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뒤샹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르셀 뒤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원에서 보는 반예술이론으로 나타난다. 반예술이론 : 예술 자체에 대한 반성과 그 토대에 대한 공격에서 발생한 반예술학적 경향은 마르셀 뒤샹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뒤샹은 초기에 큐비즘의 영향을 받은 작품활동을 했으나 기성품과 발견된 오브제 found object를 이용한 창작으로 그의 ‘반예술적’경향을 확립했다.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현실문화연구 p39
그리고 모든 것이 부정된 이상 모든 것을 소유할 수도 있다는 역설적 논리를 지닌다.
반예술이란 예술을 위한 예술의 개념을 부정하고 궁극적으로 자기 인식에 도달하려는 수단이었다. 다다는 고정관념 의식을 배제 시킴으로써 새로운 예술 세계의 길을 넓혔고, 오브제의 도입으로 사물에 대한 선입견을 버림과 동시에 사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가져오게 했다.
예술을 비롯해 반예술의 시도로는 기존의 재료나 형식에 얽매임 없는 표현과 사물에 대한 고정 관념을 해방시키려는 널리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회화나 조작의 관념을 바꿀 수 있었던 것 역시 종래의 회화개념을 떠나 조형상의 자유를 추구했기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2)뒤샹의 다다 형성배경과 부정정신
다다의 정신인 거부와 반항으로 보건데 뒤샹은 타고난 다다이스트였다. 그의 부정정신은 그가 예술가로서 출발하는 생애의 최초부터 나타나고 있다.
그는 1902년 15세 당시 가장 전위적인 경향인 인상파로부터회화를 시작한다. 작가로서 뒤샹의 연대기는 크게 보아 최초의 유화인<블랭빌 풍경>이 그려진 1902년부터 <신부>가 그려진 1912년까지의 전통적인 의미의 화가시대, 그리고 최초의 레디메이드가 탄생한 1913년부터 를 미완성인 채 끝낸 1923년까지의 레디메이드 및 의 시대, 그리고 1923년이후의 예술포기의 시대로 나눌 수 있다.
블랭빌풍경
61*50㎝
유화.
1902년
그는 <신부>가 회화 기술상의 정점에 도달하고 있음을 누구보다도 먼저 깨닫고 있었다. 그리고 결국 이런 방향에서는 더 이상 발전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즉 이런한 전통적 의미의 유화로는 그의 지적사고의 발전단계를 담을 수 없다고 느낀 것이다. 그리고 발전이 쇠진된 상태에서 남은 것은 양식화와 예술상의 묘기와 반복의 유혹일 뿐이라는 것은 깨달은 것이다. 입체파와
의 결별은 우선 <계단을 내려가는 누드>가 1912년 앙데팡당 전에서 거부됨
을 계기로 입체주의자들의 모임의 이념에 동조하지 못하고 떠나면서 시작되었
다. 그 이후 표면적으로 보이는 것은 입체주의라고 볼 수 있으나 그내면세계는 이미 관념의 실현을 나타내는 작품을 그리기도 하였다.
계단을 내려가는 누드2
147.5*89㎝
유화.
1912년
이렇게 확고하게 회화에서 손을 뗀 후 아모리 쇼(Armory Show)에서의 대성공이 그에게 <계단을 내려가는 누드>류의 그림을 계속하면 수만 달러를 주겠다는 유혹을 받도록 만들었으나 그는 ‘같은 것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말로 그것을 거절한다. 그가 회화와 결별하고 나아간 세계는 알려진 바대로 반예술의 세계, 바로레디메이드로써 대변되고 있다. 김용익,<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석사논문,1980) pp.1-3
스위니와의 대화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회화를 물질적 관념에서 보는 태도를 배격한다. 나는 관념을 회화 쪽에서 재창조하는 쪽에 훨씬 더 흥미를 갖고 있다. 나에게는 제목이 매우 중요하다. 나는 내가 회화를 목적에 종식시키기 위해 회화의 물리적 요소를 중요시하는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나는 단순히 망막적, 시작적 그림보다 관념에 흥미가 있기 때문에 회화를 관념에 종속시키 고 싶은 것이다. 나는 회화를 다시 한번 정신에 봉사하는 것으로 하 고 싶다. 그러자 나의 회화는 즉각적으로 지적이고 문학적으로 간주되 었다. 나는 망막에만 호소하는 물리적 회화가 주는 만족과 매력으로부 터 될 수 있는 한 나를 멀리하려고 노력했다. 그 노력의 극단적인 결과가 문학으로 나타난 것이다.\"Michel Sanouillet & Elmer Peterson, The Essencial Wrightings of Marcel Duchamp(London : Thames @Hudson, 1975), p.125
이 발언은 뒤샹 미술의 행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발언으로써 뒤샹 자신이 표현했던바 그의 모든 작업은 레디메이드가 그렇고 , 그의 유작이 그렇듯 ‘지적개념과 시각개념의 결혼’ 즉 지적개념의 시각화인 것이다.
그가 입체주의를 버리게 된 것은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2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