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법과 대상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칭법과 대상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칭법

대상법

본문내용

(法 3:196)
성을 만들다.
나흔 아 (月印 10:16)
아들을 낳다.
☆론←+오+ㄴ, 나흔←낳+오+ㄴ
셋째, 맺음-씨끝 「-ㅁ, -」따위는 반드시 {오/우}를 수반한다.
골폼과 목 롬과 … (月印 2:42)
배 고픔과 목 마름과
☆골폼←골+오+ㅁ, 롬←+오+ㅁ
2.위에서 첫째의 경우는 문제로 등장되지 않고, 셋째의 경우도, 「-ㅁ」이나 「-」에 필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특별한 의의를 가지는 것 같지 않으니, 결국은 둘째의 용법을 설명하게 되는 것이다.
3.이 안맺음-씨끝은 앞 형태소의 끝소리에 따라 여러 가지로 그 꼴이 바뀐다.(「-ㅁ」과 「-」의 경우에는 반드시 연결된다)
닿소리 밑에서는 「-오」(밝은 홀소리 다음)나 「-우-」(어두운 홀소리 다음)가 쓰인다.
아롬(←알+오+ㅁ)
홀소리가 앞설 때는, 홀소리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복잡한 현상이 일어난다.
/,으/+{오/우}: 이 경우에는 {오/우}는 변하지 않으나, 앞의 /,으/가 줄어진다.
홈(←+오+ㅁ)
다만 「-」에 연결될 때는 //가 줄어지지 않고, 「-오-」가 「-요-」로 바뀌는 수도 있다.
/이/+{오/우}: 이 경우에는 이 두 소리가 한 음절의 겹홀소리 (요,유)로 축약된다.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9.1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