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이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합교육이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조사문제 형성
1) 문제인식
2) 문제형성

본론
2. 가설 설정
1) 개념정의
2) 가설작성
3) 변수정리

* 연구의 제한점
3. 조사 설계
1) 조사대상의 선정
2) 조사방법 선택
3) 조사방법 과정
4) 측정・척도
5) 프로그램 내용

결론

5. 참고문헌
참고문헌

6. 부록
부록

본문내용

위해 대상 학생에 대한 사전검사실시 직후 교사·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강연회)을 실시하여 학생·자녀에게 영향을 주게 될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는데 도움을 준다.
2) 조사방법 선택
비동일 통제집단설계실험조사설계의 통제집단사전사후검사설계와 유사하지만, 단지 무작위 할당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선택되지 않고 임의적인 방법으로 양 집단을 선정한 것이 다르며,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수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에 의해 연구를 진행한다.
실험집단 O1 X O2 de = O2 - O1
D = de - dc
통제집단 O3 O4 dc = O4 - O3
실험조사실험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실험은 연구자가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를 의식적으로 조작하거나 외생변수를 통제하여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거나 독립변수로 인한 종속변수의 변화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다로 연구를 진행하기 전과 후 설문지법을 이용해 사전·사후 검사를 한다.
설문지법 : 사전 검사
실험법 : 독립변수 도입
설문지법 : 사후 검사
3) 조사방법 과정
(1) 경기도 수원시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확인한다.
(2) 통합교육 실시 초등학교 중 통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으며, 정신지체아동이 있는 곳을 한 곳 임의로 선정한다.
(3) 선정된 초등학교에서 각 학년별로 정신지체아동다른 장애는 제외과 함께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2개의 학급을 임의로 선정한다.
(4) 선정된 각 학급의 비 장애 학생에게 사전검사설문지법를 실시한다.
(5) (4)와 동시에 그 학급 학생의 부모·담임교사에게 장애에 대한 강연회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을 수 있는를 진행한다.
(6) 각 학년별로 선정된 학급 중 1개의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1개의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한다.
(7) 실험집단에는 1주일에 2번 12주, 통합교육프로그램장애 학생과 함께 활동하며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8) 통합교육프로그램 종료와 함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한다.
(9)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한다.
4) 측정척도
측정 도구 1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척도 & 활동선호 척도 & 장애인식척도를 활용한 설문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 내용은 <부록>에 제시되어있다.
A. 수용성 척도
수용성 척도는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서 voeltz(1980)등이 미국 하와이 대학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들의 태도를 조사하고 그 태도의 내재적인 요소를 측정하고자 하는 필요성에서 개발해 낸 것으로 전문가와 상의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이 수용성 척도의 4개 하위 요인은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 수용성 척도 활용 시 고려해야 할 점
우리가 실험하려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을 정신지체로 통제하였다. 그래서 2요인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청각장애에 대한 1문항과, 3요인 ‘실제적 접촉’에서 지체장애에 대한 3문항을 제외하였다. 즉, 원래의 21문항에서 4문항을 제거한, 총 17문항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특정 장애를 지칭하는 표찰효과를 피하기 위해서 다른 문항들과 같이 그냥 ‘장애’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채점방식은 일반아동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성에 대한 정도를 아주 그렇다(5), 그렇다(4), 그저 그렇다(3), 아니다(2), 전혀 아니다(1)의 Likert식 5점 척도로 평정하는 것으로 2요인과 4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의 경우는 이를 역산한다. 최저 17점에서 최고 85점의 점수 범위를 보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성 수준이 높음을 나타낸다.
B. 활동선호 척도
활동선호 척도는 Siperstein & Gottlied(1997)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하여 사용한 것을 전문가와 상의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각 문항들은 일반아동들이 장애아동들과 함RP 하고자 하는 15항목의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활동 선호 척도는 제시된 각 항목의 활동에 대해 일반아동들이 장애아동과 하고 싶은 정도를 무척 원함(5), 원함(4), 그저 그렇다(3), 싫음(2), 아주 싫음(1)의 리커트 5점 척도에 해당하는 정도에 V표를 하도록 하여 최저 15점에서 최고 75점까지의 총 점수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의 활동선호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C. 장애아동에 대한 장애인식척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애아동에 대한 장애인식척도는 Osgood(1957)의 연구에서 밝혀진 의미변별척도를 전선희(1998)가 재구성한 것을 활용하였다. 이 척도는 각각 대비되는 형용사군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 리커트는 5점 척도로서 점수의 범위는 1~5점이다. 각 의미척도별로는 매우 긍정적인 측면으로 지각하면 5점, 매우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각하면 1점으로 각 점수를 환산하여, 얻어진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면 장애아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인식변별문항의 신뢰도는 내적 합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α계수로 산출되었다. 전선희(1998)의 연구에서는 Cronbach\'α계수가 .89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02이었다.
5) 프로그램 내용
장애 이해 교육 프로그램
회수
모의장애체험
시청각자료 활용
1
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활동을 퀴즈형식으로 어린이들에게 질문을 하고 ○, ×게임을 진행. 그리고 자세히 설명.
2
정신지체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활동으로 어려운 지시문을 두 학생에게 주고 한 학생이 한 번 읽어주는 지시문을 듣고 다른 학생은 지시문을 보지 않고 읽어준 내용을 생각하여 실행한 후 집단 토론.
정신지체 아동을 둔 \'◇◇ 엄마의 이야기\'를 듣고 엄마의 마음과 ◇◇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고 집단 토론.
3
장애를 가진 아동의 가족들이 느끼는 고통과 사랑을 알고, 장애를 가진 사람도 따뜻하게 보살피면 성취할 능력이 있음을 깨닫도록 하는 활동 실시한 후 토론.
사랑과 관심을 가져주면 장애인도 성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내용의 비디오 시청.
4
헬렌켈러, 모차르트와 같이 장애인도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있음과 장애를 극복한 사람들의 훌륭한 점을

추천자료

  • 가격6,2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10.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