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람마다의 지능발달 차이
1) 지능의 본질
2) 지능과 유전, 환경
3) 인지 능력에 성차
4) 결론
2. 지능향상에 도움 되는 놀이
(1) 놀이의 이해
1) 놀이의 개념
2) 놀이의 역할
3)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
4)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의 중요성
5) 종이접기 조형활동과 지능 관계
6) 유아의 극놀이
7) 결론
참고문헌
1) 지능의 본질
2) 지능과 유전, 환경
3) 인지 능력에 성차
4) 결론
2. 지능향상에 도움 되는 놀이
(1) 놀이의 이해
1) 놀이의 개념
2) 놀이의 역할
3)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
4)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의 중요성
5) 종이접기 조형활동과 지능 관계
6) 유아의 극놀이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경우도 충분히 즐겁고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는 활동이라 하겠다. 동극활동은 유아교육에 있어서 동화와 자유놀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즐겁고도 효과적인 교육전략이다(han, 1991). 이런 극화할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밝혀졌다(Smilansky, 1968; MaCalsin, 1984; 조동히, 1987; 이남정, 1990; 임영심, 1994; 하미숙, 1996).
극놀이의 일종인 동극활동은 동화를 듣고 나서 그 동화의 대사와 내용을 중심으로 극화를 하게 되므로, 역할놀이와 모델링 모두 포함되어 있고, 하는 동안 사회성은 물론 정서발달이이루어지며 의사소통 과정을 통하여 주변세계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어휘나 문장을 습득하게 한다. 그리고 상징적 사고, 가작화 및 종합적인 놀이경험을 통하여 사고의 유연성, 융동성, 독창성 및 창의성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Siks(1977)는 동극은 유아자신을 알게 하고 세상을 알게 하며, 지식과 개념을 탐색하도록 돕는 훌륭한 교수도구라고 말하고 있다. Grimmott(1973)도 동극은 교육의 보조수단이나 교육방법일 뿐만 아니라 동극 자체가 ‘상상력이 풍부한 살아있는 경험’이고 ‘현장경험’이며 ‘학습상황’ 이라고 설명한다.
동극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 즉 동극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극활동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해력을 증진시키며, 듣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논리적 사고를 도우며,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을 돕고, 사회적 가치에 대한 학습을 돕는다. 셋째, 협동심을 기르게 하며, 감정이입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넷째, 상상력을 풍부하게한다. 다섯째, 창의성을 발달시킨다.
이 중 동극이 상상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겠다. Piaget의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상징적 놀이와 모방은 둘 다 유아의 상상적인 생각을 구성하는 능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동극활동은 가작화 놀이에 상징적 놀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친숙한 모델의 역할 수행을 통하여 모방을 한다는 점에서 놀이와 모방의 두 요소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동극활동을 통하여 교사들은 유아들이 창의적인 사고와 즉흥적인 행동이나 대사를 하도록 유도하며, 어떤 대답은 꼭 옳은 것이고, 어떤 대답은 틀리는 것이라고 규정짓지 않는다. 동극활동 중 이러한 자유는 유아들의 창의성을 풍부하게 하기 때문이다.
4)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
유아들이 주로 하는 표현활동으로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등 모든 형상이나 형태를 만드는 것을 조형활동이라 한다. 유아들에게 조형활동은 자유로운 자기표현인 동시에 자연스런 하나의 놀이이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표현 방식이며, 이를 통해 상상력과 이해력을 함께 키울 수 있다. 또한 다양하고 즐거운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성장하게 되며 여러 가지 재료를 선택하고 창의적인 기법이 있음을 이해하게 되며 우리 일상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조형활동은 스스로의 표현에 따르는 경험 뿐 아니라 예술적 감각을 키우게 되며 무엇보다 유아들의 정서 발달, 사회성 발달, 지적 발달, 창의성 발달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조형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며, 유아는 여러 감각기관을 통해 주변의 여러 가지 형태를 조형활동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밖으로 재현하며 기억하기도 한다. 재현할 때의 흥미나 기억되고 있는 많은 상황들을 교육적으로 이끌어 좋은 바탕의 인간으로 유도하는 길이 곧 유아 조형활동 교육의 의도일 것이다. 연주호(1999)
조형활동은 모든 유아들이 좋아하는 본질적인 교육활동으로, 유아의 마음상태가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유아의 감각을 예민하게 하여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과 이해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유아의 학습접근 능력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형활동과 지적 발달과의 관계를 설명했다. Kellogg(1970)
유아들의 지적 발달은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는데서 볼 수 있고 조형활동에서는 유아가 표현할 수 있는 지적 기민성을 나타낸다. 일찍부터 손을 정교하고 유일하게 쓰며, 정확하게 쓰는 훈련을 하면 외부적인 손의 운동이 대뇌중추의 창조적 영역에 자극을 주어서 뇌의 활동이 자극을 받는다고 했고, 김재은(1998)
입체조형활동 중 특히 종이접기 조형활동은 두뇌발달에 아주 적합한 제재일 뿐만 아니라 상상력, 창의력, 주위집중력과 인내심을 길러준다고 하며, 염태진(1998)
Piaget(1964)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전조작기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손가락을 많이 자극하게 하면 인지 발달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이론과 일맥 상통한다. 종이접기는 자신의 조작활동에 따른 구체적인 피드백이 즉시 이어질 수 있으며 특별한 부가적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한 장의 종이로써 자신의 손만으로 의도하는 바 창작적 조작활동을 쉽게 해 낼 수 있다는 조작적 편리성을 장점으로 갖고 있다. 접어서 꾸미기나 만들기를 하여 조형활동을 하는 동안 두뇌와 손, 눈, 팔, 온몸 전체의 체험활동을 하므로 조형감각을 발달시켜서 창의력 계발을 할 수 있다. 김재은(2000)에 따르면 종이접기 조형활동은 손의 감각기능과 눈과 손의 협응력을 길러 줄뿐만 아니라 손가락 끝의 빠른 손놀림로 유아들의 뇌를 자극하여 시간, 공간적 인식의 종합적 개념이 형성되는 우뇌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5)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의 중요성
조형활동은 넓은 의미로 많은 재료를 매개로 한 창조적 활동으로 그리기, 꾸미기, 만들기, 조소, 조형놀이, 감상의 영역이 있다. 주변의 여러 가지 재료와 폐품을 활용하고 유아들의 흥미와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모양이나 틀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 표현하는 이 자체가 조형활동이다. 그리고 놀이의 연장으로서 표현하고 싶다는 의욕과 충동으로 순수한 인간의 본능적 자기표출의 수단으로서 표현될 때 순수 조형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연물과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한
극놀이의 일종인 동극활동은 동화를 듣고 나서 그 동화의 대사와 내용을 중심으로 극화를 하게 되므로, 역할놀이와 모델링 모두 포함되어 있고, 하는 동안 사회성은 물론 정서발달이이루어지며 의사소통 과정을 통하여 주변세계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어휘나 문장을 습득하게 한다. 그리고 상징적 사고, 가작화 및 종합적인 놀이경험을 통하여 사고의 유연성, 융동성, 독창성 및 창의성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Siks(1977)는 동극은 유아자신을 알게 하고 세상을 알게 하며, 지식과 개념을 탐색하도록 돕는 훌륭한 교수도구라고 말하고 있다. Grimmott(1973)도 동극은 교육의 보조수단이나 교육방법일 뿐만 아니라 동극 자체가 ‘상상력이 풍부한 살아있는 경험’이고 ‘현장경험’이며 ‘학습상황’ 이라고 설명한다.
동극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 즉 동극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극활동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해력을 증진시키며, 듣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논리적 사고를 도우며,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을 돕고, 사회적 가치에 대한 학습을 돕는다. 셋째, 협동심을 기르게 하며, 감정이입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넷째, 상상력을 풍부하게한다. 다섯째, 창의성을 발달시킨다.
이 중 동극이 상상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겠다. Piaget의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상징적 놀이와 모방은 둘 다 유아의 상상적인 생각을 구성하는 능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동극활동은 가작화 놀이에 상징적 놀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친숙한 모델의 역할 수행을 통하여 모방을 한다는 점에서 놀이와 모방의 두 요소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동극활동을 통하여 교사들은 유아들이 창의적인 사고와 즉흥적인 행동이나 대사를 하도록 유도하며, 어떤 대답은 꼭 옳은 것이고, 어떤 대답은 틀리는 것이라고 규정짓지 않는다. 동극활동 중 이러한 자유는 유아들의 창의성을 풍부하게 하기 때문이다.
4)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
유아들이 주로 하는 표현활동으로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등 모든 형상이나 형태를 만드는 것을 조형활동이라 한다. 유아들에게 조형활동은 자유로운 자기표현인 동시에 자연스런 하나의 놀이이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표현 방식이며, 이를 통해 상상력과 이해력을 함께 키울 수 있다. 또한 다양하고 즐거운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성장하게 되며 여러 가지 재료를 선택하고 창의적인 기법이 있음을 이해하게 되며 우리 일상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조형활동은 스스로의 표현에 따르는 경험 뿐 아니라 예술적 감각을 키우게 되며 무엇보다 유아들의 정서 발달, 사회성 발달, 지적 발달, 창의성 발달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조형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며, 유아는 여러 감각기관을 통해 주변의 여러 가지 형태를 조형활동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밖으로 재현하며 기억하기도 한다. 재현할 때의 흥미나 기억되고 있는 많은 상황들을 교육적으로 이끌어 좋은 바탕의 인간으로 유도하는 길이 곧 유아 조형활동 교육의 의도일 것이다. 연주호(1999)
조형활동은 모든 유아들이 좋아하는 본질적인 교육활동으로, 유아의 마음상태가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유아의 감각을 예민하게 하여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과 이해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유아의 학습접근 능력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형활동과 지적 발달과의 관계를 설명했다. Kellogg(1970)
유아들의 지적 발달은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는데서 볼 수 있고 조형활동에서는 유아가 표현할 수 있는 지적 기민성을 나타낸다. 일찍부터 손을 정교하고 유일하게 쓰며, 정확하게 쓰는 훈련을 하면 외부적인 손의 운동이 대뇌중추의 창조적 영역에 자극을 주어서 뇌의 활동이 자극을 받는다고 했고, 김재은(1998)
입체조형활동 중 특히 종이접기 조형활동은 두뇌발달에 아주 적합한 제재일 뿐만 아니라 상상력, 창의력, 주위집중력과 인내심을 길러준다고 하며, 염태진(1998)
Piaget(1964)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전조작기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손가락을 많이 자극하게 하면 인지 발달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이론과 일맥 상통한다. 종이접기는 자신의 조작활동에 따른 구체적인 피드백이 즉시 이어질 수 있으며 특별한 부가적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한 장의 종이로써 자신의 손만으로 의도하는 바 창작적 조작활동을 쉽게 해 낼 수 있다는 조작적 편리성을 장점으로 갖고 있다. 접어서 꾸미기나 만들기를 하여 조형활동을 하는 동안 두뇌와 손, 눈, 팔, 온몸 전체의 체험활동을 하므로 조형감각을 발달시켜서 창의력 계발을 할 수 있다. 김재은(2000)에 따르면 종이접기 조형활동은 손의 감각기능과 눈과 손의 협응력을 길러 줄뿐만 아니라 손가락 끝의 빠른 손놀림로 유아들의 뇌를 자극하여 시간, 공간적 인식의 종합적 개념이 형성되는 우뇌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5) 조형활동의 종이접기 놀이의 중요성
조형활동은 넓은 의미로 많은 재료를 매개로 한 창조적 활동으로 그리기, 꾸미기, 만들기, 조소, 조형놀이, 감상의 영역이 있다. 주변의 여러 가지 재료와 폐품을 활용하고 유아들의 흥미와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모양이나 틀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 표현하는 이 자체가 조형활동이다. 그리고 놀이의 연장으로서 표현하고 싶다는 의욕과 충동으로 순수한 인간의 본능적 자기표출의 수단으로서 표현될 때 순수 조형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연물과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한
추천자료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치료와지능의 관계
교육현장에서의 다중지능 활용방안
KISE KIT(한국형 개인지능검사)
감성지능의 이해
[아동발달] 아동기 인지발달 - 아동기 사고의 특성, 아동기의 주의와 기억발달, 인지양식, 지...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텔레비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운동발달, 지능발달, ...
[아동발달]아동기 정서발달 - 정서발달의 이해(정서유형과 정서표현, 정서발달과 공격성), 도...
[영유아 교수방법론]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다중지능 이론의 관점요약 및 시사점에 ...
[아동수학지도] 영유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들 중에 Brner의 정보처리이론과 Gardner의 인...
보육교사의 감성지능 5가지 요소를 서술.
[사범/법학] 유아의 지능발달에 도움이 되는 적합한 방안을 논하시오.
[아동兒童수학지도] Rruner의 정보처리 이론과 Gardner의 인지적 다원론(다중지능이론)의 특...
[비고스키 가드너] 비고스키(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과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