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순자의 교육사상
1. 철학적 기초
1) 천도론(天道論)
2) 인성론(人性論)
3) 인식론(認識論)
2. 순자의 실천적 교육론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1. 철학적 기초
1) 천도론(天道論)
2) 인성론(人性論)
3) 인식론(認識論)
2. 순자의 실천적 교육론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본문내용
사유(思惟)기관인 심(心)을 통한 인식작용을 통해 획득
하는 것
- 감각 기관이 심(心)에 의해 작용을 하지만, 심(心)도 감각기관에 의해 지적능력을 축적
심(心)이란 형체의 임금이며 신명(神明)의 주인이다. 명령을 내릴 수는 있지만 명령을 받을 데가 없다. 스스로 금지하고, 스스로 시키고, 스스로 빼앗고, 스스로 취하고, 스스로 멈춘다. 그러므로 입은 겁을 주어 아무말도 못하게 할 수 있고, 형체는 겁을 주어 오그렸다 펴게 할 수는 있지만, 심은 겁을 주어 뜻을 바꾸게 할 수 없다. 옳다고 여기면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르다고 여기면 그것을 사절한다.
-심(心)은 사물을 능동적으로 평가하고 비판할 수 있는 인식활동의 주체
-심(心)을 알 수 있는 방법 : 허(虛), 겸지(兼知), 정(靜)
이미 지닌 것으로서 장차 받아들일 것을 해치는 바가 없으니 이것을 허(虛)라 이른다
- 기존의 인식작용에 의해 축적된 기억, 선입견, 편견, 아집 등이 장차 받아들일 새로운 것을 거부하지 않는 상태. 특정 사물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개방된 마음의 상태
두 각각의 사물의 구별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전면성을 통찰하는 것
한쪽의 지(知)로서 다른 쪽의 지(知)를 방해하지 않는 것
- 겸지(兼知): 단면적인 견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다른 것을 지각할 수 있는 것
심(心)은 항상 움직인다. 그러면서도 정이라는 것이 있어 몽상이나 번잡한 생각으로 지각능력을 어지럽히지 못하는 것이니 이른바 정(靜)이다.
-불안정한 인간의 마음을 바로잡아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판단을 내리게 해주는 것
④ 예(禮)의 실현
-예는 선천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닌, 가치를 볼 수 있는 마음을 통해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든 것
-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제도
- 예의 기원
예란 위로 하늘을 섬기고, 아래로 땅을 섬기고, 조상을 높이고, 군왕(君王)을 높이 받드는 것이 예의 삼대(三大)근본이다.
-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인간사의 모든 준칙
- 정(情)을 기르고 조절하되 분수에 알맞게 하여 개인의 인격을 완성하고, 나아가 천하국가 를 정리치평(正理治平) 하는 것이 예의 참뜻
- 이상적인 인간상(선비, 군자, 성인)
예법(禮法)을 좋아하여 그대로 행하는 것이 선비요, 자기의 의지를 굳세게 가지고 예법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 군자(君子)요, 지혜와 사려가 민첩 총명하여 예법에 정통하가 나아가 언제까지고 하는 일마다 예법에 합치하지 않는 것이 없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2) 교육내용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敬), 악경(樂經), 춘추(春秋)
- 시경(詩經): 노래의 가사로 사회의 풍속이나 세태풍자 등 일반백성들이 생활전반에 관하 여 자신의 심정을 토론한 것. 학습자의 마음을 감발(感發)시키는 효과
- 서경(書經): 중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정치철학적 성격을 함유, 성악설을 근 거로 하여 이성적 차원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는 정치를 강조
- 예경(禮敬): 궁중에서의 의식규칙,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규범, 제도와 법류
하는 것
- 감각 기관이 심(心)에 의해 작용을 하지만, 심(心)도 감각기관에 의해 지적능력을 축적
심(心)이란 형체의 임금이며 신명(神明)의 주인이다. 명령을 내릴 수는 있지만 명령을 받을 데가 없다. 스스로 금지하고, 스스로 시키고, 스스로 빼앗고, 스스로 취하고, 스스로 멈춘다. 그러므로 입은 겁을 주어 아무말도 못하게 할 수 있고, 형체는 겁을 주어 오그렸다 펴게 할 수는 있지만, 심은 겁을 주어 뜻을 바꾸게 할 수 없다. 옳다고 여기면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르다고 여기면 그것을 사절한다.
-심(心)은 사물을 능동적으로 평가하고 비판할 수 있는 인식활동의 주체
-심(心)을 알 수 있는 방법 : 허(虛), 겸지(兼知), 정(靜)
이미 지닌 것으로서 장차 받아들일 것을 해치는 바가 없으니 이것을 허(虛)라 이른다
- 기존의 인식작용에 의해 축적된 기억, 선입견, 편견, 아집 등이 장차 받아들일 새로운 것을 거부하지 않는 상태. 특정 사물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개방된 마음의 상태
두 각각의 사물의 구별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전면성을 통찰하는 것
한쪽의 지(知)로서 다른 쪽의 지(知)를 방해하지 않는 것
- 겸지(兼知): 단면적인 견해를 방지하고, 동시에 다른 것을 지각할 수 있는 것
심(心)은 항상 움직인다. 그러면서도 정이라는 것이 있어 몽상이나 번잡한 생각으로 지각능력을 어지럽히지 못하는 것이니 이른바 정(靜)이다.
-불안정한 인간의 마음을 바로잡아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판단을 내리게 해주는 것
④ 예(禮)의 실현
-예는 선천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닌, 가치를 볼 수 있는 마음을 통해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든 것
-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제도
- 예의 기원
예란 위로 하늘을 섬기고, 아래로 땅을 섬기고, 조상을 높이고, 군왕(君王)을 높이 받드는 것이 예의 삼대(三大)근본이다.
-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인간사의 모든 준칙
- 정(情)을 기르고 조절하되 분수에 알맞게 하여 개인의 인격을 완성하고, 나아가 천하국가 를 정리치평(正理治平) 하는 것이 예의 참뜻
- 이상적인 인간상(선비, 군자, 성인)
예법(禮法)을 좋아하여 그대로 행하는 것이 선비요, 자기의 의지를 굳세게 가지고 예법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 군자(君子)요, 지혜와 사려가 민첩 총명하여 예법에 정통하가 나아가 언제까지고 하는 일마다 예법에 합치하지 않는 것이 없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2) 교육내용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敬), 악경(樂經), 춘추(春秋)
- 시경(詩經): 노래의 가사로 사회의 풍속이나 세태풍자 등 일반백성들이 생활전반에 관하 여 자신의 심정을 토론한 것. 학습자의 마음을 감발(感發)시키는 효과
- 서경(書經): 중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정치철학적 성격을 함유, 성악설을 근 거로 하여 이성적 차원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는 정치를 강조
- 예경(禮敬): 궁중에서의 의식규칙,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규범, 제도와 법류
추천자료
니일의 교육사상과 서머힐(Summerhill) 교육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
프뢰벨의 교육사상 프뢰벨의 사상 프뢰벨 교육 유아교육사상가 교육사상가 유아교육 인간교육
존 듀이의 교육사상 연구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볼르노의 교육사상
존 듀이의 교육사상, 진보주의
듀이의 교육사상 - 시대적 배경, 교육 목적 및 이론과 방법, 교육관, 실험 학교
듀이의 교육사상에 대한 특징 연구
존 로크의 교육사상
프뢰벨(Frobel)의 교육사상과 그의 업적에 대해 기술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그의 업적에 대해 기술해보세요
[보육학개론]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과 교육사상 및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의 역사
교육철학과 사상 - 이황(李滉)의 교육사상에 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