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복지란?
1) 아동복지의 개념
2) 아동복지의 의의
3)아동의 문제와 아동복지의 필요성
2. 아동복지의 변천과정
1). 전통사회의 아동복지
2). 근대사회의 아동복지
3. 아동복지제도의 과제와 전망
4.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3) 개발성의 원칙
4) 포괄성의 원칙
5) 전문성의 원칙
5. 아동복지의 기능과 서비스
1) 아동복지 서비스의 기능별 분류
(1)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
(2) 보조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3)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
2) 아동복지 서비스의 방어선 위치에 따른 분류
(1) 제 1차 방어선으로서 가정 내 서비스
(2) 제 2차 방어선으로서의 대리가정 서비스
(3) 제 3차 방어선으로서 수용시설 서비스
3) 통합적 한국 아동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의 모색
6.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의 개념적 틀의 필요성: 새로운 도전
1). 인구구조의 변화
2.)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
3) 현재 아동복지 서비스 체계의 한계와 문제점
7.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모색
1)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원칙
2)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구성
3) 변화를 위한 전제 조건
4) 지역사회 거버넌스 체제
8.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조기개입적 예방적 서비스의 예: 미국을 중심으로
1)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서비스
2) 팜비치 카운티의 행동 건강 프로그램(Behavioral Health Initiative)
9. 수혜자 중심의 하향적 서비스 전달체계의 정립
1) 프로그램의 정형성 여부
2) 서비스의 접근성
10. 통합된 서비스 체계
11.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립
1) 아동복지의 개념
2) 아동복지의 의의
3)아동의 문제와 아동복지의 필요성
2. 아동복지의 변천과정
1). 전통사회의 아동복지
2). 근대사회의 아동복지
3. 아동복지제도의 과제와 전망
4.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3) 개발성의 원칙
4) 포괄성의 원칙
5) 전문성의 원칙
5. 아동복지의 기능과 서비스
1) 아동복지 서비스의 기능별 분류
(1)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
(2) 보조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3)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
2) 아동복지 서비스의 방어선 위치에 따른 분류
(1) 제 1차 방어선으로서 가정 내 서비스
(2) 제 2차 방어선으로서의 대리가정 서비스
(3) 제 3차 방어선으로서 수용시설 서비스
3) 통합적 한국 아동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의 모색
6.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의 개념적 틀의 필요성: 새로운 도전
1). 인구구조의 변화
2.)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
3) 현재 아동복지 서비스 체계의 한계와 문제점
7.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모색
1)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원칙
2) 통합적 아동복지 서비스 모델의 구성
3) 변화를 위한 전제 조건
4) 지역사회 거버넌스 체제
8.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조기개입적 예방적 서비스의 예: 미국을 중심으로
1)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서비스
2) 팜비치 카운티의 행동 건강 프로그램(Behavioral Health Initiative)
9. 수혜자 중심의 하향적 서비스 전달체계의 정립
1) 프로그램의 정형성 여부
2) 서비스의 접근성
10. 통합된 서비스 체계
11.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립
본문내용
- 아동복지 -
1.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의의
2. 아동복지의 원칙
3. 아동복지의 기능과 서비스
1. 아동복지란?
1)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지(child welfare); 아동을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실천하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
(아동복지법, 아동복지사업, 아동복지관, 아동복지시설연합회, 아동복지단체협의회 등의 명칭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어원; 아동(child)과 복지(welfare)의 합성어로서 아동의 복지(welfare of children), 즉 아동이 잘 지내는 상태이며 아동이 잘 지내는 상태는 주관적으로는 아동의 행복을 뜻하고, 객관적으로는 아동의 건강한 생활이 보장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아동복지는 아동이 하루하루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전문가인 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아동은 물론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을 지원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동복지의 개념에는 아동 한사람 한 사람의 일상적인 행복과 건강을 목표로 하는 사회복지의 이념인 목적개념과 동시에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개념을 내포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실천(practice)이란 업무 담당자(실무자)가 실제 현장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쏟으며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동복지에 대한 개념은 그동안 아동을 둘러싼 가족과 사회환경의 변화와 아동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그리고 아동의 욕구 변화에 따라 좁은 의미의 소극적 개념으로부터 보다 넓은 의미의 적극적 개념으로 확대되어 왔다.
2) 아동복지의 의의
미국의 아동학자 카두신은 아동복지를 사회적 서비스의 한 형태로 정의한다.
아동복지는 부모가 아동양육의 책임을 충족시킬수 없거나 또는 지역사회가 아동과 가족이 요구하는 보호와 지원을 제공할수 없을
1.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의의
2. 아동복지의 원칙
3. 아동복지의 기능과 서비스
1. 아동복지란?
1)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지(child welfare); 아동을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실천하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
(아동복지법, 아동복지사업, 아동복지관, 아동복지시설연합회, 아동복지단체협의회 등의 명칭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어원; 아동(child)과 복지(welfare)의 합성어로서 아동의 복지(welfare of children), 즉 아동이 잘 지내는 상태이며 아동이 잘 지내는 상태는 주관적으로는 아동의 행복을 뜻하고, 객관적으로는 아동의 건강한 생활이 보장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아동복지는 아동이 하루하루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전문가인 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아동은 물론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을 지원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동복지의 개념에는 아동 한사람 한 사람의 일상적인 행복과 건강을 목표로 하는 사회복지의 이념인 목적개념과 동시에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개념을 내포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실천(practice)이란 업무 담당자(실무자)가 실제 현장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쏟으며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동복지에 대한 개념은 그동안 아동을 둘러싼 가족과 사회환경의 변화와 아동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그리고 아동의 욕구 변화에 따라 좁은 의미의 소극적 개념으로부터 보다 넓은 의미의 적극적 개념으로 확대되어 왔다.
2) 아동복지의 의의
미국의 아동학자 카두신은 아동복지를 사회적 서비스의 한 형태로 정의한다.
아동복지는 부모가 아동양육의 책임을 충족시킬수 없거나 또는 지역사회가 아동과 가족이 요구하는 보호와 지원을 제공할수 없을
추천자료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과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대책 서비스 - 아동학대 실태, 대책 및...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중 아동복지에 대해서
[사회복지]아동복지(개념, 역사, 학대, 사업, 과제, 전망 등)
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영유아,특수교육(아동복지 장애인복지 사회복지)
[사회복지] 아동복지정책과 프로그램
(아동복지) 학교사회복지와 학교부적응 파워포인트 PPT 보고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아동복지시설 경동원
아동복지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정책 개선방안
사회복지 실천 분야 아동복지의 개념과 현황 문제점 및 대안 프로그램
아동복지 서비스의 종류, 아동빈곤과 소득보장, 학교사회복지 요약
[사회복지] 아동복지에 대해서
[아동복지]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조사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가 경험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한 가지 제시...
저소득층 방임아동보호 및 학습지원을 위한 야간보호사업(아동복지사업계획서, 프로그램,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