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연암 박지원의 시대적 배경
Ⅲ. 연암 박지원의 특징
1.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2. 새로운 인간형 제시
3. 인간성의 긍정과 평등사상
Ⅳ. 연암 박지원의 사상
1. 寫實 主義(사실 주의)
2. 獨創性(독창성), 自主性(자주성)
3. 諷刺性(풍자성), 滑稽性(골계성)
Ⅴ. 연암 박지원의 실학파 문학
Ⅵ. 연암 박지원의 소설
1. 양반전
2. 허생
3. 열하일기
1) 허생전
2) 호질
4. 마장전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연암 박지원의 시대적 배경
Ⅲ. 연암 박지원의 특징
1.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2. 새로운 인간형 제시
3. 인간성의 긍정과 평등사상
Ⅳ. 연암 박지원의 사상
1. 寫實 主義(사실 주의)
2. 獨創性(독창성), 自主性(자주성)
3. 諷刺性(풍자성), 滑稽性(골계성)
Ⅴ. 연암 박지원의 실학파 문학
Ⅵ. 연암 박지원의 소설
1. 양반전
2. 허생
3. 열하일기
1) 허생전
2) 호질
4. 마장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취를 감춘다.
2) 호질
이 작품은 당세에 횡행하던 유구, 위학배들의 양두구육의 허식과 인면수심의 언행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암은 범이란 산중의 왕인데 슬기롭고 문무를 겸하여 용맹스럽고 자비로운 천하무적의 장사이다 라고 말해 북학파를 그 유의로 삼고, 정지읍에 부설환지사가 있었는데 이름을 북곽선생이라 하고 나이 40에 늘 책만 읽고 구경을 풀고 저서가 1만 5천이나 있어 천자가 다 가상하는 바요, 제후가 모두 그 이름을 경모하는 존재라 하여 유구의 한 전형을 설정한다. 이어서 의사란 놈은 의라 잘 알지도 못하면서 시험 삼아 한 해에 사람 수만을 죽이니, 그 맛이 신통하지 않고, 무당은 무라 간사하게 속여서 혹세무민으로 한 해에 사람 수만을 죽이니, 그 맛 역시 독하고, 유자의 고기는 비록 석덕으로 오미가 구존되어 있다하나, 오행, 육기가 다 들어 있으니 그 맛이 잡되고 불순하다하여 실리를 거두지 않는 당대의 사회상을 전반적으로 비판한다. 또 그 읍 동쪽에 동리자라는 명문 과부가 있었는데 수절 잘했다 하여 나라에서는 동리자라는 칭호를 주었지만, 알고 보면 이 수절 잘했다는 과부에게는 각성의 아들이 다섯이나 있었으니 규중심처의 비밀을 누가 아는 사람이 있겠는가라고 해서 위선과 기세가 극에 달한 사회상을 꼬집었다.
호질이 표면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대상은 북곽선생을 전형으로 하는 유구를 중심으로 하는 당대의 기세적 인물군상이지만, 기실 그 내면을 살펴보면 조선조가 구축한 주자학 중심의 이념형 국가체제의 불실성 내지는 시대 부적합성을 적시하고자 하는 것이 작가의 주된 의도임을 알 수 있다. 조선조의 몰락을 예견하는 연암의 식견이 탁월하게 드러난 작품이라 할 것이다.
4. 마장전
이 작품은 네 가지 삽화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는 말 거간꾼들이 관중이나 소진과 같은 유명 재사들을 희롱하는 것이요, 둘째는 첩의 생태와 생활을 묘사하면서 인간의 간사함과 부선을 꼬집는 것이요, 셋째는 미치광이 3인을 등장시켜 교우와 관련된 세상인심을 풍자하는 것이요, 넷째는 골계선생의 <우정론>을 들어 교우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다.
마·전의 요체는 세상풍정을 해학적으로 묘사하는 데 있어서 시점을 사회의 최하층계급에 두고 서술을 진행한다는 데 있다. 이는 시점의 이데올로기적 층위라는 측면에서 볼 때 작가의 평가적 관점이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지배담론이 설정한 여러 가지의 경계를 그러한 시점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해체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Ⅶ. 결론
연암 박지원은 조선조 후기를 대표하는 이형적 문학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암은 문학이 科擧(과거)를 통해서 입신하는데 필요한 詞章(사장)도 아니며, 산림으로 물러나서 심성을 기르는 데 필요한 載道之器(재도지기)도 아니라고 여겼다. 그에게 문학은 落拓不遇(낙척불우)한 위치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선비가 할 수 있는 다른 어떤 활동보다도 중요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自覺(자각)을 바탕으로 실학을 문학을 통해 실천했다. 이러한 연암의 문학관을 알아야한다.
참고문헌
◇ 강혜선, 박지원 산문의 고문 변용 양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4
◇ 김학성, 연암의 실학사상과 허생전의 작가의식(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하), 창작과 비평사, 1990
◇ 박지원, 박지원 작품 선집, 이회문화사 1989
◇ 이우성, 실학파의 문학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984
◇ 정익섭,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실학논총-이을호 박사 정년기념,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75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2) 호질
이 작품은 당세에 횡행하던 유구, 위학배들의 양두구육의 허식과 인면수심의 언행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암은 범이란 산중의 왕인데 슬기롭고 문무를 겸하여 용맹스럽고 자비로운 천하무적의 장사이다 라고 말해 북학파를 그 유의로 삼고, 정지읍에 부설환지사가 있었는데 이름을 북곽선생이라 하고 나이 40에 늘 책만 읽고 구경을 풀고 저서가 1만 5천이나 있어 천자가 다 가상하는 바요, 제후가 모두 그 이름을 경모하는 존재라 하여 유구의 한 전형을 설정한다. 이어서 의사란 놈은 의라 잘 알지도 못하면서 시험 삼아 한 해에 사람 수만을 죽이니, 그 맛이 신통하지 않고, 무당은 무라 간사하게 속여서 혹세무민으로 한 해에 사람 수만을 죽이니, 그 맛 역시 독하고, 유자의 고기는 비록 석덕으로 오미가 구존되어 있다하나, 오행, 육기가 다 들어 있으니 그 맛이 잡되고 불순하다하여 실리를 거두지 않는 당대의 사회상을 전반적으로 비판한다. 또 그 읍 동쪽에 동리자라는 명문 과부가 있었는데 수절 잘했다 하여 나라에서는 동리자라는 칭호를 주었지만, 알고 보면 이 수절 잘했다는 과부에게는 각성의 아들이 다섯이나 있었으니 규중심처의 비밀을 누가 아는 사람이 있겠는가라고 해서 위선과 기세가 극에 달한 사회상을 꼬집었다.
호질이 표면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대상은 북곽선생을 전형으로 하는 유구를 중심으로 하는 당대의 기세적 인물군상이지만, 기실 그 내면을 살펴보면 조선조가 구축한 주자학 중심의 이념형 국가체제의 불실성 내지는 시대 부적합성을 적시하고자 하는 것이 작가의 주된 의도임을 알 수 있다. 조선조의 몰락을 예견하는 연암의 식견이 탁월하게 드러난 작품이라 할 것이다.
4. 마장전
이 작품은 네 가지 삽화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는 말 거간꾼들이 관중이나 소진과 같은 유명 재사들을 희롱하는 것이요, 둘째는 첩의 생태와 생활을 묘사하면서 인간의 간사함과 부선을 꼬집는 것이요, 셋째는 미치광이 3인을 등장시켜 교우와 관련된 세상인심을 풍자하는 것이요, 넷째는 골계선생의 <우정론>을 들어 교우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다.
마·전의 요체는 세상풍정을 해학적으로 묘사하는 데 있어서 시점을 사회의 최하층계급에 두고 서술을 진행한다는 데 있다. 이는 시점의 이데올로기적 층위라는 측면에서 볼 때 작가의 평가적 관점이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지배담론이 설정한 여러 가지의 경계를 그러한 시점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해체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Ⅶ. 결론
연암 박지원은 조선조 후기를 대표하는 이형적 문학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암은 문학이 科擧(과거)를 통해서 입신하는데 필요한 詞章(사장)도 아니며, 산림으로 물러나서 심성을 기르는 데 필요한 載道之器(재도지기)도 아니라고 여겼다. 그에게 문학은 落拓不遇(낙척불우)한 위치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선비가 할 수 있는 다른 어떤 활동보다도 중요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自覺(자각)을 바탕으로 실학을 문학을 통해 실천했다. 이러한 연암의 문학관을 알아야한다.
참고문헌
◇ 강혜선, 박지원 산문의 고문 변용 양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4
◇ 김학성, 연암의 실학사상과 허생전의 작가의식(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하), 창작과 비평사, 1990
◇ 박지원, 박지원 작품 선집, 이회문화사 1989
◇ 이우성, 실학파의 문학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984
◇ 정익섭,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실학논총-이을호 박사 정년기념,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75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추천자료
- 고전 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
- 박지원 연구
- 다산 정약용의 사회경제 사상과 문학적 형상화
- 연암 박지원의 남긴 글들을 중심으로 하여 법고창신론(法古創新論)에 대해 서술함
- 연암 박 지 원 : 교육적인간상으로서의 선비
- 초정 박제가의 생애와 업적,사상,문학,실학사상,후대에 미친 영향
- [국어 임용고시]한국교육미디연구소 문학 (하)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 변화하는 조선후기, 변모하는 한국문학 - 열하일기와 시조의 붕괴를 중심으로
- [실학자][박제가][북학의][경제사상][개혁사상][실학사상][실학파][실학]실학자 박제가의 생...
- [국어작문/고전소설] 서포 김만중(金萬重)의 문학사상 및 구운몽,사씨남정기 등 작품분석 및 ...
- 박지원의 허생전을 읽고
- 국문학사 정리 (6단원 ~ 9단원) -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 [감상문]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읽고 쓴 감상문 (나의 견해, 책의 특징 등등)
- 최익환, 1965, 「연암 박 지원(朴趾源)의 사상적 및 문학적 지위」,『력사과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