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개념 규정
2.2. 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2.3. 불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2.4. 사잇소리 현상의 발생 환경
2.5. 사잇소리 실현의 6가지 순서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2.1. 개념 규정
2.2. 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2.3. 불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2.4. 사잇소리 현상의 발생 환경
2.5. 사잇소리 실현의 6가지 순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서나 책을 편집하고 교정하는 것을 비롯해 우리 일상생활에서 무수히 표기되고 발음되는 음운 현상이다. 하지만 사잇소리가 실현되는 정확한 환경을 인식하고 있지 못 하다면 매번 사전을 찾아보거나 자신감이 결여된 언어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규칙적인 실현 환경 외에 사잇소리 현상은 불규칙성을 많이 띠고 있다.
본고에서는 학교문법에 근거하여 사잇소리 실현 현상이 어떻게 정리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 위의 의문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사잇소리의 불규칙적 실현 환경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규칙적인 사잇소리 현상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개념 규정
(1) 사잇소리 : 합성 명사에서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 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음 운 변동(소리) 운평어문연구소 편(1993),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 964.
(2) 사이시옷 : 복합 명사 또는 복합 명사에 준할 만한 말의 두 말 사이에서 뒷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앞말에 받쳐 적는 시옷(표기)
2.2. 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1)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어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뒤의 말의 첫소리가 안울림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음운의 변동을 사잇소리 현상이라 한다.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이시 옷(\'ㅅ\')을 개재하고, 이미 앞 말이 받침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사이시옷 을 첨가하기 않는다. (임지룡, 2005 : 124~126)
예) 코+등 → 콧등[코
본고에서는 학교문법에 근거하여 사잇소리 실현 현상이 어떻게 정리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 위의 의문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사잇소리의 불규칙적 실현 환경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규칙적인 사잇소리 현상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개념 규정
(1) 사잇소리 : 합성 명사에서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 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음 운 변동(소리) 운평어문연구소 편(1993),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 964.
(2) 사이시옷 : 복합 명사 또는 복합 명사에 준할 만한 말의 두 말 사이에서 뒷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앞말에 받쳐 적는 시옷(표기)
2.2. 규칙적 사잇소리 현상
(1)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어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뒤의 말의 첫소리가 안울림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음운의 변동을 사잇소리 현상이라 한다.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이시 옷(\'ㅅ\')을 개재하고, 이미 앞 말이 받침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사이시옷 을 첨가하기 않는다. (임지룡, 2005 : 124~126)
예) 코+등 → 콧등[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