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궁근종(子宮筋腫, myoma of uterus)
2. 종류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진단
5. 치료 및 간호
복강경하 자궁적출술(TLH)
1) 복강경 수술이란?
2) 자궁절제술의 종류와 방법
3) 환자가 알아야 할 치료경과
4) 시술의 후유증 내지 합병증
5) 수술 전 간호
6) 수술 후 주의사항
7) 퇴원 후 주의사항
8)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장점
- 약 물-
2. 종류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진단
5. 치료 및 간호
복강경하 자궁적출술(TLH)
1) 복강경 수술이란?
2) 자궁절제술의 종류와 방법
3) 환자가 알아야 할 치료경과
4) 시술의 후유증 내지 합병증
5) 수술 전 간호
6) 수술 후 주의사항
7) 퇴원 후 주의사항
8)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장점
- 약 물-
본문내용
다.
휴식, 운동
- 빠른 치유와 조직의 회복 촉진을 하고, 폐경시 호르몬 부족으로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비하기 위해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 2주후부터 가벼운 가사활동은 가능하다. 점차적으로 신체적인 활동과 운동을 서서히 증가시키는데,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빨래, 청소, 쇼핑, 운전, 에어로빅등 힘든 일은 4~6주까지는 삼간다.
8)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장점
① 개복수술에 비해서 절개 부위가 작아 수술 후 통증이 적고 미용상의 효과가 있다.
② 개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고 위장관 기능의 신속한 회복으로 금식기간이 단축된다.
③ 개복수술에 비해서 입원기간이 짧다
④ 복강내에 유착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개복을 하지 않고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⑤ 난소에 병변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수술이 가능하다.
⑥ 자궁적출술과 함께 질 성형수술이 가능하다.
⑦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 복강내 유착의 빈도나 정도, 통증의 정도가 감소한다.
※ 출처
1. 김계숙 외(2002), 여성건강간호학 임상 매뉴얼, pp 68~96, 수문사
2. 차경봉 저(2005), 산부인과 질환의 최신지견Ⅰ, pp 310~324, 대신서원
3. 경희의료원 건강정보센터, http://www.khmc.or.kr/
4. 김성호, 김동호, 배도환. 골반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방법에 따른 비교분석. 대한산부회지 1996; 39: 1263-72.
- 약 물-
약품명
(성분명)
용량 / 용법
효능 / 효과
부 작 용
금 기
Hartman
(calcium chloride 100mg 등)
보통 성인 1회 500 ~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1.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및 보정
2.대사성 산증의 보정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1.젖산혈증 환자
2.수분과다상태 환자
3.고나트룸혈증 환자
Meicelin
(cefminox sodium 1g)
1.성인:세프미녹스나트륨으로서 1일 2g을 2회 분할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2.소아:1회 체중kg당 20mg 1일 3-4회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적응증:패혈증, 편도염, 편도주위농양,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렴, 폐화농증, 신우신염, 방광염, 담낭염, 복막염, 자궁내감염 등
1.드물게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2.때때로 발진, 발적, 가려움증,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신장장애, 황달, 소화기장애, 비타민 결핍증이 생길 수 있다.
본제에 의하여 쇼크의 병력이 있는 환자
Traumeel
(hepar sulfuris 2.2mg 등)
초기엔 1일 3회, 1회 1앰플, 어느 정도 치유가 있는 후부터는 1주일에 1~2회 1회 1앰플을 2~3주간 정맥, 근육, 피하, 관절내, 관절점액낭 주위 또는 관절 주위에 주사
여러 기관과 조직이 퇴화되어질 때의 염증 치료 및 열성질환, 또한 건초염, 상과염, 점액낭염, 관절주위염 등으로 활동하기 어려운 상태, 삠과 탈구로 인한 부상, 골절, 수술 및 창상 후에 또한 유연부의 총창에 유효한다.
1.과량투여시 갈증, 현훈, 산동, 피부조홍, 체온증가, 혈압상승 등이 생길 수 있다.
2.오심, 구토, 설사, 호흡곤란 등이 생길 수 있다.
3.만성중독증으로 침흘림, 구강염, 신장장애, 환각증상 등이 일어난다.
중증의 고혈압환자나 심장질환 환자
Os-beta
(diclofenac beta-dimethyl aminoethanol 90mg/mL)
성인:디클로페낙 베타-디메칠아미노에탄올로서 1일 90mg을 둔부의 상부 한쪽 편에 깊숙이 주사한다.
1.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2.외상후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등 의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1.드물게 쇼크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드물게 소화성 궤양, 식욕부진, 과립구 감소, 혈소판 감소, 빈혈 등이 생길 수 있다.
3.드물게 황달, 혈뇨를 볼 수 있으며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등의 과만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성궤양 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고혈압 환자, 심한 신기능부전 환자, 본제 과민증 환자, 아스피린 천식 또는 그 기왕력자.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으로서 보통 20-1,000mL를 피하, 정맥, 점적 정맥주사 또는 직장에 주입한다.주사제의 용해 희석에는 적정량을 사용한다.
1.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2.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1.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2.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과다혈량이 나타날 수 있다.
1. 고나트륨혈증 환자
2. 수분과다상태 환자
3.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Gynobetadine vag supp 200mg
(povidone-iodine 200mg)
포비돈요오드로서 1일 1회 200mg(1개)를 질내 깊숙이 삽입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다음의 경우 국소치료 :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성 질염, 비특이성 및 혼합감염에 의한 질염, 산부인과 수술전 처치
1.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2.때때로 동통, 가려움, 발적, 대사성 산증,신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1.본제 및 본제 성분에 과민증 환자
2.갑상선기능 이상 환자
3.신부전 환자
4.신생아 및 6개월 미만의 영아
5.포진상 피부염 환자
6.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후
약품명
(성분명)
용량 / 용법
효능 / 효과
부 작 용
금 기
Venoferrum
(ferric hydroxide sucrose complex 540mg/mL)
용량:보통성인의 경우 1주 2-3회, 1회 1-2앰플씩 투여하되, 일일최고용량은 체중 kg당 철로서 7mg으로 최대 5앰플까지 500ml의 생리식염주사액에 희석하여 3시간 반 이상 주입한다.
용법:정맥점적주사, 정맥직접주사, 투석기 주사
경구용 철분제제의 복용이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만족스럽지 못한 철결핍 환자, 약물 복용 순응도가 떨어져 치료효과가 의심되는
휴식, 운동
- 빠른 치유와 조직의 회복 촉진을 하고, 폐경시 호르몬 부족으로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비하기 위해 칼슘, 단백질, 비타민 C,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 2주후부터 가벼운 가사활동은 가능하다. 점차적으로 신체적인 활동과 운동을 서서히 증가시키는데,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 빨래, 청소, 쇼핑, 운전, 에어로빅등 힘든 일은 4~6주까지는 삼간다.
8)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장점
① 개복수술에 비해서 절개 부위가 작아 수술 후 통증이 적고 미용상의 효과가 있다.
② 개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고 위장관 기능의 신속한 회복으로 금식기간이 단축된다.
③ 개복수술에 비해서 입원기간이 짧다
④ 복강내에 유착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개복을 하지 않고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⑤ 난소에 병변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수술이 가능하다.
⑥ 자궁적출술과 함께 질 성형수술이 가능하다.
⑦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 복강내 유착의 빈도나 정도, 통증의 정도가 감소한다.
※ 출처
1. 김계숙 외(2002), 여성건강간호학 임상 매뉴얼, pp 68~96, 수문사
2. 차경봉 저(2005), 산부인과 질환의 최신지견Ⅰ, pp 310~324, 대신서원
3. 경희의료원 건강정보센터, http://www.khmc.or.kr/
4. 김성호, 김동호, 배도환. 골반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의 방법에 따른 비교분석. 대한산부회지 1996; 39: 1263-72.
- 약 물-
약품명
(성분명)
용량 / 용법
효능 / 효과
부 작 용
금 기
Hartman
(calcium chloride 100mg 등)
보통 성인 1회 500 ~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1.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및 보정
2.대사성 산증의 보정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1.젖산혈증 환자
2.수분과다상태 환자
3.고나트룸혈증 환자
Meicelin
(cefminox sodium 1g)
1.성인:세프미녹스나트륨으로서 1일 2g을 2회 분할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2.소아:1회 체중kg당 20mg 1일 3-4회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적응증:패혈증, 편도염, 편도주위농양,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렴, 폐화농증, 신우신염, 방광염, 담낭염, 복막염, 자궁내감염 등
1.드물게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2.때때로 발진, 발적, 가려움증,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신장장애, 황달, 소화기장애, 비타민 결핍증이 생길 수 있다.
본제에 의하여 쇼크의 병력이 있는 환자
Traumeel
(hepar sulfuris 2.2mg 등)
초기엔 1일 3회, 1회 1앰플, 어느 정도 치유가 있는 후부터는 1주일에 1~2회 1회 1앰플을 2~3주간 정맥, 근육, 피하, 관절내, 관절점액낭 주위 또는 관절 주위에 주사
여러 기관과 조직이 퇴화되어질 때의 염증 치료 및 열성질환, 또한 건초염, 상과염, 점액낭염, 관절주위염 등으로 활동하기 어려운 상태, 삠과 탈구로 인한 부상, 골절, 수술 및 창상 후에 또한 유연부의 총창에 유효한다.
1.과량투여시 갈증, 현훈, 산동, 피부조홍, 체온증가, 혈압상승 등이 생길 수 있다.
2.오심, 구토, 설사, 호흡곤란 등이 생길 수 있다.
3.만성중독증으로 침흘림, 구강염, 신장장애, 환각증상 등이 일어난다.
중증의 고혈압환자나 심장질환 환자
Os-beta
(diclofenac beta-dimethyl aminoethanol 90mg/mL)
성인:디클로페낙 베타-디메칠아미노에탄올로서 1일 90mg을 둔부의 상부 한쪽 편에 깊숙이 주사한다.
1.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2.외상후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등 의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1.드물게 쇼크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드물게 소화성 궤양, 식욕부진, 과립구 감소, 혈소판 감소, 빈혈 등이 생길 수 있다.
3.드물게 황달, 혈뇨를 볼 수 있으며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등의 과만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성궤양 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고혈압 환자, 심한 신기능부전 환자, 본제 과민증 환자, 아스피린 천식 또는 그 기왕력자.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으로서 보통 20-1,000mL를 피하, 정맥, 점적 정맥주사 또는 직장에 주입한다.주사제의 용해 희석에는 적정량을 사용한다.
1.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2.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1.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2.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과다혈량이 나타날 수 있다.
1. 고나트륨혈증 환자
2. 수분과다상태 환자
3.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Gynobetadine vag supp 200mg
(povidone-iodine 200mg)
포비돈요오드로서 1일 1회 200mg(1개)를 질내 깊숙이 삽입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다음의 경우 국소치료 :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성 질염, 비특이성 및 혼합감염에 의한 질염, 산부인과 수술전 처치
1.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2.때때로 동통, 가려움, 발적, 대사성 산증,신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1.본제 및 본제 성분에 과민증 환자
2.갑상선기능 이상 환자
3.신부전 환자
4.신생아 및 6개월 미만의 영아
5.포진상 피부염 환자
6.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후
약품명
(성분명)
용량 / 용법
효능 / 효과
부 작 용
금 기
Venoferrum
(ferric hydroxide sucrose complex 540mg/mL)
용량:보통성인의 경우 1주 2-3회, 1회 1-2앰플씩 투여하되, 일일최고용량은 체중 kg당 철로서 7mg으로 최대 5앰플까지 500ml의 생리식염주사액에 희석하여 3시간 반 이상 주입한다.
용법:정맥점적주사, 정맥직접주사, 투석기 주사
경구용 철분제제의 복용이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만족스럽지 못한 철결핍 환자, 약물 복용 순응도가 떨어져 치료효과가 의심되는
추천자료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항암요법 환자 간호와 자궁암환자 방사선 요법 간호
[간호학] 자궁적출술 케이스
부인병동 실습, 자궁경부암 간호중재
[모성 간호학] 자궁경부암-간호진단
[모성간호] 자궁절제술(TAH,Histrectomy) case study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여성간호학실습 자궁탈수 Uterine Prolapse 케이스
[ 자궁절제술 ] case study - 여성간호학 컨퍼런스 간호진단 및 계획, 중재, 평가 등 간호과정
[간호] 복식 자궁 적출술
[여성]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자궁외임신 케이스(Ectopic pregnancy 케이스, Ectopic pregnancy 간호과정, 자궁외 임신, 자...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여성간호학실습 - 자궁절제술(hysterectomy)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