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언(序 言)
Ⅱ 모음조화(母音調和)
1. 고대모음조화(古代母音調和)
2. 중세모음조화(中世母音調和)
3. 근대모음조화(近代母音調和)
4. 현대모음조화(現代母音調和)
5. 모음조화(母音調和)가 파괴(破壞)되는 현상
Ⅲ 결 어(結 語)
참고문헌
Ⅱ 모음조화(母音調和)
1. 고대모음조화(古代母音調和)
2. 중세모음조화(中世母音調和)
3. 근대모음조화(近代母音調和)
4. 현대모음조화(現代母音調和)
5. 모음조화(母音調和)가 파괴(破壞)되는 현상
Ⅲ 결 어(結 語)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에서는 그런 단어로 깡충깡충, ~둥이, 발가숭이, 보퉁이, 봉죽, 뻗정다리, 아서라, 오뚝이, 주추를 예로 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현대 국어에서는 모음조화현상들이 점점 약화되어가고 있다는 현상들이고 시대(時代)에 적응(適應)하면서 변화하는 현상들이다.
본고에서는 모음조화(홀소리어울림)가 어떻게 정의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음조화 현상이 고대와 중세국어 때의 원형과 현대국어에서 어떠한 양상을 띠고 변화하였으며 그 변화(變化) 양상(樣相)의 원인(原因)이 무엇인지 실례(實例)를 들어 비교(比較)하고 모음조화 현상이 점차 약화(弱化)되어가고 있는 원인들을 논점(論点)으로 두어 살펴보겠다.
Ⅱ 모음조화(母音調和)
국어(國語)의 모음조화(홀소리어울림)는 흔히 양(陽)모음과 음(陰)모음으로 나누어 ㅏ[a], ㅗ[o]는 양모음에 속하고, ㅜ[u], ㅓ[]는 음모음로 하여 앞에 나오는 모음이 양모음이면 그 뒤의 모음도 양모음으로, 앞 모음이 음모음이면 그 뒤에 나오는 모음도 음모음으로 되는 현상이다.
우리말에서는 의성 부사와 의태어 내부나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주로 나타난다. 우리말 모음을 나누는 기준으로는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낮이 외에도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다. 양성 모음은 ‘ㅏ, ㅗ’ 계열로 밝고, 작고, 가벼운 느낌을 주는데, 작은말을 만든다. 이에 비해 음성 모음은 ‘ㅓ, ㅜ’계열로 어둡고, 크고, 무거운 느낌을 주며, 큰말을 만든다.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교체는 음운의 변동되었지만 말뜻의 변화보다는 말의 느낌만 분화시켜 준다. 이러한 모음조화는 기본형이 전제된 상태에서 다른 음운과 같거나 비슷한 성질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짝지어 만난 것이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동화 현상은 아니다. 「학교문법론」개정판, 101쪽, 이관규, 월인, 2007는 국어의 특질 중에 하나이다.
『학
고대모음조화와 중세모음조화, 근대모음조화, 현대모음조화의 시대 순으로 정리하고 모음체계와 모음표기 모음조화 현상을 정리하였으며 중세국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마지막으로 현대국어의 일상생활에서 모음조화가 파괴되는 현상들을 예시로 알아보았다.
1. 고대모음조화(古代母音調和)
고대국어 자료인 향가는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당시의 언어 사실을 정확히 밝혀내기는 쉽지 않으나 중세한국어 자료에서 보이는 모음조화가 고대한국어에도 있었으리라는 추정만 할 수 있다.
모음체계는 고대및 전기중세국어까지만 해도 합치를 보여 주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ㅜ’ → ‘ㅗ’ , ‘ㅡ’ → ‘ ㆍ ’ ‘ㅓ’→‘ㅏ’ 전설모음은 전설모음끼리 후설모음은 후설모음끼리 조화를 이루었다. 이런 주장은 양주동(1981)이 하였고 특히 김완진(1982)은 모음조화가 고대한국어에 실재했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목적이라면 ‘隱’ ‘焉’ 은 보조사 /-은/ /-/, ‘衣’와‘矣’는 /-ㅣ/와 /-의/를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으나 단정적으로 모음조화의 존재 여부를 말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다 하였다.
예> 가. /늘+아/ →(라) 라. /눈+은/ →(누는)
나. /벗+어/ →)(버서) 마. /먹+움/ →(머굼)
다. /놈+은/ →(노) 사. /믿+아/ →(미다)
고대국어에서도 어간이 어미와 만날 때 같은 계열의 모음끼리 어울렸다고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후설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모음조화가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어간의 충실성도 중요하다.
모음조화를 어느 시기까지 소급해서 인정해야 하는가는 명확하지 않아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였다.
2. 중세모음조화(中世母音調和)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훈민정음의 기록과 이 시기의 음운현상에 의지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고 할 것이나 훈정음의 ‘축(縮)’, ‘축/장(蹙/長)’등과 같은 음성학적 자질을 나타낸 술어가 어떤 뜻을 담고 있는지 분명히 밝히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한 단어 내부에서는 같은 부류의 모음들끼리만 서로 어울리지만 일부는 지켜지지 않았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ㅏ,ㅗ’는 양성모음, ‘ㅓ,ㅜ,ㅡ’는 중성모음, ‘ㅣ’ 는 중성모음이다.
다음의 예는 명사와 조사 사이에서의 모음조화다 이 시기에는 조사가 ‘/을,로/으로, /는 ㅣ/의, 애/에’ 등으로 짝을 이루고 있어 모음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 졌다. 또 양성+중성, 중성+음성, 중성+양성의 변화도 이루어졌다.
예) 양성 +양성 : 사 八 소로 ㅣ 道애
음성 + 음성: ㅅ구믈 軍은 ㅺ므로 우희 武에
중성+ 양성: 지 지
본고에서는 모음조화(홀소리어울림)가 어떻게 정의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음조화 현상이 고대와 중세국어 때의 원형과 현대국어에서 어떠한 양상을 띠고 변화하였으며 그 변화(變化) 양상(樣相)의 원인(原因)이 무엇인지 실례(實例)를 들어 비교(比較)하고 모음조화 현상이 점차 약화(弱化)되어가고 있는 원인들을 논점(論点)으로 두어 살펴보겠다.
Ⅱ 모음조화(母音調和)
국어(國語)의 모음조화(홀소리어울림)는 흔히 양(陽)모음과 음(陰)모음으로 나누어 ㅏ[a], ㅗ[o]는 양모음에 속하고, ㅜ[u], ㅓ[]는 음모음로 하여 앞에 나오는 모음이 양모음이면 그 뒤의 모음도 양모음으로, 앞 모음이 음모음이면 그 뒤에 나오는 모음도 음모음으로 되는 현상이다.
우리말에서는 의성 부사와 의태어 내부나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주로 나타난다. 우리말 모음을 나누는 기준으로는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낮이 외에도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다. 양성 모음은 ‘ㅏ, ㅗ’ 계열로 밝고, 작고, 가벼운 느낌을 주는데, 작은말을 만든다. 이에 비해 음성 모음은 ‘ㅓ, ㅜ’계열로 어둡고, 크고, 무거운 느낌을 주며, 큰말을 만든다.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교체는 음운의 변동되었지만 말뜻의 변화보다는 말의 느낌만 분화시켜 준다. 이러한 모음조화는 기본형이 전제된 상태에서 다른 음운과 같거나 비슷한 성질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짝지어 만난 것이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동화 현상은 아니다. 「학교문법론」개정판, 101쪽, 이관규, 월인, 2007는 국어의 특질 중에 하나이다.
『학
고대모음조화와 중세모음조화, 근대모음조화, 현대모음조화의 시대 순으로 정리하고 모음체계와 모음표기 모음조화 현상을 정리하였으며 중세국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마지막으로 현대국어의 일상생활에서 모음조화가 파괴되는 현상들을 예시로 알아보았다.
1. 고대모음조화(古代母音調和)
고대국어 자료인 향가는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당시의 언어 사실을 정확히 밝혀내기는 쉽지 않으나 중세한국어 자료에서 보이는 모음조화가 고대한국어에도 있었으리라는 추정만 할 수 있다.
모음체계는 고대및 전기중세국어까지만 해도 합치를 보여 주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ㅜ’ → ‘ㅗ’ , ‘ㅡ’ → ‘ ㆍ ’ ‘ㅓ’→‘ㅏ’ 전설모음은 전설모음끼리 후설모음은 후설모음끼리 조화를 이루었다. 이런 주장은 양주동(1981)이 하였고 특히 김완진(1982)은 모음조화가 고대한국어에 실재했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목적이라면 ‘隱’ ‘焉’ 은 보조사 /-은/ /-/, ‘衣’와‘矣’는 /-ㅣ/와 /-의/를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으나 단정적으로 모음조화의 존재 여부를 말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다 하였다.
예> 가. /늘+아/ →(라) 라. /눈+은/ →(누는)
나. /벗+어/ →)(버서) 마. /먹+움/ →(머굼)
다. /놈+은/ →(노) 사. /믿+아/ →(미다)
고대국어에서도 어간이 어미와 만날 때 같은 계열의 모음끼리 어울렸다고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후설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모음조화가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어간의 충실성도 중요하다.
모음조화를 어느 시기까지 소급해서 인정해야 하는가는 명확하지 않아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였다.
2. 중세모음조화(中世母音調和)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훈민정음의 기록과 이 시기의 음운현상에 의지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고 할 것이나 훈정음의 ‘축(縮)’, ‘축/장(蹙/長)’등과 같은 음성학적 자질을 나타낸 술어가 어떤 뜻을 담고 있는지 분명히 밝히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한 단어 내부에서는 같은 부류의 모음들끼리만 서로 어울리지만 일부는 지켜지지 않았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ㅏ,ㅗ’는 양성모음, ‘ㅓ,ㅜ,ㅡ’는 중성모음, ‘ㅣ’ 는 중성모음이다.
다음의 예는 명사와 조사 사이에서의 모음조화다 이 시기에는 조사가 ‘/을,로/으로, /는 ㅣ/의, 애/에’ 등으로 짝을 이루고 있어 모음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 졌다. 또 양성+중성, 중성+음성, 중성+양성의 변화도 이루어졌다.
예) 양성 +양성 : 사 八 소로 ㅣ 道애
음성 + 음성: ㅅ구믈 軍은 ㅺ므로 우희 武에
중성+ 양성: 지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