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사상
Ⅲ.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철학
Ⅳ. 미셀푸코(미셸푸코)의 명제와 언표
Ⅴ.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이성과 광기의 이분법
Ⅵ. 결론
참고문헌
Ⅱ.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사상
Ⅲ.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철학
Ⅳ. 미셀푸코(미셸푸코)의 명제와 언표
Ⅴ. 미셀푸코(미셸푸코)의 이성과 광기의 이분법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자신\'이자 스스로에게 내재된 \'타인의 이미지\'임을 아래와 같이 지적하고 있다.
Ⅵ. 결론
미셜 푸코는 1894년 6월 25일 파리의 살페 트리에르 병원에서 죽었다. 세상에 막 알려지기 시작한 에이즈병이 이 위대한 철학자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사실, 푸코의 죽음을 단순히 철학자의 죽음이라고만 말하는 것은 뭔가 미진한 니낌을 주듯.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은 예컨대 마르틴 하이데거나 장 피아제의 죽음과는 다르다.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영향이나 심리학에 대한 피아제의 영향이 푸코나 사르트르가 20세기 지성사에 끼친 영향보다 작아서가 아니다.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은 또 예컨대 그들 역시 한 시대를 풍미한 슈퍼스타였던 로만 야곱슨이나 롤랑 바르트의 죽음과도 다르다. 야곱슨이나 바르트의 죽음은 그저 두 사람의 죽음이다. 바로 그 점이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을 특별하게 만든다.
푸코나 사르트르는 단지 그 직업이 \'철학하는 것\'이었던 사람은 아니었다. 요컨대 그들은 지식인이었고, 참여적 지식인, 전투적 지식인이었다. 바로 그 점이 이념적으로는 서로 거의 적대적으로까지 보였던 이 두 사람의 공통점이다. 푸코가 죽은 직후 피에르 부르디외는 <르몽드>에 기고한 추모사에서 \"푸코는 진리와 정의의 주인으로서 발언하는 \'보편적 지식인\'이 되려는 야심과 결별하고, 권려고가 특권의 진리를 발견하는데 만족하는 \'특정적 지식인\'상을 만들어냈다\"고 썼다. 푸코 자신이 생전에 사용했던 \'보편적 지식인\'과 \'특정적 지식인\'이라는 말을 다시 환기시킴으로써 부르디외는 예컨대 사르트르와 푸코가 얼마나 다른지를 표현하고자했던 것이지만, \'보편적 지식인\' 사르트르와 \'특정적 지식인\' 푸코는 소외되고 핍박받는 사람들에 대한 원조라는 동일한 목표를 위해서 거리와 광장에서 서로 어깨를 걸었다. 미셜 푸코(1926년 푸아티에-1984년 파리)의 연보는 고 김현 교수의 탁원한 푸코연구서 <시칠리아의 암소>(문학과 지성사) 앞부분에 실린 것이 자세하다. 푸코를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것은 1961년 출간한 <광기와 착란,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의 역사>다. 그러나 푸코는 그가 무명의 청년기에 번역한 스위스 심리치료사 루드비히 빈스방어의 <꿈과 실존>에 붙인 역자 서문이나, 1954년 <마음의 병과 인격>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가 이를 증보해 62년에 <마음의 병과 심리학>이라고 개제 출판한 첫 저서에서 이미 기존의 정신분석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광기의 문제를 자신의 중심주제 가운데 하나로 삼고 있었다,
참고문헌
- 미셀 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 제 1권 앎의 의지, 나남신서, 1992
- 박정자 역, 리디아 앨릭스 필링햄, 미셸 푸코 (만화로 읽는 삶과 철학), 국제출판, 1995
- 이광래, 미셀푸코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 민음사, 1992
- 이구표, 미셸 푸코-근대적 권력에 관한 극한적 상상력, 이론 제 14호, 1996
- 푸코(M, Foucault),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 2000
- 한상진·오생근 외, 미셸 푸코론, 한울, 1994
Ⅵ. 결론
미셜 푸코는 1894년 6월 25일 파리의 살페 트리에르 병원에서 죽었다. 세상에 막 알려지기 시작한 에이즈병이 이 위대한 철학자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사실, 푸코의 죽음을 단순히 철학자의 죽음이라고만 말하는 것은 뭔가 미진한 니낌을 주듯.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은 예컨대 마르틴 하이데거나 장 피아제의 죽음과는 다르다.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영향이나 심리학에 대한 피아제의 영향이 푸코나 사르트르가 20세기 지성사에 끼친 영향보다 작아서가 아니다.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은 또 예컨대 그들 역시 한 시대를 풍미한 슈퍼스타였던 로만 야곱슨이나 롤랑 바르트의 죽음과도 다르다. 야곱슨이나 바르트의 죽음은 그저 두 사람의 죽음이다. 바로 그 점이 푸코나 사르트르의 죽음을 특별하게 만든다.
푸코나 사르트르는 단지 그 직업이 \'철학하는 것\'이었던 사람은 아니었다. 요컨대 그들은 지식인이었고, 참여적 지식인, 전투적 지식인이었다. 바로 그 점이 이념적으로는 서로 거의 적대적으로까지 보였던 이 두 사람의 공통점이다. 푸코가 죽은 직후 피에르 부르디외는 <르몽드>에 기고한 추모사에서 \"푸코는 진리와 정의의 주인으로서 발언하는 \'보편적 지식인\'이 되려는 야심과 결별하고, 권려고가 특권의 진리를 발견하는데 만족하는 \'특정적 지식인\'상을 만들어냈다\"고 썼다. 푸코 자신이 생전에 사용했던 \'보편적 지식인\'과 \'특정적 지식인\'이라는 말을 다시 환기시킴으로써 부르디외는 예컨대 사르트르와 푸코가 얼마나 다른지를 표현하고자했던 것이지만, \'보편적 지식인\' 사르트르와 \'특정적 지식인\' 푸코는 소외되고 핍박받는 사람들에 대한 원조라는 동일한 목표를 위해서 거리와 광장에서 서로 어깨를 걸었다. 미셜 푸코(1926년 푸아티에-1984년 파리)의 연보는 고 김현 교수의 탁원한 푸코연구서 <시칠리아의 암소>(문학과 지성사) 앞부분에 실린 것이 자세하다. 푸코를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것은 1961년 출간한 <광기와 착란,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의 역사>다. 그러나 푸코는 그가 무명의 청년기에 번역한 스위스 심리치료사 루드비히 빈스방어의 <꿈과 실존>에 붙인 역자 서문이나, 1954년 <마음의 병과 인격>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가 이를 증보해 62년에 <마음의 병과 심리학>이라고 개제 출판한 첫 저서에서 이미 기존의 정신분석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광기의 문제를 자신의 중심주제 가운데 하나로 삼고 있었다,
참고문헌
- 미셀 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 제 1권 앎의 의지, 나남신서, 1992
- 박정자 역, 리디아 앨릭스 필링햄, 미셸 푸코 (만화로 읽는 삶과 철학), 국제출판, 1995
- 이광래, 미셀푸코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 민음사, 1992
- 이구표, 미셸 푸코-근대적 권력에 관한 극한적 상상력, 이론 제 14호, 1996
- 푸코(M, Foucault),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 2000
- 한상진·오생근 외, 미셸 푸코론, 한울, 1994
추천자료
권력에 대한 앎의 의지 -미셸푸코의 성의 역사 1를 읽고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사회학개론, 사회학자, 철학, 인물소개, 발자취)
[독서감상문]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서평]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독서감상문]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독서 감상문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서평]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독후감]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독후감/서평]
현대의서양문화=18세기 계몽주의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푸코, 하버마스의 입장을 ...
(현대의서양문화4A) 18세기 계몽주의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푸코, 하버마스의 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