러 새끼 손가락 밑으로 움직인다. 이 운동은 손바닥을 가로지르는 외전(transpalmar abduction)이라고 해도 좋으며 엄지 손가락의 지절관 관절(IP joint)과 중소지절 관절(MP joint)의 능동굴곡을 검사하는 것이다.
엄지 손가락(모지) 신전(요측외전): 환자에게 엄지 손가락을 다른 손가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한다.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의 각도는 약 50도가 될 것이다.
엄지 손가락(모지) 장측외전과 내전: 환자에게 엄지 손가락을 손바닥에서 전방으로 올렸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한다. 엄지 손가락을 완전히 외전했을 때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의 각은 약 70도가 된다. 외전했던 엄지 손가락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 엄지 손가락의 내전은 완전한 것이다.
대립: 정상적으로 엄지 손가락 끝은 각 손가락 끝과 마주 닿을 수 있다.
수동 관절운동 범위 검사
수근관절: 굴곡 -80도, 신전-70도
수근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검사하려면 검사자의 고정하는 손은 환자의 손목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환자의 손을 잡아 수관절을 굴곡 신전한다. 수근관절 운동범위의 제한은 감염으로 인한 관절 강직이나 불완전하게 정복된 요골의 콜레스 골절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수근관절: 척측 굴곡-30도, 요측 굴곡-20도
검사자의 손은 위와 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환자의 수관절을 요측과 척측으로 움직인다. 수관절의 척측 굴곡의 제한은 분쇄성 콜레스 골절(comminuted Colle\'s fracture_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손가락: 중수지절 관절의 굴곡과 신전
굴곡-90도, 신전-30도-45도
중수지절 관절의 굴곡과 신전검사는 양 손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이 검사를 하려면 검사자의 엄지 손가락을 환자의 손바닥에 놓고 검사자의 손가락은 환자의 손등을 감싸쥔다. 다른 한손은 검사자의 손가락을 환자의 네 손가락 위에 놓고 건사자의 엄지 손가락은 환자의 손가락 등쪽을 잡은 다음 중수지절 관절을 굴곡 신전시킨다. 정상적으로 손가락들은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신전범위를 넘어 과신전된다. 손가락을 각각 검사하려면 검사자의 고정하는 손은 그대로 하고 검지 손가락의 기절골을 붙잡아서 서서히 굴곡 신전시킨다. 중수지절 관절은 약 90도 굴곡하고 거의 45도 정도 과신전 할 수 있다. 손가락이 굴곡건은 다른 손가락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만일 어떤 한 손가락에 문제가 있다면 검사자는 나머지 정상적인 손가락을 최대 한계까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중수지절 관절의 측부 인대(collatral ligament)는 신전했을 때는 느슨해지고 굴곡했을 때는 조여지게 되므로 신전했을 때는 손가락이 어느 정도 좌우로 움직여지지만 굴곡했을 때는 손가락이 잘 움직여지지 않는다. 손에 석고 붕대를 감을 때 중수지절 관절은 굴곡상태에서 해야 한다. 신전 상태에서 하면 느슨한 측부 인대가 단축되어 석고 붕대를 제거한 후에도 이 관절은 굴곡 운동이 잘 안될 것이다.
손가락
근위 지절간 관절(PIP joint): 굴곡-100도, 신전-0도
원위 지절간 관절(DIP joint): 굴곡-90도, 신전-20도
지절간 관절의 수동관절 운동범위 검사를 실시하려면 개개의 관절을 분리시켜서 검사자는 검사하려는 관절의 근위 지절간 관절이나 원위 지절간 관절을 고정하고 한 손으로는 검사하려는 관절의 위쪽을 잡고 굴곡 신전시킨다. 지절간 관절은 신전할 때도 굴곡할 때도 그 관절면의 뼈의 구조가 같기 때문에 안정되어 있다.
손가락: 외전-20도, 내전-20도
손가락의 외전과 내전은 중수지절 관절의 기능이다. 검사자는 검사하려는 관절의 중수골과 지절골을 분리하여 잡고 손가락을 외전, 내전시킨다. 검사하는 동안 중수지절 관절은 완전히 0도로 신전되어 있어야 한다.
손가락: 엄지 손가락
중수지절 관절: 굴곡-50도, 신전-0도
지절간 관절: 굴곡-90도, 신전-20도
엄지 손가락은 중수지절 관절과 지절간 관절에서 굴곡과 신전을 검사한다. 중수지절 관절은 검사자가 제 1 중수골과 엄지 손가락의 기절골을 잡고 굴곡 신전시킨다. 엄지 손가락의 양 관절은 동시에 굴곡과 신전을 검사할 수 있다.
손가락: 엄지 손가락
외전-70도(장측 외전), 내전-0도(배측 내전)
엄지 손가락의 외전과 내전은 수근 중수관절(carpometacarpal joint)의 기능이다. 검사자는 한손으로 환자의 엄지 손가락 근위 즉 anatomic snuffbox와 요골 경상돌기가 있는 곳을 잡고 다른 한손은 제 1 중수골을 잡고서 장측 외전(palmar abduction)은 엄지 손가락을 천천히 손바닥에서 멀어지도록 벌리고 장측 내전(palmar adduction)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면 된다.
특수 검사
손가락의 장굴곡근 검사
천지 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의 검사: 이 검사를 실시하려면 검사자는 환자의 검사하려는 손가락을 제외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신전 상태로 붙잡는다. 이것은 천지굴근건을 분리하려는 것이다. 그 다음, 문제의 손가락을 근위 지절간 관절에서 구부려 보라고 말한다. 검사하려는 관절의 손가락을 구부릴 수 있다면 그 고나절의 천지굴근 건은 정상이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천지군근 건은 단열되었거나 소실된 것이다. 손가락의 위치 때문에 이 건은 독자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천지굴근건은 단지 근위 지절간 관절만 작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검사자가 검사하려는 손가락의 원위 지절간 관절을 움직여 보면 입증이 된다. 원위 지절간 관절은 심지굴근건에 의하여 움직여지고 손가락을 신전 상태로 유지하면 굴곡력이 없어진다. 그리고 손가락 끝은 느슨하게 되고 이 근육에 대한 환자의 조절 능력이 미치지 않게 된다.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의 검사: 심지굴근은 모두 일저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