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역사, 지리 등을 빼고 일본어 독본을 넣는 등 교과과목을 개편했는데 이것은 왜곡된 식민사관을 주입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도화를 위해 교파신도를 침투시켰다.
일본이 신사참배를 강요하면서 제일 우선순위에 둔 것은 기독교와 기독교 학교였다. 일본은 신사참배는 종교행위가 아니라 애국행위라고 말하면서 국민의 국가에 대한 예의라고 했으며,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기독교에 대해 탄압을 했다.
한국 기독교는 두 갈래의 길에 서게 되었다. 신사참배를 수용하거나 거부하거나..수용하는 자들에게는 자유가 주어졌지만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고난과 핍박이 따를 것이었다. 불행하게도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38년 제27차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결의했으며, 신사참배는 애국적 행위이고,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는 지지성명을 발표하게 되었다.
종교적으로 볼 때 신사참배는 자신이 가진 신앙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의 기회가 되었으며, 국가적으로 볼 때는 민족적 애국심에 대한 시험의 기회가 되었다.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의 문제에 대해서 한국교회는 아직 진정으로 회개하지 않았음을 기억하자.
Ⅸ. 대립과 분열의 시대(1945-1960)
1945년 해방 이후 한국교회는 혼란과 분열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특히 고려신학교(박형룡/박윤선)와 조선신학교(김재준/송창근)는 전투적으로 대립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것은 단지 학교의 기득권의 문제가 아니라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대립이었으며, 바른 신학을 지키기 위한 전투였다.
첫번째 분열은 1952년 고려파가 분립되면서 일어났는데 중심 요인은 신사참배 문제였으나 교권에 대한 문제도
일본이 신사참배를 강요하면서 제일 우선순위에 둔 것은 기독교와 기독교 학교였다. 일본은 신사참배는 종교행위가 아니라 애국행위라고 말하면서 국민의 국가에 대한 예의라고 했으며,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기독교에 대해 탄압을 했다.
한국 기독교는 두 갈래의 길에 서게 되었다. 신사참배를 수용하거나 거부하거나..수용하는 자들에게는 자유가 주어졌지만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고난과 핍박이 따를 것이었다. 불행하게도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38년 제27차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결의했으며, 신사참배는 애국적 행위이고,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는 지지성명을 발표하게 되었다.
종교적으로 볼 때 신사참배는 자신이 가진 신앙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의 기회가 되었으며, 국가적으로 볼 때는 민족적 애국심에 대한 시험의 기회가 되었다.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의 문제에 대해서 한국교회는 아직 진정으로 회개하지 않았음을 기억하자.
Ⅸ. 대립과 분열의 시대(1945-1960)
1945년 해방 이후 한국교회는 혼란과 분열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특히 고려신학교(박형룡/박윤선)와 조선신학교(김재준/송창근)는 전투적으로 대립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것은 단지 학교의 기득권의 문제가 아니라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대립이었으며, 바른 신학을 지키기 위한 전투였다.
첫번째 분열은 1952년 고려파가 분립되면서 일어났는데 중심 요인은 신사참배 문제였으나 교권에 대한 문제도
추천자료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종교
제임스 A. 내쉬의 생태신학과 한국적 상황에서의 적용 연구
한국인의 종교의 사고(개신교 세력 vs Anti- 개신교 세력)
용재 백낙준의 한국교회사연구와 국학
한국교회의 반공주의와 북한선교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발전,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교리형성과 언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
[기독론][기독론 역사적 맥락][기독론 주제][칭호][구원론][성육신][기독론 방법]기독론의 개...
기독교(그리스도교)의 神(신)론, 기독교(그리스도교) 예정론과 숙명론, 기독교(그리스도교) ...
기독교(그리스도교)의 형성, 기독교(그리스도교)의 파국, 기독교(그리스도교) 조기교육, 기독...
[기독교교육][기독교교육 여성관][기독교교육 전인적발달][기독교교육 교사역할]기독교교육의...
기독교인(크리스천, 크리스찬)의 인간관계, 기독교인(크리스천, 크리스찬)의 박해, 기독교인(...
한국 초대교회 부흥의 힘
그리스도교의 이해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왜곡> (그리스도교의 한국 전래, 천주교의 수용,...
경교의 전래와 한국 천주교의 창시까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