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정보
2. 정신병력
3. 의학적 정보
4. 정신간호사정 도구
5. 약물 치료
6. 검사 결과
7. 치료
8.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정보
2. 정신병력
3. 의학적 정보
4. 정신간호사정 도구
5. 약물 치료
6. 검사 결과
7. 치료
8.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
A
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P
목표
대상자의 불안 정도가 5점 이하가 된다.
① 환자의 불안수준이 변화되는 시기를 파악한다.
② 불안정도를 측정한다.
③ 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활동을 참여한다.
④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물건을 제공한다.
⑤ 환자와 함께 있어 주고, 침착하고 일관성 있고 신뢰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⑥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감소시키도록 돕는다.
I
① 환자의 불안수준이 변화되는 시기를 파악하였다.
→ 환자의 불안수준 변화되는 시기 관찰결과 같은 병동을 사용하고 있는 환 자가 자주 욕설을 하고 화를 낼 때 불안함이 증가하고 ECT를 하는 날은 불안하고 예민해서 자주 짜증 내는 모습 보임
② 불안정도를 측정하였다. (1~10점)
→ 불안정도 측정결과 (2010/12/22 7점)
③ 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활동을 참여하였다.
→ 작업 및 오락요법에 참여하고 웃는 모습 관찰함
④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물건을 제공하였다.
→ 부모님께서 대상자가 좋아하는 곰인형, MP3을 가져오셔서 대상자가 기뻐 하고 즐거워 하는 모습 보임
⑤ 환자와 함께 있어 주고, 신뢰 있는 태도를 유지하였다.
→ 환자와 자주 대화를 나누면서 라포를 형성하고 고민사항도 듣고 같이 오 목, 알까기도 하면서 불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⑥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감소시키도록 도왔다.
→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인 같은 병실을 쓰는 환자를 다른 병동으 로 이실시키고 ECT를 잘 받을 수 있도록 오락활동을 하고 격려를 하였 다.
E
대상자 자주 웃으며 또래 환자들과 잘 어울리고 오락요법도 적극 참여함.
불안정도 측정결과(2010/12/29 5점)
#2 타해의 위험성
S
“ 이 할머니가 먼저 짜증나게 했어요.”
“ 야! 이 할매야~ 조용안해? 시끄러워 꺼져.”
O
· 사람을 쳐다볼 때 째려보면서 쳐다보고 공격적인 말투를 사용함
· 짜증나면 병실 문을 쾅 닫아버리고 소리를 지르는 증상보임
A
공격 행동과 관련된 타해의 위험성
P
목표
타해의 위험성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①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을 규명하여 감소시킨다.
②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한다.
③ 대상자가 비적응적인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시, 대상자의 진정을 위해 외적통 제방법을 적용한다.
④ 대상자의 안전을 유지하고 치료적 중재를 위해 대상자가 접근할 수 있는 모 든 영역을 계속적으로 감시한다.
⑤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 및 경청한다.
I
①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을 규명하여 감소시켰다.
→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은 같은 병실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여서 타 환자를 다른병실로 이실을 시킴.
②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하였다.
→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로 공책에 글을 쓰거나 대상자 가 좋아하는 음악듣기나 곰인형가지고 놀기를 통해서 감소를 시켰다.
③ 대상자가 비적응적인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시, 환자의 진정을 위해 외적통제 방법을 적용하였다.
→ 환자가 짜증을 내고 분노를 표현하였을 때 간호사 선생님께 말씀드려 아 티반, 페리돌을 주사하고 억제대를 시행하였다.
④ 대상자의 안전을 유지하고 치료적 중재를 위해 대상자가 접근 할 수 있는 모
든 영역을 계속적으로 감시하였다.
→ 대상자를 자주 관찰하면서 대상자와 사이가 안좋은 환자와 마주치지 않도
록 감시하고 만나면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다.
⑤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 및 경청하였다.
→ 대상자가 약간 분노의 증상을 보였을 때 병실로 데려가 무엇 때문에 그런
지 경청하고 기분이 풀릴 수 있도록 도왔다.
E
사람을 쳐다볼 때 째려 보는 증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많이 나아져서 상대 방을 똑바로 쳐다보고 말함.
짜증내고 화내는 증상이 남아 있지만 많이 줄어들고 자신의 불만을 감소시키 려는 행동을 스스로 찾아서 함.
사이가 좋지 않았던 환자를 찾아가 사과를 함.
#3 수 면 장 애
S
“ 자다가 자꾸 깨요.”
“ 귀에서 자꾸 누가 말을 해서 잠이 안와요.”
O
· 수면제 Po 복용 중 : 라제팜정
A
잦은 환청과 관련된 수면장애
P
목표
수면도입이 잘 이루어지고 이른 새벽 깨지 않는다.
① 수면양상(잠드는 시간, 수면 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 계속적으로
사정 한다.
②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파악한다.
③ 불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④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⑤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한다.
⑥ 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한다.
I
① 수면양상(잠드는 시간, 수면 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 계속적으로
사정하였다.
→ 사정결과 수면제를 복용한 경우는 7~8시간 수면을 취하나 복용하지 않을 시 4~5시간 수면을 취함.
②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환청, 타환자의 시비
③ 불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하였다.
→ 같은 병동을 사용하던 환자가 자꾸 시비를 걸었으나 타병실로 이실 시켜 원인을 감소시키고 환청이 들리는 것은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④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였다.
→ 침상을 깨끗이 정리하고 심리적 안정을 줘서 수면에 도움이 되게 도와주 었다.
⑤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 환청이 들릴 때 “그만.”이라고 소리치라고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⑥ 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하였다.
→ 라제팜을 경구 투여하였다.
E
아직까지 수면양상 불규칙적이고 자주 깬다고 했지만 전보다는 좋아졌다
고 말함.
Ⅳ. 참 고 문 헌
정신간호학(수문사)
최신 정신건강 간호학 각론(정담미디어)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퍼시픽북스 4th Edition)
간호진단과 간호중재(현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현문사)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정보
2. 정신병력
3. 의학적 정보
4. 정신간호사정 도구
5. 약물 치료
6. 검사 결과
7. 치료
8.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A
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P
목표
대상자의 불안 정도가 5점 이하가 된다.
① 환자의 불안수준이 변화되는 시기를 파악한다.
② 불안정도를 측정한다.
③ 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활동을 참여한다.
④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물건을 제공한다.
⑤ 환자와 함께 있어 주고, 침착하고 일관성 있고 신뢰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⑥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감소시키도록 돕는다.
I
① 환자의 불안수준이 변화되는 시기를 파악하였다.
→ 환자의 불안수준 변화되는 시기 관찰결과 같은 병동을 사용하고 있는 환 자가 자주 욕설을 하고 화를 낼 때 불안함이 증가하고 ECT를 하는 날은 불안하고 예민해서 자주 짜증 내는 모습 보임
② 불안정도를 측정하였다. (1~10점)
→ 불안정도 측정결과 (2010/12/22 7점)
③ 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활동을 참여하였다.
→ 작업 및 오락요법에 참여하고 웃는 모습 관찰함
④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물건을 제공하였다.
→ 부모님께서 대상자가 좋아하는 곰인형, MP3을 가져오셔서 대상자가 기뻐 하고 즐거워 하는 모습 보임
⑤ 환자와 함께 있어 주고, 신뢰 있는 태도를 유지하였다.
→ 환자와 자주 대화를 나누면서 라포를 형성하고 고민사항도 듣고 같이 오 목, 알까기도 하면서 불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⑥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감소시키도록 도왔다.
→ 환자가 불안을 촉진시키는 상황인 같은 병실을 쓰는 환자를 다른 병동으 로 이실시키고 ECT를 잘 받을 수 있도록 오락활동을 하고 격려를 하였 다.
E
대상자 자주 웃으며 또래 환자들과 잘 어울리고 오락요법도 적극 참여함.
불안정도 측정결과(2010/12/29 5점)
#2 타해의 위험성
S
“ 이 할머니가 먼저 짜증나게 했어요.”
“ 야! 이 할매야~ 조용안해? 시끄러워 꺼져.”
O
· 사람을 쳐다볼 때 째려보면서 쳐다보고 공격적인 말투를 사용함
· 짜증나면 병실 문을 쾅 닫아버리고 소리를 지르는 증상보임
A
공격 행동과 관련된 타해의 위험성
P
목표
타해의 위험성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①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을 규명하여 감소시킨다.
②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한다.
③ 대상자가 비적응적인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시, 대상자의 진정을 위해 외적통 제방법을 적용한다.
④ 대상자의 안전을 유지하고 치료적 중재를 위해 대상자가 접근할 수 있는 모 든 영역을 계속적으로 감시한다.
⑤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 및 경청한다.
I
①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을 규명하여 감소시켰다.
→ 대상자가 겪고 있는 분노의 근원은 같은 병실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여서 타 환자를 다른병실로 이실을 시킴.
②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를 제공하였다.
→ 분노나 긴장을 표현하기 위한 신체적 출구로 공책에 글을 쓰거나 대상자 가 좋아하는 음악듣기나 곰인형가지고 놀기를 통해서 감소를 시켰다.
③ 대상자가 비적응적인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시, 환자의 진정을 위해 외적통제 방법을 적용하였다.
→ 환자가 짜증을 내고 분노를 표현하였을 때 간호사 선생님께 말씀드려 아 티반, 페리돌을 주사하고 억제대를 시행하였다.
④ 대상자의 안전을 유지하고 치료적 중재를 위해 대상자가 접근 할 수 있는 모
든 영역을 계속적으로 감시하였다.
→ 대상자를 자주 관찰하면서 대상자와 사이가 안좋은 환자와 마주치지 않도
록 감시하고 만나면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다.
⑤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 및 경청하였다.
→ 대상자가 약간 분노의 증상을 보였을 때 병실로 데려가 무엇 때문에 그런
지 경청하고 기분이 풀릴 수 있도록 도왔다.
E
사람을 쳐다볼 때 째려 보는 증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많이 나아져서 상대 방을 똑바로 쳐다보고 말함.
짜증내고 화내는 증상이 남아 있지만 많이 줄어들고 자신의 불만을 감소시키 려는 행동을 스스로 찾아서 함.
사이가 좋지 않았던 환자를 찾아가 사과를 함.
#3 수 면 장 애
S
“ 자다가 자꾸 깨요.”
“ 귀에서 자꾸 누가 말을 해서 잠이 안와요.”
O
· 수면제 Po 복용 중 : 라제팜정
A
잦은 환청과 관련된 수면장애
P
목표
수면도입이 잘 이루어지고 이른 새벽 깨지 않는다.
① 수면양상(잠드는 시간, 수면 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 계속적으로
사정 한다.
②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파악한다.
③ 불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④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⑤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한다.
⑥ 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한다.
I
① 수면양상(잠드는 시간, 수면 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 계속적으로
사정하였다.
→ 사정결과 수면제를 복용한 경우는 7~8시간 수면을 취하나 복용하지 않을 시 4~5시간 수면을 취함.
②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환청, 타환자의 시비
③ 불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하였다.
→ 같은 병동을 사용하던 환자가 자꾸 시비를 걸었으나 타병실로 이실 시켜 원인을 감소시키고 환청이 들리는 것은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④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였다.
→ 침상을 깨끗이 정리하고 심리적 안정을 줘서 수면에 도움이 되게 도와주 었다.
⑤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 환청이 들릴 때 “그만.”이라고 소리치라고 사고중지기법을 교육하였다.
⑥ 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하였다.
→ 라제팜을 경구 투여하였다.
E
아직까지 수면양상 불규칙적이고 자주 깬다고 했지만 전보다는 좋아졌다
고 말함.
Ⅳ. 참 고 문 헌
정신간호학(수문사)
최신 정신건강 간호학 각론(정담미디어)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퍼시픽북스 4th Edition)
간호진단과 간호중재(현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현문사)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정보
2. 정신병력
3. 의학적 정보
4. 정신간호사정 도구
5. 약물 치료
6. 검사 결과
7. 치료
8.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추천자료
정신분열병 case study
정신간호 간호사정
정신간호과정
산업발전 속 직업병과 정신질환에 대하여
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
정신분열병 case study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뷰티풀마인드와 정신분열증- DSM진단에 따른 분석
Schizophrenia(정신분열증,정신분열병) CASE STUDY
정신과 망상형(paranoid Schizophrenia) 정신분열증 환자 약물 및 관찰일지
정신간호케이스-정신분열병(SPR)
(A+평가 레포트)정신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 필요성 및 봉사활동 영역
[정신장애인(정신분열)-영화 분석]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를 보고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문제해결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