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강)
bm
dn
유 음
설탄
r
설측
l
3-1. 모음목록
- 현대국어의 모음 수 ⇒ “10개”(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 음절을 이루는 핵심단위 (∴ 모든 단어는 하나 이상의 음절로 구성됨)
- 자음과 달리 ‘어두어말 위치에 의한 차이’와 ‘상보적 분포’를 갖지 않음
- 분류기준; ① 혀의 전후 위치 ② 입을 벌리는 정도[=개구도] ③ 입술의 작용
(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중모음저모음) (원순모음평순모음)
① /ㅣ,ㅟ/
ex) 기/귀 시/쉬
⑤ /ㅓ,ㅗ/
ex) 서리/소리
② /ㅔ,ㅚ/
ex) 네/뇌
⑥ /ㅡ,ㅓ/
ex) 글/걸
③ /ㅡ,ㅔ,ㅐ/
ex) 띠/떼/때
⑦ /ㅓ,ㅏ/
ex) 머리/마리,섬/삼
④ /ㅡ,ㅜ/
ex) 느리다/누르다
- <최소대립어>
- < 목록> 혀의 위치
혀의 높이
전 설
후 설
평 순
원 순
평 순
원 순
고모음[폐모음]
ㅣ[i]
ㅟ[u]
ㅡ[]
ㅜ[u]
중모음[반폐+반개모음]
ㅔ[e]
ㅚ[o]
ㅓ[][]
ㅗ[o]
저모음[개모음]
ㅐ[ε]
ㅏ[a]
(★ but ‘ㅟ/ㅚ’는 후기근대국어 모음체계에 존재하지 않음)
3-2. 음장, 반모음, 이중모음
- 음장; - 모음의 길이로, ‘/-/ /:/’로 표시
- ‘억양강세고저’ 등 여러 운율적 자질 중, 유일하게 ‘음운론적 기능’
- 분류 ⇒ (10개) + (10개;ㅣ,ㅔ,ㅐ,ㅟ,ㅚ,ㅡ,ㅓ,ㅏ,ㅜ,ㅗ)
- ‘장모음[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① 대체로 단어의 첫음절 ex)[눈:보라],[밤:나무]
② 합성어는 두 단어로 분리 될 경우, 둘째의 제1음절 ex)[반:신 반:의],[선:남 선:녀]
- 반모음; - 단독으로 나타나지 못하고,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 [=과도음,활음,부음]
- 종류; ① /j /; ‘전설적’이며, 입술을 평평하게 함.
② /w/; ‘후설적’이며, 입술을 둥굴게 함.
- 이중모음; - 반모음+단모음 (but 단모음보다 약간 길게 발음될 뿐, ‘음운론적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님)
- 분류; 상향이중모음 혀의 위치
혀의 높이
j 계
w 계
전 설
후 설
전 설
후 설
고모음[폐모음]
ㅠ
중모음[반폐+반개모음]
ㅖ
ㅕㅛ
ㅞ
ㅝ
저모음[개모음]
ㅒ
ㅑ
ㅙ
ㅘ
<상향이중모음 목록>
, 하향이중모음 <하향이중모음 목록>
혀의 위치
혀의 높이
j 계
w 계
전 설
후 설
전 설
후 설
고모음[폐모음]
ㅢ
(반모음+단모음) (단모음+반모음)
제 3부. 음운자질과 음운체계
제 1장. 음운자질과 음운체계
- 음운체계 ⇒ ‘음운자질’의 총화
- 음운자질; - 두 음이 음운론적 대립을 이루게 하는 것 [=언어적자질,변별적자질]
- ‘운소’의 분류자질⇒ ‘음장’과 같은 운율적 자질
분류
자질
“자 음”
활 음
모 음
저해음[순수자음]
비 음
유 음
±자음성
+
+
+
-
-
±모음성
-
-
+
-
+
±공명성
-
+
+
+
+
★ 음소목록 ★
(ㅂㅃㅍ ㄷㄸㅌ)
(ㅈㅉㅊ ㄱㄲㅋ)
(ㅅㅆ ㅎ)
(ㅁㄴㅇ)
(ㄹ)
(j w)
(ㅣㅟㅡㅜㅔㅚ)
(ㅓㅙㅏ)
- ‘음소’의 분류자질⇒ 자음성, 모음성, 공명성(↓)
제 2장. 자음체계
1. ‘조음위치’에 따른 음운자질 자음
자질
ㅂ
ㄷ
ㅅ
ㄱ
ㅁ
ㄴ
ㅇ
ㄹ
★ 이 해 ★
±자음성
+
+
+
+
+
+
+
+
☞ 모든 ‘자음’ 해당
±모음성
-
-
-
-
-
-
-
+
☞ ‘ㄹ+모음’ 해당
±전부성
+
+
+
-
+
+
-
+
☞ ‘치조음+순음’ 해당
±설정성
-
+
+
-
-
+
-
+
☞ ‘치조음+경구개음’ 해당
±지속성
-
-
+
-
+
+
+
+
☞ ‘폐쇄음’ 제외한 나머지
±비음성
-
-
-
-
+
+
+
-
☞ ‘비음’ 해당
⇒「전부성」「설정성」
※ 外「지속성」- ‘폐쇄음[-지속성]’과 ‘마찰음[+지속성]’의 변별을 위한 자질
- ‘ㅎ’의 경우, [+지속성}[+저음성]으로, 기타 모든 자음들과 구별
조음위치
조음방법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경음성 -유기성
ㅂ
ㄷㅅ
ㅈ
ㄱ
+경음성 -유기성
ㅃ
ㄸㅆ
ㅉ
ㄲ
-경음성 +유기성
ㅍ
ㅌ
ㅊ
ㅋ
+비음성 +공명성
ㅁ
ㄴ
ㅇ
-비음성 +공명성
ㄹ
★ 이 해 ★
(↑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2. ‘조음방법’에 따른 음운자질 ⇒「경음성」「유기성」
제 3장. 모음체계
1. 단모음 체계 ⇒「고음성」「저음성」「후설성」「원순성」
모음
음운자질
ㅣ
ㅟ
ㅔ
ㅐ
ㅡ
ㅜ
ㅓ
ㅏ
ㅗ
±고음성
+
+
-
-
+
+
-
-
-
±저음성
-
-
-
+
-
-
-
+
-
±후설성
-
-
-
-
+
+
+
+
+
±원순성
-
+
-
-
-
+
-
-
+
2. 운소체계
; ① 성조체계, ② 음장체계 (▷ <표준발음법>에서는 ‘성조’가 아닌 ‘음장’만 인정)
3. 이중모음체계
상향적 이중모음
하향적 이중모음
±전설적 (/j/+단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
±후설적 (단모음+/w/)
ㅘ ㅙ ㅝ ㅞ
ㅢ
※ ‘ㅔ/ㅐ/ㅟ/ㅞ’는 중세국어에선 이중모음다가, 근대국어시기에 단모음화 됨
※ 모음충돌이 일어나면, 각각 ‘j /w\'로 바뀜 ex) ‘이기+어→이겨’
※ /j /는 음운자질의 유사성으로, /ㅅ,ㅆ,ㅈ,ㅉ,ㅊ/ 다음에 쓰이지 않음.
※ /w/는 〃 〃 , /ㅁ,ㅂ,ㅃ,ㅍ/ 다음에 쓰이지 않음.
※ ‘ㅢ’는 제 1음절에서 비교적 분명함. ex) 의논,의사,의심,의자…
★ 움라우트 ★[‘ㅣ’역행동화]
- 전설모음 ‘ㅣ’의 영향으로, 앞의 ‘ㅏ/ㅓ/ㅗ/ㅜ’가 각각 ‘ㅐ/ㅔ/ㅚ/ㅟ’로 바뀌는 현상
- [+설정성] 자음이 개재하였을 경우, 실현되지 않는 음운론적 제약이 있을 수 있음.
제 4부. 음절
제 1장. 음절구조와 음운제약
1. 음절구조
- ‘봉우리형 구조’로서, ‘정점음\' 존재(↘)
음절초 주변음 (C1)
ㅂㅃㅍㄷㄸㅌㅅㅆㅈㅉㅊㄱㄲㅋㅁㄴㅇㄹㅎ
“음절”
↙ ↓ ↘
C1 정점음 C2
↙↓↘
G1 V G2
정점음
핵보음[단모음] (V)
ㅣㅔㅐㅟㅚㅡㅓㅏㅜㅗ
부 음[반모음]
반모음1 (G1) ; j- w-
반모음2 (G2) ; -j
음절말 주변음 (C2)
ㄱㄴㄷㄹㅁㅂㅇ (▷ 음절초와 함께 쓰임)
- <음운 배정>
제 1유형
V
이미, 아이, 오이
제 6유형
VC2
옥, 알
제 2유형
G1V
여러, 부여, 가야금
제 7유형
C1VG2
법의(버
bm
dn
유 음
설탄
r
설측
l
3-1. 모음목록
- 현대국어의 모음 수 ⇒ “10개”(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 음절을 이루는 핵심단위 (∴ 모든 단어는 하나 이상의 음절로 구성됨)
- 자음과 달리 ‘어두어말 위치에 의한 차이’와 ‘상보적 분포’를 갖지 않음
- 분류기준; ① 혀의 전후 위치 ② 입을 벌리는 정도[=개구도] ③ 입술의 작용
(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중모음저모음) (원순모음평순모음)
① /ㅣ,ㅟ/
ex) 기/귀 시/쉬
⑤ /ㅓ,ㅗ/
ex) 서리/소리
② /ㅔ,ㅚ/
ex) 네/뇌
⑥ /ㅡ,ㅓ/
ex) 글/걸
③ /ㅡ,ㅔ,ㅐ/
ex) 띠/떼/때
⑦ /ㅓ,ㅏ/
ex) 머리/마리,섬/삼
④ /ㅡ,ㅜ/
ex) 느리다/누르다
- <최소대립어>
- < 목록> 혀의 위치
혀의 높이
전 설
후 설
평 순
원 순
평 순
원 순
고모음[폐모음]
ㅣ[i]
ㅟ[u]
ㅡ[]
ㅜ[u]
중모음[반폐+반개모음]
ㅔ[e]
ㅚ[o]
ㅓ[][]
ㅗ[o]
저모음[개모음]
ㅐ[ε]
ㅏ[a]
(★ but ‘ㅟ/ㅚ’는 후기근대국어 모음체계에 존재하지 않음)
3-2. 음장, 반모음, 이중모음
- 음장; - 모음의 길이로, ‘/-/ /:/’로 표시
- ‘억양강세고저’ 등 여러 운율적 자질 중, 유일하게 ‘음운론적 기능’
- 분류 ⇒ (10개) + (10개;ㅣ,ㅔ,ㅐ,ㅟ,ㅚ,ㅡ,ㅓ,ㅏ,ㅜ,ㅗ)
- ‘장모음[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① 대체로 단어의 첫음절 ex)[눈:보라],[밤:나무]
② 합성어는 두 단어로 분리 될 경우, 둘째의 제1음절 ex)[반:신 반:의],[선:남 선:녀]
- 반모음; - 단독으로 나타나지 못하고,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 [=과도음,활음,부음]
- 종류; ① /j /; ‘전설적’이며, 입술을 평평하게 함.
② /w/; ‘후설적’이며, 입술을 둥굴게 함.
- 이중모음; - 반모음+단모음 (but 단모음보다 약간 길게 발음될 뿐, ‘음운론적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님)
- 분류; 상향이중모음 혀의 위치
혀의 높이
j 계
w 계
전 설
후 설
전 설
후 설
고모음[폐모음]
ㅠ
중모음[반폐+반개모음]
ㅖ
ㅕㅛ
ㅞ
ㅝ
저모음[개모음]
ㅒ
ㅑ
ㅙ
ㅘ
<상향이중모음 목록>
, 하향이중모음 <하향이중모음 목록>
혀의 위치
혀의 높이
j 계
w 계
전 설
후 설
전 설
후 설
고모음[폐모음]
ㅢ
(반모음+단모음) (단모음+반모음)
제 3부. 음운자질과 음운체계
제 1장. 음운자질과 음운체계
- 음운체계 ⇒ ‘음운자질’의 총화
- 음운자질; - 두 음이 음운론적 대립을 이루게 하는 것 [=언어적자질,변별적자질]
- ‘운소’의 분류자질⇒ ‘음장’과 같은 운율적 자질
분류
자질
“자 음”
활 음
모 음
저해음[순수자음]
비 음
유 음
±자음성
+
+
+
-
-
±모음성
-
-
+
-
+
±공명성
-
+
+
+
+
★ 음소목록 ★
(ㅂㅃㅍ ㄷㄸㅌ)
(ㅈㅉㅊ ㄱㄲㅋ)
(ㅅㅆ ㅎ)
(ㅁㄴㅇ)
(ㄹ)
(j w)
(ㅣㅟㅡㅜㅔㅚ)
(ㅓㅙㅏ)
- ‘음소’의 분류자질⇒ 자음성, 모음성, 공명성(↓)
제 2장. 자음체계
1. ‘조음위치’에 따른 음운자질 자음
자질
ㅂ
ㄷ
ㅅ
ㄱ
ㅁ
ㄴ
ㅇ
ㄹ
★ 이 해 ★
±자음성
+
+
+
+
+
+
+
+
☞ 모든 ‘자음’ 해당
±모음성
-
-
-
-
-
-
-
+
☞ ‘ㄹ+모음’ 해당
±전부성
+
+
+
-
+
+
-
+
☞ ‘치조음+순음’ 해당
±설정성
-
+
+
-
-
+
-
+
☞ ‘치조음+경구개음’ 해당
±지속성
-
-
+
-
+
+
+
+
☞ ‘폐쇄음’ 제외한 나머지
±비음성
-
-
-
-
+
+
+
-
☞ ‘비음’ 해당
⇒「전부성」「설정성」
※ 外「지속성」- ‘폐쇄음[-지속성]’과 ‘마찰음[+지속성]’의 변별을 위한 자질
- ‘ㅎ’의 경우, [+지속성}[+저음성]으로, 기타 모든 자음들과 구별
조음위치
조음방법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전부성
-설정성
-경음성 -유기성
ㅂ
ㄷㅅ
ㅈ
ㄱ
+경음성 -유기성
ㅃ
ㄸㅆ
ㅉ
ㄲ
-경음성 +유기성
ㅍ
ㅌ
ㅊ
ㅋ
+비음성 +공명성
ㅁ
ㄴ
ㅇ
-비음성 +공명성
ㄹ
★ 이 해 ★
(↑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2. ‘조음방법’에 따른 음운자질 ⇒「경음성」「유기성」
제 3장. 모음체계
1. 단모음 체계 ⇒「고음성」「저음성」「후설성」「원순성」
모음
음운자질
ㅣ
ㅟ
ㅔ
ㅐ
ㅡ
ㅜ
ㅓ
ㅏ
ㅗ
±고음성
+
+
-
-
+
+
-
-
-
±저음성
-
-
-
+
-
-
-
+
-
±후설성
-
-
-
-
+
+
+
+
+
±원순성
-
+
-
-
-
+
-
-
+
2. 운소체계
; ① 성조체계, ② 음장체계 (▷ <표준발음법>에서는 ‘성조’가 아닌 ‘음장’만 인정)
3. 이중모음체계
상향적 이중모음
하향적 이중모음
±전설적 (/j/+단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
±후설적 (단모음+/w/)
ㅘ ㅙ ㅝ ㅞ
ㅢ
※ ‘ㅔ/ㅐ/ㅟ/ㅞ’는 중세국어에선 이중모음다가, 근대국어시기에 단모음화 됨
※ 모음충돌이 일어나면, 각각 ‘j /w\'로 바뀜 ex) ‘이기+어→이겨’
※ /j /는 음운자질의 유사성으로, /ㅅ,ㅆ,ㅈ,ㅉ,ㅊ/ 다음에 쓰이지 않음.
※ /w/는 〃 〃 , /ㅁ,ㅂ,ㅃ,ㅍ/ 다음에 쓰이지 않음.
※ ‘ㅢ’는 제 1음절에서 비교적 분명함. ex) 의논,의사,의심,의자…
★ 움라우트 ★[‘ㅣ’역행동화]
- 전설모음 ‘ㅣ’의 영향으로, 앞의 ‘ㅏ/ㅓ/ㅗ/ㅜ’가 각각 ‘ㅐ/ㅔ/ㅚ/ㅟ’로 바뀌는 현상
- [+설정성] 자음이 개재하였을 경우, 실현되지 않는 음운론적 제약이 있을 수 있음.
제 4부. 음절
제 1장. 음절구조와 음운제약
1. 음절구조
- ‘봉우리형 구조’로서, ‘정점음\' 존재(↘)
음절초 주변음 (C1)
ㅂㅃㅍㄷㄸㅌㅅㅆㅈㅉㅊㄱㄲㅋㅁㄴㅇㄹㅎ
“음절”
↙ ↓ ↘
C1 정점음 C2
↙↓↘
G1 V G2
정점음
핵보음[단모음] (V)
ㅣㅔㅐㅟㅚㅡㅓㅏㅜㅗ
부 음[반모음]
반모음1 (G1) ; j- w-
반모음2 (G2) ; -j
음절말 주변음 (C2)
ㄱㄴㄷㄹㅁㅂㅇ (▷ 음절초와 함께 쓰임)
- <음운 배정>
제 1유형
V
이미, 아이, 오이
제 6유형
VC2
옥, 알
제 2유형
G1V
여러, 부여, 가야금
제 7유형
C1VG2
법의(버
추천자료
비음화와 유음화의 적용 기제에 대하여
제주도 방언의 특징
한국어 변천사(구개음화)의 분석
소설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 방언
MBC 100분 토론 text 분석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국어 음절][짜임새][음절화][불절음층열][고대국어][중국어][음절구조]국어 음절의 짜임새, ...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연구
음절의 특성과 음절 구조
음절의 특성과 음절 구조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경상도 방언에 대한 대중의 인식 -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대중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구개음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