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의 종류와 그 특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용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무용이란?
2. 한국무용의 발생과 기원
3. 한국무용의 종류와 그 특징

본문내용

을 도모하기 위한 노작 농악 등이 있음)
-사물의 악기 반주에 맞추어 하는 농악은 나쁜 귀신을 쫓고 좋은 일을 맞이하기 위함
-탈춤
▷탈춤은 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써 가면에 자신의
얼굴을 가리고 춤을 출 수 있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어 얼굴이 공개되는 때보다 더 자신의 감정
이나 정서 등을 솔직하고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엇 을 거란 생각이 든다.
예컨대, 양반들을 비판하거나 조롱하는데 이 탈춤 만한 것이 있었을까 생각이 된다.
-농촌형 탈놀이
-농촌 마을굿의 주술성이 점차 약화됨
-탈놀이는 마을굿에서 분화되어 사람 사이의 갈등을 오락적, 예술적으로 표 현하는 놀이의 형태로 바뀜
-지배층에 대한 비판보다는 한 지역 사회에서 그 사회의 안정과 풍요를 바라 는 목적이 더 강함
-하회탈춤, 강릉 관노놀이, 북청 사자놀음
-도시형 탈놀이
-도시에서 주로 공연되면서독자적인 전문 탈춤패가 만들어지게 됨
-오락성과 예술성이 가미됨
-지배계급과 봉건적 질서에 대한 비판을 노골적으로 드러남
-동래 들놀음, 통영 오광대(낙동강 이서),수영 들놀음(낙동강 이동),은율탈춤
5) 의식무용
○ 종교 의식에 수반되어 추어지는 춤
-기복적인 요소와 토속신앙의 혼합요소가 적음
-단지 순수한 마음의 정화를 위한 춤
-춤사위의 종류가 몇 가지 되지 않고 움직이는 형태가 간결하고 평이함
○ 의식무용의 역사
-원시사회무용은 표현수단이 아닌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진행됨
-하늘에 올리는 제사는 정령을 부르는 행위나 주술능력을 증가시키는 행위로서 인 식됨
-국가가 형성되면서 부여에서는 영고, 고구려에서는 동맹, 동예에서는 무천이라는 이름으로 제사의식 이루어짐
-이와 함께 가무를 즐기는 행사를 개최하여 의식무용의 한 형태를 이어함
○ 의식무용의 종류 - 일무, 작법, 무속무용
-일무 : 문묘 및 종묘제례 때 여러 줄로 버려 서서 추던 춤
-궁중의 종묘, 문묘 등의 제향에서 제례악에 맞추어 추는 의식무용의 하나
-문덕을 칭송하는 문무와 무덕을 칭송하는 무무로 구분
-작법 : 불교의식무용
-불교의식인 재를 올릴 때 추는 춤을 총칭하여 이름
-범패가 목소리로 불전에 공양을 드리는 것이라면 작법은 몸동작으로 공양을 드 린다는 뜻에서 범무라고도 함
-바라춤
-양손에 바라를 들고 마주치면서 빠른 동작으로 전진, 후퇴, 회전하며 소리를 내어 추는 춤
-바라 -서양악기 가운데 심벌즈와 비슷하게 생긴 악기
-접시 모양의 엷고 둥근 1쌍의 놋쇠판으로 되어 있음
-요잡’이라고도 함
-사람들을 모을 때 또는 부처님을 찬양하는 악기로 쓰기도 함
-노래가 없이 추는 막바라춤, 내림게로 추는 내림게바라춤, 천수경에 맞추어 추는 천수바라춤, 사다라니에 맞추어 추는 사다라니바라춤으로 구분
-무복은 고깔에 장삼을 입음
-반주는 태징, 북, 목탁, 호적 등 삼현육각이 모두 어우러져 타령 비슷한 장단
-모든 악귀를 물리치고 도량을 청정하게 하며, 마음을 정화하려는 뜻에서 춘 다고 하며 부처님을 찬양하고 중생을 천도하는 뜻도 있다고 함
-법고춤
-법고춤은 불교 4법악기 중 하나인 법고를 두드리며 추는 춤
-대개 일정한 장단 없이 범패를 반주로 하여 춤
-법고를 두드리는 것이 세간의 축생을 구제하기 위해서임
-보이기 위해 추는 춤이 아님
-법고를 치는 동작을 내용으로 하는 법고춤과, 복잡한 리듬을 내용으로 하는 홍구춤의 두 가지로 구분
-법고춤: 법고를 치는 동작에 치중
↔홍구춤: 복잡한 리듬에 역점을 둠
-법고춤은 승무와 구고무 등의 민속무용에 영향을 줌
-속화하여 임의로 무대에 올려지기도 함
-타주춤
-영산재 가운데 식당작법에서만 하는 의식으로 불교에 있어 수행을 다짐한다 는 의미를 상징하는 춤
-불교의 중요한 수행법인 팔정도를 각각 팔각의 기둥 위에 보이도록 표시하여 오른손에 채를 잡고 이 채로 팔정도의 기둥을 두드리며 주위를 돌며 추는 춤
-식당작법
-영산재를 마치고 영산재에 참여했던 모든 대중이 공양을 함께 하면서 행하는 공양의례(식사의례)
-공양은 음식, 의복 등을 삼보, 부모, 스승, 일반 대중 또는 죽은 영혼에게 공 급하여 자양한다는 의미로 널리 행하여지고 있음
-불교의 생명관에 의한 공양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공양의례
-상단 권공에 올렸던 공양물을 대중이 다 같이 나누어 먹는다는 뜻
-상단 권공의 공덕을 대중이 함께 갖는다는 것을 의미 함
-무속무용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추는 춤
-무당춤, 무무라고도 함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을 총칭하는 말
-무당들이 신에게 드리는 제이인 굿에서 신을 부르는 것, 신을 즐겁게 하는 등 점술적 기능과 함께 신격자로서 계시를 내리거나 축복을 주느 기술적인 기능도 있음
▷작법
:작법공연을 하고 있는 스님 뒷배경에 부처님이 놓여져 있
듯이 작법은 불교의식의 무용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
다.
절에 다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법이라는 게 있는지도
몰랐던 내 자신이 부끄럽다.
6) 창작무용
○ 창착 : 새로운 것을 만든다는 의미
○ 학국창작무용 : 한국전통무용을 현대에 맞춰 재창출 하는 것,
현대성을 수용한 모든 창작무용을 총칭함
○ 그 주제는 획일적이지 않고, 개별적이고 독창적이며 시대에 맞춘 춤
○ 개인의 능력을 존중하고 언제든지 자유롭고 즉흥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 좋은 작품이 만들어 질 수 있음
○ 창작무용의 역사
- 1960년대 이후 ‘우리 것 찾기 운동’과 함께 문화적 전통성 존중과 복고주의적 성 향이 드러남
→전통춤의 재현이 아니라 보다 새롭게 창조되어 현대적 창작 춤의 모습을 띰
- 본격적 활동의 출발은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됨
- 1974년부터 문예진흥원이 무용 창작부분에 지원을 시작함으로써 창작 모용의 활기 고조됨
- 창작무용시대의 초기의 작품은 전통전수나 이수로 이어진 것이 대부분
- ‘춘앵전’, ‘한량무’, ‘살풀이’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한 안무가 주종을 이룸
- 다른 한편으로 개인의 삶의 역동적 내면적 심리상태를 주제로 한 모습도 보임
- 즉, 1970년대의 창작무용은 전통무용에 기존의 신무용까지 포함한 양상을 보임
○ 한국창작무용의 특징
- 공간의 변화로 인한 표현방식의 다양화와 의상역시 개조되어 무용수와 주제 고려
- 춤사위가 아닌 시대성과 작푸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10.2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