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원활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중요하고 정확하다. 시선을 피하던 대상자가 시선을 마주치면 관계시작을 의미하고 마찬가지로 팔을 뻗치거나 접촉도 관계를 하고자 함이다. 자세가 이완되어 있는 것은 그 당시 상대자와의 관계가 편하다는 뜻이며 얼굴을 찌푸리는 것도 의미가 있다. 간호사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수단을 이용하여 간호를 전할 수 있다. 대상자를 쳐다보면서 인사를 하는 것은 관심을 나타내는 것이고 부드러운 접촉은 위축되고 우울한 대상자에게 위로가 되고 적당한 거리를 두고 기대는 것은 대상자를 좋아한다는 의미가 된다. 언어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대상자라도 분명하지 않을 때가 많고 상징적인 의미가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잦다.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대화는 융통성이 없이 표현대로 이해하여 대답하지 않도록 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한다. 감정과 조화되지 않은 말을 할 때는 조용히 지적을 해주고 알아차리게 한다. 신어조작증, 반향언어, 보속증 등이 있는 대상자는 그대로 수용하고 말을 재촉하거나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여유있는 태도로 받아준다. 감정표현이 없거나 둔감한 대상자는 느낌은 있지만 표현을 할 줄 모르기 때문에 감정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사가 먼저 적합한 감정표현을 시범을 해 보여야 하고 항상 모범이 되어야 한다. 때로는 대상자의 이야기와 나타내고 있는 행동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이때는 ‘지금 이야기하고 계신 내용은 슬픈 일인데도 당신은 웃고 계시네요“ 등과 같이 지적을 해줌으로서 조화된 정서표현을 하도록 교정해준다.
4) 최적의 활동수준 유지
간호사는 먼저 대상자와 기본적 신뢰관계를 확립한 뒤에는 대상자의 사회적 활동을 조금씩 권장한다. 사소한 활동이라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칭찬을 하고 격려해 주어서 활동의욕과 동기를 자극하고 점차 활동량을 조금씩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처음부터 집단활동을 하는 것이 부담이 되어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초에는 간호사나 다른 대상자 2-3명이 함께 하는 활동을 하도록 하고 차차 소집단활동에서 다시 대집단활동에로 참여범위를 넓혀 나간다. 긴장형 정신분열병 흥분기에는 대상자의 흥분과 활동이 과도하므로 자극을 제거하고 안정하도록 도와준다. 진정이 쉽지 않을 때에는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하여 진정시킴으로써 탈진상태를 예방하고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대상자의 자해행위나 남을 해치는 행위, 탈출기도 등을 막기 위해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관찰을 철저히 한다. 행동이 붕괴되어 있는 대상자는 효율적, 목표지향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천천히 가르쳐주고 조용히 이끌어 준다. 특히 여러 가지 활동을 뒤죽박죽 섞어서 무엇부터 해야할 지 모르는 대상자는 먼저 한가지 활동만 하도록 집중시킨 뒤에 하나씩 차례로 지도한다. 회복기에는 활동량을 더 증가시키고 대상자 스스로 보다 독립적이고 적극적으로 결정을 하게 한다.
5) 망상과 환각 완화
망상이 있는 대상자와는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망상을 지지하고 강화하지 않도록 하고 대상자의 생각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고 대상자본인 외에는 누구도 그러한 생각을 믿지 않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망상을 촉진시키는 요인을 관찰하여 제거하거나 피하게 한다. 대상자의 망상대문에 자해가 일어나거나 타인에게 부상을 가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필요시 망상속의 대상인물을 파악하여 대상자로부터 가해행위나 오해가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알려주어 보호해 준다. 대상자가 환청을 나타낼 때에는 간호사 자신은 어떤 소리나 이야기도 듣지 못했고 실제로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증세가 심할 때에는 현실과 관계없이 귀에서 말소리가 들릴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대상자를 환자 조용히 두지 말고 현실적인 활동이나 오락 등에 참여시키고 장소를 바꾸어 주어서 환청을 예방할 수 있다.
6) 대상자가족의 이해와 개입 촉진
가족은 대상자의 치료과정, 차후의 치료계획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하고 대상자의 투약, 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교육을 실시하여 치료에 협조와 이해를 받아야 한다.
7) 지역사회와의 접촉 증진
대상자의 퇴원 후, 추후관리를 위해서도 지역사회와의 접촉은 매우 중요하다. 퇴원전에 지역사회의 보건소나 진료소를 대상자에게 소개하고 이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요원은 물론이고 비전문인, 지역의 지도자, 교사, 종교지도자 등의 도움을 받도록 접촉을 의뢰하고 알선해 준다.
4) 최적의 활동수준 유지
간호사는 먼저 대상자와 기본적 신뢰관계를 확립한 뒤에는 대상자의 사회적 활동을 조금씩 권장한다. 사소한 활동이라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칭찬을 하고 격려해 주어서 활동의욕과 동기를 자극하고 점차 활동량을 조금씩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처음부터 집단활동을 하는 것이 부담이 되어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초에는 간호사나 다른 대상자 2-3명이 함께 하는 활동을 하도록 하고 차차 소집단활동에서 다시 대집단활동에로 참여범위를 넓혀 나간다. 긴장형 정신분열병 흥분기에는 대상자의 흥분과 활동이 과도하므로 자극을 제거하고 안정하도록 도와준다. 진정이 쉽지 않을 때에는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하여 진정시킴으로써 탈진상태를 예방하고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대상자의 자해행위나 남을 해치는 행위, 탈출기도 등을 막기 위해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관찰을 철저히 한다. 행동이 붕괴되어 있는 대상자는 효율적, 목표지향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천천히 가르쳐주고 조용히 이끌어 준다. 특히 여러 가지 활동을 뒤죽박죽 섞어서 무엇부터 해야할 지 모르는 대상자는 먼저 한가지 활동만 하도록 집중시킨 뒤에 하나씩 차례로 지도한다. 회복기에는 활동량을 더 증가시키고 대상자 스스로 보다 독립적이고 적극적으로 결정을 하게 한다.
5) 망상과 환각 완화
망상이 있는 대상자와는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망상을 지지하고 강화하지 않도록 하고 대상자의 생각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고 대상자본인 외에는 누구도 그러한 생각을 믿지 않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망상을 촉진시키는 요인을 관찰하여 제거하거나 피하게 한다. 대상자의 망상대문에 자해가 일어나거나 타인에게 부상을 가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필요시 망상속의 대상인물을 파악하여 대상자로부터 가해행위나 오해가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알려주어 보호해 준다. 대상자가 환청을 나타낼 때에는 간호사 자신은 어떤 소리나 이야기도 듣지 못했고 실제로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증세가 심할 때에는 현실과 관계없이 귀에서 말소리가 들릴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대상자를 환자 조용히 두지 말고 현실적인 활동이나 오락 등에 참여시키고 장소를 바꾸어 주어서 환청을 예방할 수 있다.
6) 대상자가족의 이해와 개입 촉진
가족은 대상자의 치료과정, 차후의 치료계획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하고 대상자의 투약, 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교육을 실시하여 치료에 협조와 이해를 받아야 한다.
7) 지역사회와의 접촉 증진
대상자의 퇴원 후, 추후관리를 위해서도 지역사회와의 접촉은 매우 중요하다. 퇴원전에 지역사회의 보건소나 진료소를 대상자에게 소개하고 이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요원은 물론이고 비전문인, 지역의 지도자, 교사, 종교지도자 등의 도움을 받도록 접촉을 의뢰하고 알선해 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