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역사] 순자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역사] 순자의 교육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순자의 교육사상

1. 철학적 기초
1) 천도론(天道論)
2) 인성론(人性論)
3) 인식론(認識論)

2. 순자의 실천적 교육론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본문내용

사유(思惟)기관인 심(心)을 통한 인식작용을 통해 획득
하는 것
- 감각 기관이 심(心)에 의해 작용을 하지만, 심(心)도 감각기관에 의해 지적능력을 축적
심(心)이란 형체의 임금이며 신명(神明)의 주인이다. 명령을 내릴 수는 있지만 명령을 받을 데가 없다. 스스로 금지하고, 스스로 시키고, 스스로 빼앗고, 스스로 취하고, 스스로 멈춘다. 그러므로 입은 겁을 주어 아무말도 못하게 할 수 있고, 형체는 겁을 주어 오그렸다 펴게 할 수는 있지만, 심은 겁을 주어 뜻을 바꾸게 할 수 없다. 옳다고 여기면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르다고 여기면 그것을 사절한다.
-심(心)은 사물을 능동적으로 평가하고 비판할 수 있는 인식활동의 주체
-심(心)을 알 수 있는 방법 : 허(虛), 겸지(兼知), 정(靜)
이미 지닌 것으로서 장차 받아들일 것을 해치는 바가 없으니 이것을 허(虛)라 이른다
- 기존의 인식작용에 의해 축적된 기억, 선입견, 편견, 아집 등이 장차 받아들일 새로운 것을 거부하지 않는 상태. 특정 사물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개방된 마음의 상태
두 각각의 사물의 구별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전면성을 통찰하는 것
한쪽의 지(知)로서 다른 쪽의 지(知)를 방해하지 않는 것
- 겸지(兼知): 단면적인 견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다른 것을 지각할 수 있는 것
심(心)은 항상 움직인다. 그러면서도 정이라는 것이 있어 몽상이나 번잡한 생각으로 지각능력을 어지럽히지 못하는 것이니 이른바 정(靜)이다.
-불안정한 인간의 마음을 바로잡아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판단을 내리게 해주는 것
④ 예(禮)의 실현
-예는 선천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닌, 가치를 볼 수 있는 마음을 통해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든 것
-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제도
- 예의 기원
예란 위로 하늘을 섬기고, 아래로 땅을 섬기고, 조상을 높이고, 군왕(君王)을 높이 받드는 것이 예의 삼대(三大)근본이다.
-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인간사의 모든 준칙
- 정(情)을 기르고 조절하되 분수에 알맞게 하여 개인의 인격을 완성하고, 나아가 천하국가 를 정리치평(正理治平) 하는 것이 예의 참뜻
- 이상적인 인간상(선비, 군자, 성인)
예법(禮法)을 좋아하여 그대로 행하는 것이 선비요, 자기의 의지를 굳세게 가지고 예법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 군자(君子)요, 지혜와 사려가 민첩 총명하여 예법에 정통하가 나아가 언제까지고 하는 일마다 예법에 합치하지 않는 것이 없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2) 교육내용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敬), 악경(樂經), 춘추(春秋)
- 시경(詩經): 노래의 가사로 사회의 풍속이나 세태풍자 등 일반백성들이 생활전반에 관하 여 자신의 심정을 토론한 것. 학습자의 마음을 감발(感發)시키는 효과
- 서경(書經): 중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정치철학적 성격을 함유, 성악설을 근 거로 하여 이성적 차원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는 정치를 강조
- 예경(禮敬): 궁중에서의 의식규칙,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규범, 제도와 법류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21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