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 결론
본문내용
것과 관련된 두려움
사 정
<객관적 자료>
1. motor power가 Ⅳ/Ⅴ
Ⅴ/Ⅴ 로 측정됨.
2.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한손은 발목을 잡고, 한손은 슬관절 밑에 손을 받친 후 다리를 몸쪽으로 이동시키는 motor power 검사에서 힘들다고 말 함.
3. Rt. facial sensory가 60~70%로 측정
4. 상대발의 말을 이해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dysarthria(구음장애)가 관 찰됨.
<주관적 자료>
1. “오른쪽 몸이 퉁퉁 부어있는 것 같이 느껴져”
2. “오른쪽 얼굴을 만지면 피부 한겹이 더 있는 것 처럼 멀게 느껴져”
3. “얼굴을 만졌을 때의 감각이 100점 만점에 몇점이세요?”라는 질문에 왼쪽 얼굴은 100점인데 오른쪽 얼굴은 60~70%이라고 대답하심.
4. “아직 오른손이 저린 것은 조금 남아있어”
5. “문맥에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질 않아”
6. “말했던 단어를 말하려고 하면 금새 까먹고, 말이 입에서 맴돌아”
진 단
뇌에서 허혈적인 발작을 한 것과 관련된 감각지각 변화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1월 15일 까지 오른쪽 얼굴과 몸의 감각이 모두 예전같이 돌아왔다고 말한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motor power가 Ⅳ~Ⅴ/Ⅴ
Ⅴ/Ⅴ 으로 측정된다.
②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Rt. facial sensory의 점수가 더 높이 측정된다.
③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손이 저린 것이 없어졌다고 말한다.
④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dysarthria와 Rt. side weakness, sensory가 없어 졌다고 말한다.
계 획
1. v/s를 측정한다.
2.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3. power motor 검사를 실시한다.
4. 감각이상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5. 손발이 저리는데 먹는 약을 복용한다.
수 행
1. 하루에 3번 v/s을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하루에 3번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① finger to nose test
② finger-nose-finger test
③ heel to shin test
3.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motor power 검사를 실시한다.
① 팔
ⅰ. 손을 잡고 꽉 쥐어보게 하여 힘을 세기를 측정한다.
ⅱ. 엄지와 검지로 원을 만들게 하여 손으로 그 원을 벌려보는 등 손가락의 힘을 측정한다.
ⅲ. 손을 서로 맞잡고 당겨보라고 한다.
② 다리
ⅰ.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축구 하듯이 다리를 힘껏 차도록 시킨다.
ⅱ.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발목에 저항을 주는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보게 한다.
ⅲ.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한손은 발목을 잡고, 한손은 슬관절 밑에 손을 받친 후 다리를 몸쪽으로 이동시킨다.
4. 감각이상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나눈다.
5. 대상자는 Gabapentin 100mg을 tid로 복용한다.
평 가
2. 대상자는 신경학적 검사로 한 finger to nose test, finger-nose-finger test, heel to shin test가 모두 정상이였다.
3. 대상자는 12월 17일 moter power 검사에서 Ⅴ/Ⅴ
Ⅴ/Ⅴ로 check 되었다.
4-①. 대상자는 12월 17일, Rt. facial sensory가 60~70%에서 80~90%으로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4-②. 대상자는 12월 17일, Rt. weakness와 sensory가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 다.
4-③. 대상자는 12월 17일, 손발 저린 것이 Caba 복용 후 많이 호전되었다고 말했다.
4-④. 대상자는 12월 17일, 말이 어눌했던 것이 점차 나아지는 것 같다고 말 했다.
5. 대상자는 12월 17일, Gabapentin을 먹고난 후에 손발 저림 증상이 없어졌 다고 말했다.
(재계획)
4. 대상자는 12월 20일까지 Rt. weakness와 sensory가 정상적으로 회복한다.
사 정
<객관적 자료>
1. 혈압이 SBP: 180 까지 가끔씩 높게 측정된다.
2. 당 조절이 잘 안된다.
3. 대부분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당 조절이 안되어 퇴원일이 연기되었다.
<주관적 자료>
1. “당 조절이 왜이렇게 안되죠?”
2. “입원한 사이에 2kg이 늘었네... 살찌면 안되는데 큰일이네...”
3. 요즘 걱정되는 일이 있으시냐는 질문에 “이 병이 뇌졸중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는데 걱정되요”라고 말씀하셨다.
진 단
뇌졸중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 것과 관련된 두려움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1월 18일까지 뇌졸중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졌다고 말한다.
<단기적 목표>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두려움에 대해서 말로 표현할 수 있다.
계 획
1.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2.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3. 대상자가 느끼는 두려움을 표현하게 한다.
4. 상담을 한다.
5. 가족들이 대상자를 지지해주도록 권유한다.
6. 약물요법을 통해 고혈압을 조절한다.
수 행
1.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하게 한다.
2.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하게 한다.
① 당과 혈압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ⅰ. 병원에서 열리는 당뇨교실에 참여하도록 권유한다.
ⅱ. 식이요법과 체중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② 생활습관에 대해 설명한다.
3. 대상자가 느끼는 두려움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대상자가 궁금한 점이나 걱정에 대하여 상담한다.
5. 가족들이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격려한다.
6. HTN Medication을 통해 혈압을 조절한다.
→ atenolol 50mg bid, cilatapril 2.5mg 1회, cozaar plus 50/12.5 1회 투 여
평 가
1. 대상자는 12월 18일,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하여 이해하였으며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2. 대상자는 12월 18일, 뇌졸중 예방법에 대하여 이해하였으며 설명할 수 있 다고 말했다.
3,4. 대상자는 12월 18일, 상담을 통하여 걱정이나 불안감, 두려움이 많이 사 라지게
사 정
<객관적 자료>
1. motor power가 Ⅳ/Ⅴ
Ⅴ/Ⅴ 로 측정됨.
2.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한손은 발목을 잡고, 한손은 슬관절 밑에 손을 받친 후 다리를 몸쪽으로 이동시키는 motor power 검사에서 힘들다고 말 함.
3. Rt. facial sensory가 60~70%로 측정
4. 상대발의 말을 이해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dysarthria(구음장애)가 관 찰됨.
<주관적 자료>
1. “오른쪽 몸이 퉁퉁 부어있는 것 같이 느껴져”
2. “오른쪽 얼굴을 만지면 피부 한겹이 더 있는 것 처럼 멀게 느껴져”
3. “얼굴을 만졌을 때의 감각이 100점 만점에 몇점이세요?”라는 질문에 왼쪽 얼굴은 100점인데 오른쪽 얼굴은 60~70%이라고 대답하심.
4. “아직 오른손이 저린 것은 조금 남아있어”
5. “문맥에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질 않아”
6. “말했던 단어를 말하려고 하면 금새 까먹고, 말이 입에서 맴돌아”
진 단
뇌에서 허혈적인 발작을 한 것과 관련된 감각지각 변화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1월 15일 까지 오른쪽 얼굴과 몸의 감각이 모두 예전같이 돌아왔다고 말한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motor power가 Ⅳ~Ⅴ/Ⅴ
Ⅴ/Ⅴ 으로 측정된다.
②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Rt. facial sensory의 점수가 더 높이 측정된다.
③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손이 저린 것이 없어졌다고 말한다.
④ 대상자는 12월 17일까지 dysarthria와 Rt. side weakness, sensory가 없어 졌다고 말한다.
계 획
1. v/s를 측정한다.
2.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3. power motor 검사를 실시한다.
4. 감각이상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5. 손발이 저리는데 먹는 약을 복용한다.
수 행
1. 하루에 3번 v/s을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하루에 3번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① finger to nose test
② finger-nose-finger test
③ heel to shin test
3.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motor power 검사를 실시한다.
① 팔
ⅰ. 손을 잡고 꽉 쥐어보게 하여 힘을 세기를 측정한다.
ⅱ. 엄지와 검지로 원을 만들게 하여 손으로 그 원을 벌려보는 등 손가락의 힘을 측정한다.
ⅲ. 손을 서로 맞잡고 당겨보라고 한다.
② 다리
ⅰ.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축구 하듯이 다리를 힘껏 차도록 시킨다.
ⅱ.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발목에 저항을 주는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보게 한다.
ⅲ. 앙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한손은 발목을 잡고, 한손은 슬관절 밑에 손을 받친 후 다리를 몸쪽으로 이동시킨다.
4. 감각이상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나눈다.
5. 대상자는 Gabapentin 100mg을 tid로 복용한다.
평 가
2. 대상자는 신경학적 검사로 한 finger to nose test, finger-nose-finger test, heel to shin test가 모두 정상이였다.
3. 대상자는 12월 17일 moter power 검사에서 Ⅴ/Ⅴ
Ⅴ/Ⅴ로 check 되었다.
4-①. 대상자는 12월 17일, Rt. facial sensory가 60~70%에서 80~90%으로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4-②. 대상자는 12월 17일, Rt. weakness와 sensory가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 다.
4-③. 대상자는 12월 17일, 손발 저린 것이 Caba 복용 후 많이 호전되었다고 말했다.
4-④. 대상자는 12월 17일, 말이 어눌했던 것이 점차 나아지는 것 같다고 말 했다.
5. 대상자는 12월 17일, Gabapentin을 먹고난 후에 손발 저림 증상이 없어졌 다고 말했다.
(재계획)
4. 대상자는 12월 20일까지 Rt. weakness와 sensory가 정상적으로 회복한다.
사 정
<객관적 자료>
1. 혈압이 SBP: 180 까지 가끔씩 높게 측정된다.
2. 당 조절이 잘 안된다.
3. 대부분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당 조절이 안되어 퇴원일이 연기되었다.
<주관적 자료>
1. “당 조절이 왜이렇게 안되죠?”
2. “입원한 사이에 2kg이 늘었네... 살찌면 안되는데 큰일이네...”
3. 요즘 걱정되는 일이 있으시냐는 질문에 “이 병이 뇌졸중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는데 걱정되요”라고 말씀하셨다.
진 단
뇌졸중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 것과 관련된 두려움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1월 18일까지 뇌졸중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졌다고 말한다.
<단기적 목표>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12월 18일까지 두려움에 대해서 말로 표현할 수 있다.
계 획
1.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2.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3. 대상자가 느끼는 두려움을 표현하게 한다.
4. 상담을 한다.
5. 가족들이 대상자를 지지해주도록 권유한다.
6. 약물요법을 통해 고혈압을 조절한다.
수 행
1.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하게 한다.
2. 뇌졸중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하게 한다.
① 당과 혈압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ⅰ. 병원에서 열리는 당뇨교실에 참여하도록 권유한다.
ⅱ. 식이요법과 체중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② 생활습관에 대해 설명한다.
3. 대상자가 느끼는 두려움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대상자가 궁금한 점이나 걱정에 대하여 상담한다.
5. 가족들이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격려한다.
6. HTN Medication을 통해 혈압을 조절한다.
→ atenolol 50mg bid, cilatapril 2.5mg 1회, cozaar plus 50/12.5 1회 투 여
평 가
1. 대상자는 12월 18일, 뇌졸중의 전기증상에 대하여 이해하였으며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2. 대상자는 12월 18일, 뇌졸중 예방법에 대하여 이해하였으며 설명할 수 있 다고 말했다.
3,4. 대상자는 12월 18일, 상담을 통하여 걱정이나 불안감, 두려움이 많이 사 라지게
추천자료
뇌출혈(stroke)
CVA Introduction (뇌졸중, 중풍에 대하여)
CVA 케이스
유창성 실어증
뇌경색(Crebral infarction)케이스 스터디
뇌졸중 CVA 정리영
뇌졸중최종
질환별 작업치료
뇌졸중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부작용, 진단방법 및 증상과 간호과정과 교육방법
[작업치료] CVA [Cerebrovascular Accident]에 대해
[성인간호학] SAH 뇌혈관성 장애
뇌경색 환자 사례 보고서/case study/cerebral infaction/피부통합성장애/피부손상/간호과정/...
[신경언어장애] 신경언어장애의 정의와 유형(유창성 실어증, 비유창성 실어증, 피질하 실어증)
뇌졸중 케이스, 중환자실 케이스, 중환자실 간호과정 A++ case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