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에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핵에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결핵의정의
2. 결핵의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유발요인
6. 진단
7. 결핵치료의 경과와 예후
8. 간호중재
9. 환자관리
10. 결론

본문내용

길어짐에 따라 80세 이상의 노인이 많아지는데 노령이 되면 몸의 면역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당뇨나 신부전증 등 결핵의 발병이나 재발을 도울 수 있는 상태가 많아지므로 재발할 확률이 증가한다.
② 내성 : 결핵균이 일부 혹은 전체 약제에 내성균주이거나 투약 중 내성을 획득하는 수가 있는데, 약제에 내성이 생겼을 경우에는 대부분 1-2가지 약제에 대해서만 생기므로 이런 경우는 약제 변경을 하여 2차 치료를 한다.
③ 다제내성균주일 경우 : 다제내성균임이 확인되면 수술까지 받아야 하는 경우가 일반 폐결핵 보다 더 많지만 치료를 잘 받으면 85% 이상에서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재발 가능성은 일반 폐결핵보다 2~3배 증가한다.
2) 소아에서 처음 감염된 결핵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소아에서 결핵이 걸린 경우는 일부에서 전신성 결핵(속립성 결핵), 결핵성 뇌막염 등이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 저절로 치유되고 균이 체내에 잠복 상태로 계속 있게 된다. 소아 결핵 당시 미리 진단을 하고 결핵약 복용을 하면 전신성 결핵이나 뇌막염이 생길 확률은 거의 없어지고, 성인이 되어 재발할 가능성도 줄어든다.
3) 성인이 결핵균에 신규 감염되거나, 내재균 재활성화로 폐결핵이 발생한 경우
① 활동성 폐결핵이 발병한 경우 : 치료를 하지 않으면 5년 후 50% 정도는 결핵 때문에 사망에 이르게 되고 20% 정도는 낫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② 비활동성 폐결핵인 경우 : 20~30%는 치료를 하지 않아도 저절로 나을수도 있지만 흉터나 폐 파괴를 많이 남겨서 기능 장애나 기침, 호흡곤란 등 증상이 많이 남을 가능성이 있으며, 적절한 결핵 치료를 받은 사람들보다 추후에 재발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특히 결핵성 흉막염(늑막염)은 일단 저절로 낫는 확률이 매우 높아서 거의 대부분 비활동성 상태가 되지만 5년 이내에 치료를 요하는 활동성 폐결핵이 생길 확률이 50~70%이다. 그리고 저절로 치유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핵성 농흉이 발병할 수 있다.
8. 간호중재
1) 화학요법
⑴ 항결핵제의 종류
항결핵제(antituberculosis drugs)는 1, 2차 약물로 구분한다. 1차 항결핵제는 INH, REP, SM, PZA, EMB, TB1, PAS가 포함되고, 2차 항결핵제는 ETH, CS, KM, CPM, VM 등이다. 2차 항결핵제는 결핵균이 1차 항결핵제에 대한 내성이 생겼을 때, 1차 항결핵제에 대한 독성이나 알레르기가 생겼을 때, 재치료시에 사용한다.
① Isoniazid(INH)
INH는 매일 300~400mg, 공복시 1회 구강투여하고 살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말초신경염, 간염, 정신장애가 있고, 간염 발생율은 연령에 비례한다. 간헐요법 등 대량 투여시에만 pyridoxine이 필요하고 다량의 pyridoxine은 오히려 INH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② Rifampicin(REP, REP)
REP는 매일 450~600mg, 1회 구강투여하고 살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간독성, 위장장애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용혈성 빈혈, 신기능부전증, 감기같은 증상이 있다. steroid, digitalis, 항응고제, 경구피임약, 혈당강하제, 진통제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③ Streptomycin(SM)
SM은 1일 0.75~1.0mg, 주 2~3회 또는 매일 근육주사하며 살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제8뇌신경장애(정전신경장애가 청신경 장애보다 많다), 신독성, 과민반응이 있다. 임신부, 노인, 중증 근무력증 환자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 청력검사, BUN, creatinine 검사가 필요하다.
④ Pyrazinamide(PZA)
PZA는 1.5~2.0mg을 2~3회 분할하여 구강투여하고 살균작용이 있다. 특히 산성의 거식세포 내 결핵균에 효과적이다(건락병소가 산성이다). 부작용으로 고요산혈증에 의한 관절통, 간독성, 감광성(photosensitivity)에 의해 일광노출 부위의 피부가 검게 된다. 요산,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⑤ Ethambutol(EMB)
EMB는 1일 800~1000mg, 1회 구강투여하고 정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시신경염, 시신경염이 생기면 중심압점이나 적녹색맹이 나타난다. 이 약물은 소아에게 사용할 수 없고, 신부전 환자는 감량이 필요하다. 색맹검사, 시력검사가 필요하다.
⑥ Para-aminosalicylic acid(PAS)
PAS는 1일 10~15mg을 3회 분할하여 구강투여하고 정균작용, REP의 흡수를 방해한다. 부작용으로 위장장애, 간염, 과민반응, 갑상선 기능저하, 갑상선종이 있다.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⑦ Ethionamide(ETA, ETH), Prothionamide(PTA, PTH)
ETA, PTA는 1일 500~1000mg을 분할하여 구강투여하고 정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위장장애, 현기증, 간독성이 있고 가끔 여성형 유방, 탈모, 경련이 올 수 있다. 임신부는 금기증이고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⑧ Thiacetazone(Tb1)
Tb1은 1일 150mg 이상 구강투여 할 경우에 부작용이 심하여(특히 동양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값이 싸고 정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위장장애, 간독성, 현기증, 과민반응이 있다. SGOT, SGPT 검사가 필요하다.
⑨ Cycloserine(CS)
CS는 1일 500~700mg을 분할하여 구강투여하고 정균작용이 있다. 부작용으로 정신장애, 언어장애, 현기증이 있다. 정신병, 간질환자는 금기증이다.
⑵ 항결핵제의 투여방법
▶초기치료
① 장기적인 매일 화학요법
12~18개월 동안 투약하는데, 4가지 중 1가지를 선택한다. 즉 1) INH, PAS, SM, 2) INH, SM, EMB, 3) INH, SM, Tb, 4) INH, REP, SM 또는 EMB
② 간헐요법
간헐요법은 직접 감독 하에 2~3개월 동안 초기 집중치료한 후에 주 2회 간헐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③ 단기요법
단기요법은 6~9개월 동안 투약하고 REP를 포함하는 3~4종의 살균제제를 병용하는 것을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