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구진 보화補火 부자 오두 천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구진 보화補火 부자 오두 천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始不上浮而下降矣!
조양규가 말하길 화는 물로 꺽이나 오직 물속의 불은 물로 꺽이지 않으므로 반드시 같은 기를 선택하여 초대해 당겨 집에 돌아오면 화가 비로소 위로 뜨지 않고 하강하게 된다.
此火之所由補也。
이 명문화가 그래서 보하는 유래이다.
第世止知附, 桂爲補火之最, 硫黃爲火之精, 越外毫不計及, 更不知其附, 桂因何相需必用。
세상에 단지 부자와 육계가 화를 보하는데 최고인줄만 알고 유황이 화의 정이 되며 밖의 털에 이름도 계산하지 않으며 다시 부자, 육계가 어떻게 서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가도 알지 못한다.
知火衰氣寒而厥, 則必用以附子。
어찌 화가 쇠약하며 기가 차며 궐랭하는데 반드시 부자를 사용하는것을 아는가?
火衰血寒腹痛, 則必用以肉桂。
화가 쇠약하며 혈이 찬 복통에는 반드시 육계로 사용한다.
火衰寒結不解, 則必用以硫黃。
화가 쇠약하며 한기 결체가 풀리지 않으면 반드시 유황을 사용한다.
火衰冷精遺, 則必用以仙茅。
화가 쇠약하고 찬 냉증에 유정이면 반드시 선모를 사용한다.
火衰疝偏墜, 則必用以胡巴。
화가 쇠약하며 산가로 편추하면 반드시 호로파를 사용한다.
火衰氣逆不歸, 則必用以香。
화가 쇠약하며 기가 상역하여 돌아오지 않으면 반드시 침향을 사용한다.
火衰腎泄不固, 則必用以補骨脂。
화가 쇠약하며 신설로 견고하지 않으면 반드시 보골지를 사용한다.
火衰陽血瘀, 則必用以陽起石。
화가 쇠약하며 양위에 어혈이 있으면 반드시 양기석을 사용한다.
火衰風冷麻, 則必用以淫羊藿。
화가 쇠약하며 풍냉마빙는 반드시 음양곽을 사용한다.
火衰風濕瘡, 則必用以蛇床子。
화가 쇠약하며 풍습사의 창으로 가려우면 반드시 사상자를 사용한다.
火衰臟寒蟲 蠱(독 고; -총23획; gu)는 원문은 (벌레 충{훼}; -총6획; chong,chong,hu)이다.
生, 則必用以川椒。
화가 쇠약하며 장이 차며 벌레가 생기면 반드시 천초를 사용한다.
火衰氣逆起, 則必用以丁香。
화가 쇠약하며 기역하며 딸꾹질이 일어나면 반드시 정향을 사용한다.
火衰精涎不攝, 則必用以益智。
화가 쇠약하며 정연이 통섭되지 못하면 반드시 익지인을 사용한다.
至於陽不通督, 須用鹿茸以補之。
양이 독맥에 통하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녹용을 사용하여 보한다.
火不交心, 須用遠志以通之。
화가 심과 교류하지 못하면 반드시 원지를 사용하여 소통케 한다.
水竅不開, 須用鍾乳石以利之。
물구멍이 열리지 않으면 반드시 종유석을 사용하여 이수한다.
氣虛喘乏, 須用蛤以禦之。
기허로 숨차고 결핍되면 반드시 합개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精滑不禁, 須用阿芙蓉以之。
정활을 금지하지 못하면 반드시 아부용을 사용하여 깔깔하게 한다.
皆當隨症酌與, 不可用。
모두 증상을 따라서 짐작하여 투여하며 대개 사용하면 안 된다.
若使水火衰, 及或氣陷不固, 陰精獨脫, 尤當切禁, 否則禍人反掌。
만약 수와 화가 함께 쇠약하거나 혹은 기가 빠져 견고치 않고 음정이 홀로 허탈하면 더욱 보화약을 절대 금기해야 하니 아니면 화가 사람의 손바닥을 뒤집듯이 쉽게 된다.
附子
부자
(二十九 毒草 批 補命火逐冷厥)
29 부자는 독초이며 내가 생각하건데 명문화를 보하며 냉궐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2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