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과 물리적 환경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타;호스, 비누, 비닐앞치마, 붓, 분무기, 물통, 모형 물고기 등
▷모래놀이 자료
구성하기 : 양동이, 흙손, 크기와 길이가 다양한 PVC 파이프, 비닐 호스, 나무토막, 블록, 운반차, 사람이나 동물 모형 등
탐색하기; 확대경, 자석, 물뿌리개, 체, 톱밥 등
측정하기: 여러 가지 크기의 삽, 그릇, 숟가락, 깔대기 그릇 등
조용한 놀이영역
실외 놀이영역에서는 소음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고 그 활동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동적인 활동과 균형을 이루게 하며 움직임이 많은 영역과 떨어지게 하는 것이 좋다.
조용한 영역에 비치되는 자료
화판, 물감, 붓, 크레파스, 종이, 비닐 앞치마
퍼즐
그림책
구슬이나 끈 꿰기
녹음기, 테이프
자연관찰영역(동. 식물 기르기 영역)
실외놀이의 교육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자연을 가까이 접하는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씨를 뿌리거나 모종을 하고 식물이 자라나는 것을 보는 것, 곤충이 찾아와 곤충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 등)은 어떠한 실내 활동으로도 대치될 수 없으며, 특히 현대의 도시 어린이들에 대해서는 그 교육적의의가 한층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대근육활동영역
대근육활동영역
대근육활동영역
물·모래놀이영역
물·모래놀이영역
조용한놀이영역
조용한놀이영역
자연관찰영역
자연관찰영역
자연관찰영역
실외 놀이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놀이 활동
그룹게임
그룹게임의 가치
게임과 놀이는 즐거움이 있는 지적, 신체적 활동이란 점에서 같은 의미로 혼용해서 쓰이나 게임은 집단 구성원, 일정한 규칙, 승부욕을 가진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또한 놀이가 게임보다 더 포괄적이며 게임을 놀이의 일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Piaget는 유아의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놀이 양상도 연습놀이 단계, 상징놀이 단계, 규칙있는 게임단계로 발전된다고 주장하였다. 유아를 인지 발달이 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로 전환되면서 놀이의 양상에는 새로운 차원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공기놀이를 하는 경우, 2세 이전의 유아들은 공깃돌을 굴리고, 컵에 담거나 흔들어보는 기능놀이(연습놀이)를 주로 한다. 그러나 3세경이 되면 공깃돌을 다양한 패턴으로 나열하거나 모래 케이크 윗부분을 장식하는 데 사용하며, 4세경에는 공깃돌을 계란으로 가상하여 사회극놀이를 한다. 그리고 6세경이 되면 공깃돌로 목표물 안에 던져서 집어넣는 게임을 즐길 수 있디.(이숙재, 1994)
Piaget의 이론을 배경으로 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 중 Kamii와 DeVries에 의해 제시된 구성주의 교육프로그램에서는 규칙 있는 게임을 집단게임(group game)으로 이름하여 사회, 도덕적, 지적, 그리고 인성적 발달의 일반적 목표와 부합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구성주의자들의 사회, 도덕적 목표는 유아로 하여금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율적인 의무감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써 성인으로부터 요구되는 타율적인 태도를 완화하는 것이다. 즉 유아 스스로가 자율성을 연습하는 경험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집단 게임의 의미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보았다.
첫째, 유아들이 스스로 규칙을 만들어 보고 그 규칙을 지켜가는 과정에서 지적 자율성과 도덕적 자율성을 기르게 된다.
둘째, 유아는 타인의 관점을 인식하고 어떻게 하면이길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기회를 갖게 되며 역할이행(role taking)과 탈 중심화 (decentration)를 연습하게 된다.
셋째, 그룹 게임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고 질서를 지키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언어적으로 표현해보는 경험을 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 언어 발달이 이루어진다.
넷째, 게임 내용에 포함된 수, 공간, 위치, 속도, 거리, 색깔, 모양 등 각종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물리적 특성과 논리적 사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인지발달을 돕는다.
다섯째, 자율적으로 규칙을 지킴으로써 사회생활에 필요한 준법정신을 기르게 된다.
따라서 그룹게임의 가치는 새로운 규칙을 경험하게 하고 지적, 도덕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 등의 전반적인 유아의 발달을 형성시켜 나가는 데 있고, 유아의 자율성을 높이는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유아들에게 알맞은 그룹 게임을 선택하도록 기회를 마련해 주고 그룹 게임의 상황에 적절한 준비된 환경을 제공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정진성원경, 1994).
그룹게임의 종류
여러 가지 그룹 게임은 ‘놀이자가 무엇을 하는가’에 따라 여덟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이 경우반운경,1992).
목적물 맞추기 게임 (Aiming Games)
놀이자는 어떤 물체를 표적으로 정하고 이를 맞추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지각과 운동 능력과의 협응력, 공간의 관계 이해,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게임의 예로는 핀 떨어뜨리기, 구슬치기, 팥주머니 던지기, 고리던지기, 비석치기 등이 있다.
경주 게임 (Races)
대근육의 발달, 협동하기, 서열, 분류, 1:1 대응, 언어 발달, 생각을 교환하는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다리 묶고 달리기, 의자 차지하기, 스푼으로 나르기, 팥주머니 이고 돌아오기, 연날리기 등 이 그 예이다.
쫓기 게임 (Chasing Games)
쫓기 게임은 보충적 역할 놀이로서 한 유아는 다른 유아를 잡으려고 하고 그 유아는 잡히려고 피하는 종류의 게임이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공간 개념, 언어 발달 등의 가치를 지닌다. 게임의 예로는 색깔 찾기,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고양이와 쥐, 수건돌리기 등이다.
숨기기 게임 (Hiding Games)
물체를 숨기는 유아가, 술래가 찾아낼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장소에 물체를 숨기는 놀이이다. 공간의 크고 작은 관계를 이해하고 자기 신체 조정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탈 중심화에도 도움이 된다. 게임의 예로는 숨바꼭질, 보물찾기, 방안의 물건 찾기 등이다.
알아맞히기 게임 (Guessing Games)
상상력, 추리력을 발달시키며 주의 집중력과 적절한 어휘로 말하는 능력, 사물의 명칭을 이해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게임으로는 스무고개, 열 고개, 비밀 주머니, 듣고 알아맞히기, 부분만 보고 알아맞히기, 만져보고 알아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10.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